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유치원 시간 연장제 학급 운영에 관한 실태 연구

Title
유치원 시간 연장제 학급 운영에 관한 실태 연구
Authors
김영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xtended program management in kindergarten in term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on the program and therefor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xtended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have been established. 1. What is the general style of extended program management? 2.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extended program? 3. What is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in managing extended program? This study has analysed the frequency(N) and percentage(%), and also has ranged the answers for the open questions by type based upon the responded questionnaires from 111 kindergarten which were operating extended program in Seoul.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30 questions and has been invented by researcher on the basis of literature survey.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arting and closing time of extended program were 9:00 to 9:30 and 14:00 to 15:00 respectively and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in one class were ranging from 16 to 50 and most of kindergarten were operating 5 days per week with 1 or 3 classes. The class consisted mainly of the same-age group and the contents of program were found as being different from half-day program, which were appropriate to operate extended program in more than half of kindergarten. In another half of kindergarten, however, the contents of program were same as half-day program or simply with an addition of safety and protection and regular daily living to it. The afternoon special activities were being offered in more than half of kindergarten with a skilled teacher for those particular special activities. Art was most popular one and then there were science, letters and numbers, music, gym. english activities in sequence. Secondly, the major advantages of extended program recognized by the teachers were that it could provide sufficient time for social interaction. Futhermore, the fact that extended program could provide a creative and reinforced experience was importantly recognized by the teachers whose career were less than 5∼7 years. The major disadvantages of extended program recognized by teachers were the children s tiredness and resultant demoted quality of learning, more specifically, the teachers of junior college graduation thought that it could do negative effects to children due to long time separation from family. Selection and leading of the program was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eachers. Most of teachers involved in extended program showed negative expression regarding to the afternoon special activities. For the questions asking about the desired style of class, 87.6% of teachers hoped the half-day program, which meant they felt a dissatisfaction with extended program. Thirdly, most of teachers involved in extended program were concerned about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they thought the main difficulties in operating extended program were the short of contents and next was the inappropriateness of program time line and the lack of facilities. ; 본 연구는 시간 연장제 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을 대상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연장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연장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연장제 학급의 일반적 운영형태는 어떠한가? 2. 유치원 연장제 학급에 대한 교사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 연장제 학급 운영 시 교사의 애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서 연장제를 운영하는 사립 유치원 111개 원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유치원에서 연장제 학급운영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용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문헌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직접 고안한 설문지로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유 기술식 문항은 유형별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제 학급의 일반적 운영형태는 다음과 같다. 연장제 학급은 대체로 9시∼9시 30분에 등원하여 14시∼15시에 하원 하는 형태로 1일 5시간의 학급운영을 주로 하고 있고, 유치원에서 연장제를 실시하는 학급의 평균 원아 수는 21 - 30명 정도로 주 5일 운영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학급의 구성은 과반수 이상인 56.1%가 동일연령집단 형태이며 주교사 1인이 반일반과 내용이 다른 연장제 운영에 적합한 단독내용을 선정하여 학급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교육 내용면에서 나머지 과반수 이상인 59.9%는 반일반과 동일한 교육내용 이거나 반일반 교육내용에 안전과 보호, 일상생활 교육을 첨가한 교육내용으로 운영되었다. 오후 특별활동은 전체 54.9%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오후 특별활동을 위한 특기 교사도 있었다. 주요 내용은 미술활동이 가장 많았고 과학, 한글 ·수, 음악, 체육, 영어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연장제 학급운영에 관한 교사 인식은 다음과 같다. 교사가 인식하는 연장제 교육의 장점은 사회적 상호작용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연장제 교육의 단점에 대해 교사들은 아동의 피로로 학습의 질이 저하된다고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재교육에 대해서 교사들은 연장제 운영방법에 관한 재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교육활동의 선정 및 지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오후 특별활동에 관해 선 대체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연장제를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희망하는 학급운영형태를 질문한 항목에 87.6%의 교사들은 반일반을 희망하여 연장제 교사로서의 불만족을 나타냈다. 셋째, 연장제 학급운영 시 애로점은 다음과 같다. 연장제 학급의 교사들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문제를 가장 힘들어했으며 연장제 학급을 운영하면서 프로그램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고 운영시간의 부적절, 시설 설비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