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또래수용성 및 또래괴롭힘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Title
또래수용성 및 또래괴롭힘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Authors
양원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주목적은 또래수용성 및 또래괴롭힘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또래수용성과 또래괴롭힘간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Coie와 Dodge(1983)가 사용한 긍정적·부정적 또래지명, Wiggins와 Winder(1961)가 개발한 Peer Nomination Inventory(PNI)를 토대로 수정하여 Perry와 동료들(1988)이 사용한 또래괴롭힘 척도와 Harter (1985)가 만든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을 근거로 제작된 질문지들을 이용하여 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392명(남학생: 189명, 여학생: 203명)의 남녀학생들과 그들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수용성을 사회적 선호도와 사회적 지위로 구분하여 사회적 수용도, 운동능력, 신체용모, 학업능력 및 행동품행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전반적 자아가치감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녀 청소년 모두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사회적 수용도가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지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선호도는 남학생의 경우, 사회적 수용도와 행동품행에서, 여학생의 경우, 사회적 수용도와 전반적 자아가치감에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어, 사회적 선호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위에 따라, 남학생들은 인기아가 거부아와 무시아 보다, 여학생들은 인기아, 무시아, 거부아의 순서로 사회적 수용도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수용도 이외의 다른 하위요인들에 대한 자아존중감에서는 사회적 지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 교사와 자기가 평가한 또래괴롭힘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평가자와 성별에 따라 다소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또래괴롭힘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관계를 보여, 또래괴롭힘을 당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았다. 셋째, 남녀 청소년 모두 사회적 선호도와 또래괴롭힘간에 유의한 관련이 나타나, 사회적 선호도가 높을수록 모든 평가에서 또래괴롭힘은 낮게 보고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위에 따른 또래괴롭힘은 남학생의 경우 또래평가에서, 여학생의 경우 또래평가와 자기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거부아 집단이 인기아와 무시아 집단보다 또래괴롭힘을 더 많이 당했다. 본 연구는 인간의 발달 및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에 관하여, 자아존중감의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알려진 청소년기의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와의 관계를 밝힌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또래수용성, 또래괴롭힘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밀접한 관계를 발견하였으며,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있어서 또래수용성에 비해 또래괴롭힘이라는 부정적 경험이 더욱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eer acceptance and peer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 relations between peer acceptance and peer victimization were also examined. The present study use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on a Coie and Dodge s(1983) positive·negative peer nomination, a modification of Wiggins and Winder s(1961) Peer Nomination Inventory(PNI), and a Harter s(1985)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the subjects were 392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189 boys and 203 girls) and their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preference and social status were correlated more strongly with perceived social acceptance. Social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steem in social acceptance and behavioral conduct in boys and social acceptance and global self-worth in girls. The higher their social preference was, the higher their self-esteem was. Self-esteem in social acceptance varied as a function of social status both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Popular boys had higher self-esteem in social acceptance than neglected and rejected ones. Popular girls had higher self-esteem in social acceptance than neglected ones that had higher self-esteem in social acceptance than rejected ones. Second, peer victimization rated by peers, teachers and adolescents themselv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steem both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The higher their peer victimization was, the lower their self-esteem was. Finally, social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eer victimization rated by peers, teachers and adolescents themselves both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The higher their social preference was, the lower their peer victimization was. Peer victimization varied as a function of social status both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Popular adolescents had lower score of the peer victimization than both neglected and rejected ones.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emphasize the crucial negative role of the peer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perceived self-este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