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실버용품 사용실태 및 요구도 분석 : 노인과 부양자를 대상으로

Title
실버용품 사용실태 및 요구도 분석 : 노인과 부양자를 대상으로
Authors
은소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Korea, by the year 2000,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n their "silver age(over 65)" is expected to surpass three millions, increasing at the rate of 6.8%. And by the year 2020, there is expected to be over 6.3 million senior citizens, with the rate of increase reaching 12.5%. The results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led to“silver”age reaching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aving a more various desire, and living at a more comfortable economic status than previous generations. With these trends, the“Silver”industry which provides various kinds of products and services to the elderly is expected to grow. The range of the“Silver”industry varies from health, house, food and clothes to asset management etc. However, the areas being developed so far in Korea are limited to small fields such as“silver”town or hospital construction, and “silver”products area could be said to be inactive till now. The“silver”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7 subjects which are health checking, physical treatment, walking assistance, bedding for the sick, nursing, bathing for the sick, and the others by th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gap between the use pattern of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and the needs of them for the“silver”products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who take care of their parents because the relationship of them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nfluence the use pattern and the needs of the“silver”product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dentify the use pattern and the recognition of the“silver”products and the reasons why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have not used it. Second, analyze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for the“silver”products. Third, analyze the use pattern and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for the“silver”products according to four major variabl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1998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Seoul, Pusan, Daejoen, Daegu, Kwangju, Kangnung. This data include information on use pattern and needs of the“silver”products,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1,106 households which were 553 elderly households and 553 supporter households. Gather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ies, Mean, Percentile, Chi-square, T-test, and One Way ANOVA, and reliability was based on Cronbach value. The main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onsuming the“silver”products is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recognizing it. Because the target of the“silver”marketing is the elderly who are sick rather than the elderly whose health conditions are good or not bad, the needs of the store which deals with the“silver”products is low. The elderly used to consume the“silver”products for the purpose of health management or health checking.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ers used to consume it for the purpose of nursing their parents whose health conditions are not good. The reasons why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have not used the“silver”products are classified into two. While the elderly have not used the“silver”products because of high prices, the supporters have not used it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what kinds of goods there were. Second, the needs of the elderly for most“silver”produc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upporters. This result means that even though the supporters consume“silver”products for their parents, ultimately the beneficiaries of the use will be the elderly. Except for health checking and physical treatment, the needs of“silver”products is lower than mean value. This result is because the“silver”products aims for the sick elderly rather than the normal elderly. Third, Four major variables that can influence the use pattern and the needs of two groups for the“silver”products are income level, the type of living together(whether the elderly live with their supporters or not),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ADL & IADL. The percentage of the use for the“silver”products is increased by income level in the two groups. And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level. When we compared the elderly that live with their supporters with those that live apart, there are differences for the“silver”products. Except for health checking and physical treatment,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iving together. The percentage of the use for the“silver”products is increased by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When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is increasing(It means that health condition is bad), differences are shown in all sections except for health checking. The percentage of the use for the“silver”products is apparently increased by ADL & IADL. When ADL & IADL is increasing(It means that the depending on supporters is increasing), differences are shown in all sections except for health chec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the implication that offer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and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who take care of their parents by making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y and civil enterprises participate in the field of the“silver”products. In addition, further study of the“silver”products is required for an application of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and research methods to conduct systematical research focus on the elderly and the supporters. ; 본 연구는 다가오는 2000년대 고령화사회 노인의 다양한 욕구증가와 경제력의 향상, 또한 이와 함께 증가하는 노인문제 발생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등장하게 된 실버산업에 대한 기초조사의 일환으로서 실버용품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노인과 부양자의 실버용품 사용실태와 요구도간의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규명하여 기업의 마케팅의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민간기업의 참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노인과 부양자의 복지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실태와 실버용품 전문점에 대한 인지도, 그리고 실버용품을 이용/구매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실버용품에 대한 노인과 부양자의 전반적인 요구도의 분석과 주요특성에 따른 노인집단과 부양자집단의 실버용품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대표적인 실버용품 전문매장인 「실버스핸드」와 「효도마을」, 롯데백화점의 「세인홈 메디컬」에 대한 기초 시장조사를 하였으며, 본 조사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강릉에 거주하는 노인과 부양자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노인용 553부, 부양자용 553부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평균, 검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한 F-test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Duncan 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용품 전문점의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노인과 부양자의 실버용품 전문점의 인지여부에 비하여 실제 방문을 경험한 사람의 빈도가 굉장히 낮았고, 실버용품 전문점에 대한 요구도가 낮게 나왔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실버용품이 거동상태나 건강 등에 있어서 정상노인 보다는 아픈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호용품(간호용품·의료용품)이 주를 이루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어진다.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실태에서 노인은 평소 건강관리와 생활보조적 측면에서 실버용품을 많이 이용하는 반면, 부양자들은 아픈 노인을 위한 병수발을 위해 실버용품을 많이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버용품을 이용/구매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한 결과, 노인들의 이용률이 높은 건강체크용품과 물리치료용품의 경우 제품가격의 고가로 인한 사용기피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부양자의 이용/구매율이 높은 노인을 수발하는데 사용되는 용품들은 전문취급점의 부족과 상품정보에 관한 홍보부족에 의해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실버용품의 요구도의 분석결과 대부분의 실버용품에 대해서 노인의 요구도가 부양자의 요구도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실버용품이 궁극적으로 노인을 위한 제품인 것에 따른 결과로 해석되어진다. 또한 건강체크용품과 물리치료용품의 요구도를 제외한 나머지 실버용품의 요구도가 중앙값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연구대상이 정상노인이기 때문에 개호 목적의 용품들에 대해서는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주요특성별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실태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율은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건강체크용품과 물리치료용품의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즉, 경제적으로 안정된 집단이 평소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고 이와 관련된 실버용품의 이용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가족동거유형에 따른 노인집단의 실버용품 이용/구매율은 많은 용품에 대해 비동거노인집단이 높은 이용/구매율을 보였으며, 부양자집단의 경우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집단의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율은 보행용품, 침구용품, 재가간호용품·의료용품, 목욕용품의 대부분에서 건강상태가 좋지 않는 집단의 이용/구매율이 높게 나타난데 반해, 부양자집단의 경우는 몇몇의 경우에만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집단의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실태가 높게 나왔다.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따른 노인과 부양자집단의 실버용품의 이용/구매율은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낮은 집단이 대부분의 용품에 대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인의 주요특성 중 ADL(일상생활 수행능력; Activities of Daily Living) & IADL(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에 따른 이용/구매율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주요특성별 실버용품 요구도의 집단간 차이에서, 먼저 소득수준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는 노인집단과 부양자집단 모두 건강체크용품에서 하·중집단에 비해 상집단의 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분석되어졌다. 가족동거유형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노인집단의 경우 부양자와 동거하지 않는 비동거노인집단이 건강체크용품과 물리치료용품을 제외한 모든 용품의 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노인과 부양자 집단 모두 건강체크용품을 제외한 모든 용품에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상집단의 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L & IADL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도 역시 노인집단은 전 영역에서, 부양자집단은 건강체크용품을 제외한 나머지 용품에 대해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서 점수가 높은 상집단, 즉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떨어져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집단의 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건강상태와 ADL & IADL에 따른 요구도의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것은 앞에서도 계속 논의되었듯이 우리나라 실버용품이 건강한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품목들이 갖춰져 있다기 보다는 아픈 노인환자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동시에 앞으로 우리나라 실버용품이 이러한 몸이 불편한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정상노인들의 요구를 반영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 실버용품에 대한 노인과 부양자의 사용실태와 요구도간에 차이가 생기는 주 원인으로서 대부분의 실버용품이 정상노인을 위한 제품이라기 보다는 아픈 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따라서 일반적인 노인의 요구도를 반영한 진정한 의미의 실버용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따라서, 노인과 부양자를 위한 사적복지정책에 일조하며, 민간부문에서의 노인복지서비스 확충을 위한 일환으로서 기업에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복지감을 높이는 동시에 노인을 실질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부양자들의 부양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한 민간기업의 참여를 활성화시킴으로서, 가정의 총합적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