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진명-
dc.creator조진명-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0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6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classify and to define caregiving service in elderly and their caregiver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classified caregiving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classified caregiving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ir caregive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117 frail elderly and their caregivers. Park(1985), Kim & Choi(1993, 1997), and Lee(1996) s scales had been applied to test caregiving service with questionnaires. Quality of life of the aged was to test with revised Purpose in Life scales and self-integration. Caregiver s quality of life was to divide caregiving stress from self esteem. Caregiving stress was to test with Lee & Seo(1993) s scale and Zarit & Zarit(1980, 1982) scales. The statistic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Pearson 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caregiving service for elderly in the aged was divided into three type - emotional + instrumental + informational service, material service, and social activity service -, in caregivers, into five type - emotional service, instrumental service, informational service, material service, and social activity service. So caregiving service has synthetic meaning to the aged, and it got divided in detail to caregivers. Second, all the caregiving service in the aged mediated or suppressed the relation of elderly needs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Namely, the aged perceived service from caregivers was given by their needs. Through this satisfaction of needs, they pursued higher quality of life. Third, except to emotional service, caregiving service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Therefore, caregiving service had no effects on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but caregivers adjusted their service in response to their situations such as elderly needs variables. ; 본 연구는 부양서비스의 양면적 측면, 즉 노인과 부양자의 삶의 질에 부양서비스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노인이 제공받는 부양서비스와 부양자가 제공하는 부양서비스를 사회적 지지라는 개념틀 안에서 정의하고 유형화하여, 그 유형화된 부양서비스가 노인의 삶의 질(현재의 수용, 좌절감, 지혜)과 부양자의 삶의 질(부양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신체, 인지 또는 경제 취약 노인과 그 가족 부양자 117명을 대상으로 부양서비스, 노인과 부양자의 삶의 질로 구성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부양서비스는 사회적 지지와 노인부양에 관한 박지원(1985), 김윤정, 최혜경(1993, 1997), 이행규(1996)의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문항들을 설정하였다. 노인의 삶의 질은 자아통합감과 Purpose in Life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양자의 삶의 질은 부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으로 나누어, 부양스트레스는 이신숙, 서병숙(1993)의 척도에 Burden Interview 문항들을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 s Alpha로써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을 위한 부양서비스는 노인에게는 - 정서+도구+정보 서비스, 물질적 서비스, 사회활동 서비스 -의 3가지 유형으로, 부양자에게는 -정서적 서비스, 도구적 서비스, 정보적 서비스, 물질적 서비스, 사회활동 서비스 -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부양서비스가 노인에게는 통합적으로, 부양자에게 차별적으로 세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양서비스는 전체적으로 노인 욕구변인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매개 또는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은 제공받는 부양서비스가 노인의 욕구에 의해 주어지는 것으로 인식하며, 이와 같은 욕구의 충족을 통해 부양서비스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양서비스 중 정서적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부양자의 삶의 질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양서비스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노인의 욕구와 같은 부양자 자신의 부양상황에 반응하여 부양서비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증가하는 노인인구와 한국사회의 경제적인 불황에도 불구하고 노인 부양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부양서비스가 노인과 부양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는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노인부양서비스가 제공하는 부양자보다는 수혜를 받는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더 의미있다고 할 때, 노인 부양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이에 주목하여 노인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삶인 성공적인 노화로 이끌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부양자에게는 부양부담에서 벗어나면서도, 부양의 질을 낮추지 않는 정책적 차원의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ⅷ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사회적 지지로서의 부양서비스 = 4 1.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효과 = 4 2. 사회적 지지로서의 부양서비스 = 8 B. 부양서비스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선행연구들 = 12 C. 부양서비스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대한 선행연구들 = 16 D. 연구문제 = 20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1. 연구대상의 선정 = 21 2.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22 B. 측정도구 = 27 1. 노인의 삶의 질 = 27 2. 부양자의 삶의 질 = 29 3. 부양 서비스 = 31 4. 노인의 기능장애 = 32 5. 배경변인 = 33 C. 자료수집 = 33 D. 자료분석 = 3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5 A. 부양서비스의 유형 = 35 1. 노인이 지각하는 부양서비스의 유형 = 35 2. 부양자가 지각하는 부양서비스의 유형 = 38 B. 노인의 삶의 질과 부양서비스와의 관계 = 41 C. 부양자의 삶의 질과 부양서비스와의 관계 = 52 Ⅴ. 요약 및 결론 = 63 참 고 문 헌 = 67 부 록 = 80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8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부양서비스가 노인과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