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경애-
dc.creator박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9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n verbal definitions of concrete nouns of normal children aged 3, 4, and 5. The aim of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the differences in definition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the language-delayed children who were vocabulary-age matched. Thu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our: the three language-delayed children. Seventeen out of the 90 normal children were compared with the language-delayed children. Twenty-one concrete nouns, 3 for each of the 7 classes of words--animals, transportation, means, foods, tools, clothes, toys, and electrical appliances--were used to elicit the children s verbal definitions. Four definitional categories were studied: functional, relational, perceptual, and categorical.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ANOVA, t-test and in ratio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ges, (2) the frequencies and the ratios of definitio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functional definition (over 40%), relational definition, perceptual definition, and categorical definition(less than 10%), and (3) the same order of the frequencies ratios of definition was found in the group of language-delayed children as that of the normal children. ; 정의하기는 어떤 낱말에 대한 범위를 한정하여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다. 말로 정의를 표현하는 것을 구어적인 정의하기라고 한다. 구어적인 정의하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정의하기 능력이 학령 전부터 연령에 따라 발달하면서 기능적인 정의유형이 증가되고 점차 상위어나 다른 속성들과의 조합된 정의유형이 생긴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보통명사에 대한 구어적인 정의를 할 때, 정상아동의 세 연령 집단(생활연령 3세, 4세 및 5세)간에 그리고 언어지체유무에 따른 두 집단 간에 (1) 정의점수, (2) 정의유형의 출현빈도와 출현율 그리고 (3) 검사낱말 범주에 따른 정의유형 간 출현율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3세, 4세 및 5세인 정상아동 각 30명씩 총 90명과 어휘연령을 5세로 일치시킨 언어발달지체아동 17명과 정상아동 17명이었다. 이 중 언어발달지체아동과 비교하는 정상아동은 3-5세의 정상아동 90명 중에서 어휘연령이 5세인 아동 17명을 뽑은 것이므로 실제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아동은 총 107명이었다. 검사낱말은 7개 낱말범주(동물, 교통기관, 음식, 도구, 의류, 장난감 및 가전제품)에 속하는 보통명사 21개로 각 범주마다 3개씩 선정하였고 검사낱말 21개에 대한 흑백 선그림 카드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검사는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우선 아동에게 연구자가 명명한 낱말을 선그림 4개 중에서 지적하게 하여 아동이 검사낱말 자체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한 뒤 검사낱말에 대해 “_가 뭐야?”라고 질문하여 구어적인 정의반응을 유도하였다. 정의반응이 없거나 적으면 선그림카드를 제시하여 정의반응을 촉진하였다. 수집한 정의반응에 대해 정의점수와 정의유형을 평가하였다. 정의점수는 낱말을 주요특성을 아는지와 낱말을 범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정의유형은 크게 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및 분류적 정의로 나누었으며 각 정의유형은 좀더 구체적으로 (1) 기능적 정의는 행위자 기능과 도구적 기능으로, (2) 관계적 정의는 배경, 위치, 비유/비교, 부정, 관련실체, 및 작동원리로, (3) 물리적 정의는 부분, 재료 및 속성으로, 그리고 (4) 분류적 정의는 하위어와 상위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 생활연령이 3세, 4세 및 5세인 정상아동의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언어지체유무에 따른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정의유형의 출현율은 전체 정의유형 수에 대한 각 정의유형 수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걸쳐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아동의 정의점수를 분석한 결과, 정의점수는 정상아동의 각 연령집단(3세, 4세, 5세)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의점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정상아동의 정의유형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관계적 정의는 각 연령 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기능적 정의와 물리적 정의는 3세와 4세 간에, 그리고 3세와 5세 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분류적 정의는 4세와 5세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정상아동의 정의유형 출현율을 순위로 분석한 결과, 기능적 정의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하면서 기능적 정의의 출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에 관계적 정의와 물리적 정의의 출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정상아동의 검사낱말 범주에 따른 정의유형의 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모든 낱말범주에서 기능적 정의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다(40% 이상), 분류적 정의의 출현율은 모든 낱말범주에서 가장 낮았다(10% 이하). 4. 어휘능력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 집단을 비교했을 때, 정상아동이 언어발달지체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정의점수를 받았다. 5. 어휘능력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 집단을 비교했을 때, 정상아동은 언어발달지체아동보다 4개의 정의유형 중에서 기능적 정의를 유의하게 더 많이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정의유형의 출현율 순위는 동일하였다. 즉, 기능적 정의가 가장 자주 출현하고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의 순서로 출현하였다. 6. 어휘능력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을 비교했을 때, 두 집단 간의 낱말범주에 따른 정의유형의 출현율은 유사한 패턴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정의점수는 생활연령 및 언어발달지체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점수 및 정의유형의 분석은 언어발달지체아동을 평가할 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아동이 기능적 정의유형을 정상아동보다 덜 산출했다는 결과는 실제 중재시 기능적 정의유형의 증진을 첫 번째 목표로 설정할 것을 제시해 준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상아동의 낱말 및 의미 발달 = 6 B. 정상아동의 정의하기 발달 = 11 C. 언어장애아동의 표현낱말결함 = 19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검사도구 = 25 C. 연구절차 = 26 D. 자료분석 = 31 E. 신뢰도 = 32 Ⅳ. 결과 = 34 A. 생활연령이 3세, 4세 및 5세인 정상아동 간의 비교 = 34 B. 어휘발달수준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비교 = 45 Ⅴ. 논의 및 제언 = 51 A. 논의 = 51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56 참고문헌 = 57 부록 = 63 영문초록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182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보통명사 정의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