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reat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0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family life behavior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family life behavior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and the family socio-economic variables. In particular, after controlling the socio-economic variables, it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family lif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men and women having more than one child, aged 30 to 59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uritan area. The Family life behavior were measured with scales adapted and modified from several measures frequently used in previous studies of life style. Statistic value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ile were computed on the basis of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urvey. T-test, one-way ANOVA, analysis of Covariate and then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family life behavior according to the variables. To classify gamily life behaviors, collected data were analyses by Factor analysis & Correlat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Couples who have more than one child were classified into five fields and each field into several factors. The Family life field were divided into ‘home-labor’, ‘nuclear-family oriented behavior’, ‘extended-family oriented behavior’, & ‘child patricianly activity’ factors. While the Consumption life field were classified into ‘style-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factors. The Work life field had only one factor, ‘sacrificial-work activity’. The Community life field contained the ‘neighborhood leading activity’, & ‘social adaptation activity’ factor, one The Leisure life had ‘culture-oriented leisure’, ‘rest-oriented leisure’, & ‘travel’ factors. 2)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lif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even though controlled socio-economic variables lied in the following factors : child patricianly activity, style-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neighborhood leading activity, & culture-oriented leisure. 3)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life behaviors were also found out according to the family’s socio-economic variables. The Variables were home-labor corresponding to each level of education & nuclear- family oriented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 & monthly income in family life fields. Is the Consumption life field, the variables were style-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by monthly income level. In the Work life field the variable was sacrificial-work activity by dual-income living level. The variables was In the Community life field neighborhood leading activity by education level. In the Leisure life field, the variables were culture-oriented leisure by occupation, dual-income level, rest oriented, & monthly income level.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mily life behavior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5)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lif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even though controlled socio-economic variables lied in the following factors: For both man and woman, child patricianly activity, style-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 neighborhood leading activity. 6)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life behaviors were also found out according to the family’s socio-economic variables. : For a man, The Variables were home-labor corresponding to each level of dual-income living & nuclear-family oriented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dual-income living in family life fields. In the consumption life field, the variables was plane consumption behavior by monthly income. In the Leisure life field, the variables were travel by education, & occupation. For a woman, the variables were home-labor corresponding to each level of dual-income living & nuclear-family oriented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monthly income in family life fields. In the Consumption life field, the variables was planed consumption behavior by occupation level. In the Work life field the variable was sacrificial-work activity by dual-income living level. In the Leisure life field, the variables were culture-oriented leisure by monthly income level & dual-income living level. ; 본 연구는 가정의 다양한 생활영역을 연구하기 위해 생활구조와 생활행동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통하여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가족의 생활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성과 여성이 각기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어떠한 생활행동을 보이는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도시 중산층의 30세에서 59세까지의 성인 기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0부를 분석하였다. 가족생활행동은 기존생활양식 연구들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가족생활의 전반적인 영역에서의 가족생활행동을 다루도록 의도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생활, 소비생활, 직장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영역으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각 생활영역에서의 가족생활행동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선정하여 수정한 척도를 구성하였다. 모든 문항들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t-test, 교차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석,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 s α로써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중산층 가정의 생활영역은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가정노동, 핵가족지향 행동, 확대가족지향 행동, 자녀공유 활동인 4개요인, 소비생활 영역에서는 스타일지향 소비행동, 알뜰 소비행동, 계획 소비행동인 3개 요인으로 나뉘어 졌다. 직장생활 영역에서는 직장헌신 요인, 지역사회 생활영역은 이웃주도 활동, 사회적응 활동인 2개의요인, 여가생활 영역(취미, 운동)에서는 교양추구 여가, 휴식추구 여가, 여행인 3개의 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둘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행동은 사회·경제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이 자녀공유 활동을 적게 하였고, 소비생활 영역에서는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이 스타일지향 소비행동을 많이 하였다. 지역사회 생활 영역에서는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이 이웃주도 활동을 적게 하였다. 여가생활 영역에서는 통제 전에는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과 초·중학교기에 속한 가정이 다른 주기에 속한 가정보다 교양추구 여가활동을 적게 하였으나, 통제 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상의 차이로 인해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여성이 가정노동을 더 많이 하였으며, 직장생활 영역에서는 남성이 직장헌신을 많이 하였다. 지역사회생활 영역에서는 여성이 이웃주도 활동을 많이 한 반면, 사회적응 활동은 남성이 많이 하였다. 여가생활 영역에서는 여성이 교양추구 여가, 휴식추구 여가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간에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행동은 사회·경제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의 남성이 핵가족지향 활동을 많이 하였으며, 남녀 모두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이 자녀공유 활동을 적게 하였다. 소비생활 영역에 있어서는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여성이, 고등학교기에 속한 남성과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남성이 스타일 지향 소비활동을 많이 하였으며, 지역사회 생활영역에서는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남녀 모두가 이웃주도 활동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가족생활에서의 행동 차이가 나타나며, 특히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이 다른 생활주기에 속한 가정과 차이를 보였다. 한편 성별에 따라서도 생활행동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가족생활과 직업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에서 남성과 여성이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가정노동, 이웃주도 활동, 교양추구 여가, 휴식추구 여가는 여성이 많이 하였고, 직장헌신은 남성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별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행동에서의 차이를 보면, 자녀출산 및 양육기에 속한 가정의 남녀 모두 핵가족지향 활동과 스타일지향 소비행동은 많이 하였고, 자녀공유 활동과 이웃주도 활동은 적게 하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가족생활주기와 성에 따른 가족생활행동에서의 차이를 앎으로서 그들이 맺고 있는 여러 인간관계에서의 행동격차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관계향상과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생활양식 = 5 1. 생활양식의 개념 = 5 2. 생활양식에 관한 선행연구 = 10 B. 가족생활주기의 개념 및 분류기준 = 13 C. 가족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6 1. 가족생활주기 = 16 2. 성(性) = 16 3. 사회경제적 요인 = 21 D. 연구문제 = 27 E. 연구모형 = 29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절차 = 30 B. 연구대상 = 32 C. 측정도구 = 35 1.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 35 2. 가족생활주기 = 36 3. 가족의 생활행동 = 36 D. 자료분석 = 4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2 A.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행동의 차이 = 42 B. 성별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행동의 차이 = 51 Ⅴ. 논의 및 결론 = 58 참고문헌 = 68 부록Ⅰ = 75 부록Ⅱ = 78 부록Ⅲ = 84 부록Ⅳ = 92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882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중산층 기혼남녀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생활행동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