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기호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무대디자인 연구 : [페드르]의 무대 디자인 사례 중심으로

Title
기호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무대디자인 연구 : [페드르]의 무대 디자인 사례 중심으로
Authors
정지안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ulture and art the most essential topics in present human life confronting the 21st century and proclaiming a complete separation from the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Since an art can be understood up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reciator and the work, and a work is an entity of unity of which contents is delivered through expressional media and this media, we can see a work of art as a sign and creation, appreciation of an art as semiosis(an action of the sign) . This study, on this semiotic ground, is to present certain semiotic methodology of stage design through systematization of the stage designing process such as semiotic analysis, application, and final concrete formatization. As for the methodological ground, the author considered a work art, i.e. a play, as a sole text consisting of intricate nets of infinite signs. Therefore, setting up the creation of stage signs as a component of one unified artistic system, i.e. a work of art, with other signs in other fields of performance, the author tried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creative process of a play as a fine art and stage design as one field of environmental design, and ultimately to go toward a consistent process of creation. This was to coincide with projected signs by creating groups with accepted signs by the audience, that is, produced meanings and interpreted meanings, to establish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an art, a play, and its appreciator, the spectator. To establish and review proper signical methodologies of stage design,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as follows: 1. The essential role of stage design in the theatrical art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necessity of semiotic stage design has been presented. 2. To see the outline of semiotics first and then to understand stage signs which are space signs as well as theatrical one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arranged each characteristic semiotics of space, semiotics of drama and performance, and semiotic in theatrical space to establish and present a proper semiotic approach to stage design. 1) First,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miotic communication models to the whole process of play from creation to appreciation; definition of the range and level of the whole creating work of signs of performance. 2)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and outline of the total signs of performance sighs based on the semiotic analysis of drama texts and semiotic application of them to performance texts: 3) Application of paradigm, syntagm theories on the text structure to the theatrical space, extraction of the paradigm structure of space,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tage space and physical elements and finally formatization of the whole basic stage space through syntagm combination: 4) When the shapes of the stage space which has certain spatiality that can be called as "a spatial sign" are reveale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stage as "a theatrical sign" which has time character should be formatized. 3. Supposing an actual peice was to be performed, the author applied all of those processes to stage design to realize approaches mentioned above can be proper stage design methods through creating actual shapes of stage spac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classic French work, [Phedre], by Racine, a tragedy that depicts a woman s inner conflicts on ancient Greek background. This tragic space was divided into the contrst of bright and dark, through light and shadow by the author of this study to express the contrasting power of light and darkness since it was proper to reveal the basic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4. By applying stage signs which have appeared on a real theatre, drafting and making three-dimensional models, the author has proved that building up a stage space through semiotic stage design can contain every sign of theatrical performance and can be a performing place moving with those signs. As for the theatre, Towol Theatre was used. Since its scale is big and it has an extra mobile stage that contrasts between light and shadow this should be effectively maximized and with extra stage the space of darkness progressed into the area of brightness to represent the gradual invasion of dark upon light. Thus, stage space signs can be applied elastically, flexibly, to the actual stage, and their adaptability with different situations of actual stage is great.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s realized that in designing the stage of the drama, semiotic approaches to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 drama and performance can overcome disparity between each of the components of a drama as well as the gap between approaches to fine art and those creative processes of design. They also make stage space play a proper role in a dramatic performance as a composite art to contribute a heightened level of that work. When semiotic approaches to stage design are studied, systematized and put to practical use further,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artist and spectators to share certain messages together could be expanded in a broad sense to meet more effectively the essential demands of creative work of the theatrical performance. ; 문화와 예술은 근대적 산업사회와의 완전한 결별을 선언하는 21세기를 앞둔 현재의 인간생활에서 가장 중심적인 화두 중 하나이다. 예술에 대한 논의에 있어 예술작품의 감상은 예술작품과 감상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예술작품은 표현의 매체와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이 합일되어 존재하는 실체라는 점에서 예술작품을 기호로, 예술작품의 창조와 감상을 기호작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의 기호학적 입장을 취하여, 연극의 상연에 있어 환경디자인의 영역인 무대공간의 디자인 과정을 기호학적 분석과 적용, 이를 통한 구체적 형상화의 과정으로 체계화하여 무대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의 연구는 연극이라는 예술작품을 수많은 기호들의 복잡한 망들로 이루어진 단일한 텍스트라고 보고, 무대공간은 그 수많은 기호들이 이루는 체계들 중 하나로 파악한다. 그래서 무대공간 기호의 창조를 여러 분야의 다른 기호들과 함께 하나의 종합적 기호체계인 단일의 예술작품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정, 연극의 창작 과정에 참여하는 여러 가지 분야가 일관된 시각과 방법으로 일련의 창작과정을 밟아나가고, 연극 창조 집단이 발신한 기호와 궁극적으로 관객이 수신한 기호양자의 기의, 즉 생산된 의미와 해석된 의미를 가능한 한 일치시켜, 연극이라는 예술작품과 그것을 감상하는 관객 사이의 가능한 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것이다.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의 성립과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 연극 예술에서의 무대 디자인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 먼저 기호학의 개요를 살피고, 다음으로 공간기호이면서 연극기호이기도 한 무대공간 기호의 이해를 위해 공간기호학과 연극기호학, 그리고 나름대로의 특성을 갖고 있는 연극공간의 기호학을 고찰하고 정리하여, 무대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방법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 기호학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에 연극의 창조와 감상까지의 전과정을 적용, 전 상연 기호 창조 작업의 영역과 위상을 규정하고, 2). 희곡텍스트에의 기호학적 분석과 상연텍스트에의 기호학적 적용을 주축으로 전체 상연 기호의 방향과 윤곽을 설정한 후, 3). 텍스트 구성의 계열체와 통합체의 이론을 연극공간에 적요, 공간의 계열체적 구조를 도출, 무대공간과 물리적 요소들의 구조와 형태를 결정하고 통합체적 조합을 통해 기본적 무대공간의 전체 형태를 형상화한다. 4). ‘공간기호’라 할 수 있는 장소성을 가지는 무대공간의 형상이 드러나면, 시간성을 가지고 상연되는 ‘연극기호’로서의 무대의 변화 양상을 형상화한다. 3. 실제 희곡작품의 상연을 가정, 위의 과정을 적용하여 무대디자인을 실행, 무대공간의 형태를 이끌어냄으로써 위 방법론이 실제 무대디자인 방법으로 성립할 수 있음을 보았다. 대상 작품은 프랑스 신고전주의 작품인 라신의 [페드르]이며,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하여 한 여인의 내적 갈등으로 빚어지는 운명적 비극이다. 이 비극의 공간을 ‘밝음의 공간’과 ‘어둠의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빛과 그림자를 각 공간의 대립하는 힘으로 표현, 양자의 갈등과 대결을 변화 의 줄기로 삼았다. 이러한 설정은 정념/이성, 패륜/도덕, 불결/순수, 신/인간, 운명/의지 등 작품의 중심적 의미를 이루는 모든 갈등과 그 갈등이 이끌어가는 비극의 진행을 담는 기호로 작용한다. 4. 실제 극장의 무대에 도출된 무대 공간 기호를 적용, 설계하고 3차원 모형을 만들어 봄으로써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과정을 통한 무대공간의 구축이 연극 상연의 모든 기호들을 담고 함께 움직이는 상연의 장으로서의 무대가 됨을 검증하였다. 대상 극장은 예술의 전당 내의 토월극장으로 규모가 크고 움직이는 보조무대가 있어 앞서 도출된 무대공간 기호들 중 빛과 그림자를 적극적으로 사용, 넓은 공간에서의 밝음의 공간과 어둠의 공간의 대결을 극대화하고, 보조무대를 사용하여 어둠의 공간부분을 전진하게 함으로써 어둠의 공간이 밝음의 공간을 잠식해감을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무대공간 기호를 대항 무대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 탄력적이고 유동적이며 무대의 상황에 따른 대처 가능성이 풍부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극을 총체적 기호체계인 텍스트로 파악하고 연극의 전 창조과정에 기호학적으로 접근하여 무대디자인의 방법을 체계화함으로써, 여러 가지 타분야와 함께 하나의 연극작품을 창조하는 데에 있어 무대디자인의 영역과 그 과정을 명확히 하여,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무대디자인 방법이 연극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무대디자인 방법은 객석과 무대에서 관객과 작품이 상호간에 메시지를 공유하는 성공적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높여주어 연극 예술의 본질적 기대를 더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을 것이며, 인간과 구축환경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환경디자인의 본질적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