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정-
dc.creator이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8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3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입 브랜드 구매경험이 있는 20대 여성의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평가기준과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의복평가기준에 근거하여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와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시장세분화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나아가 의류산업 업체의 상품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의복평가기준,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를 밝힌다. 둘째,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 선호집단에 따라 의복평가기준,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를 밝힌다. 셋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국내 브랜드와 수입브랜드 선택시 만족도와 의복구매행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 2차례 예비조사와 1차례 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통계 Pakage를 사용하여 요인 분석 , 빈도, 백분율,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χ² - 테스트,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문항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30%를 물질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 중간 40%를 물질주의 성향이 중간인 집단, 하위 30%를 물질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복평가기준은 디자인, 유행감각, 색상, 스타일 등의 심미성과 관련된 요인으로 심미적 요인과 편안함과 가격을 중시하는 실용적 요인, 그리고 상표의 명성이나 자신의 개성을 전달해주는 표현적인 속성과 관련된 상징·표현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물질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본인의 최종학력, 가정의 총월수입, 주관적 사회계층, 한계절 평균 의복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정장 평균 구매가격, 선호 브랜드, 선호이유, 구매비중, 한계절 정장 구입수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들의 의복평가기준을 살펴본 결과 심미적 요인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음으로 실용적 요인,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을 근거로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심미적 요인,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심미적 요인,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라는 상표 특성에 따라 의복평가기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내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은 심미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실용적 요인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중시하였다.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은 상표를 선택할 때 역시 심미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상징·표현적 요인, 실용적 요인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은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 가장 만족하였고 그 다음으로 수입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순으로 만족하였고 국내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의 경우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 가장 만족하였고, 수입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만족하였고 수입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다섯째, 연구 대상자들이 외국상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한 적절성과 도덕성에 관한 신념인 자민족중심주의를 살펴본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자민족중심주의 평균점수는 5점 기준에 2.31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국내 브랜드와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간의 자민족중심주의를 비교해 본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의복평가기준을 살펴본 결과 의복평가기준 중 심미적 요인과 상징·표현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의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국내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자민족중심주의를 살펴본 결과 물질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일수록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Consumer Ethnocentrism was to included as a dependent varialble in analyzing the data. Also I identified which characteristics of import brands were different from domestic brands by compar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about the brands and their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specific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and consumer ethnocentrism by materialism. Second, it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and consumer ethnocentrism by forming consumer groups who preferred import brands and who preferred domestic brands. Third, it is to examine the consumer s satisfaction about the brand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materialism. The theoretical study and survey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material collection. SPSS packages are applied to find out the results of frequencies, percentages, arithmatic mea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s, x² -tests, t-tests and regressions of data.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ree groups for materialism were extracted from the mean. And Th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were composed of aesthetic factor, practical factor and symbolical?expressive factor. Second, with analysing the difference of the materialism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educational levels in person,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class and seasonal clothing expenditures. Third, clothing purchase price, brand preference, the reason of preference, the portion of possessing import brands and the number of formal wear purchased per season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ialism. Fourth, when consumer group who has preference to import brands chooses the clothing, aesthetic factor, symbolical?expressive factor, practical factor are enumerat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and satisfied with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import brands, aesthetic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domestic brands, aesthetic factor of domestic brands in the order. Actually they are dissatisfied with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domestic brands. When consumer group who has preference to domestic brands chooses the clothing, aesthetic -factor, practical factor, symbolical?expressive factor are enumerat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and satisfied with symbolical expressive factor of import brands, aesthetic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domestic brands, aesthetic factor of domestic brands,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domestic brands, practical factor of import brands in the order. Fifth, the average of consumer ethnocentrism is 2.31 out of 5 and consumer group who has preference to import brands or domestic brands doesn 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er ethnocentrism. Sixth, th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by materialis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esthetic factor and symbolical?expressive factor. The satisfaction of domestic & import brands by materialis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domestic brands,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import brands, aesthetic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import brands. Seventh, consumer group who has low materialism shows a high consumer ethnocentr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A. 물질주의 성향 = 4 B. 의복평가기준 및 수입 브랜드 의복구매행동 = 9 C. 자민족중심주의 = 20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문제 = 22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2 C. 측정도구 및 절차 = 24 D. 자료분석방법 = 28 E. 연구모형 = 29 IV. 연구결과 = 31 A. 물질주의 성향 = 31 B. 의복평가기준 = 42 C. 자민족중심주의 = 48 D. 물질주의 성향과 의복평가기준,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 = 49 V. 결론 및 논의 = 59 참고문헌 = 67 부록 = 76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683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평가기준과 자민족중심주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