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Title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Authors
김신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역할수행능력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1-1. 유아교사의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어떠한가? 1-2. 유아 교사의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변인(경력, 근무기관, 학력)에 따라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전반적 인식 정도는 어떠한가? 2-1. 유아교사의 역할수행능력 인식의 경향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변인(경력, 근무기관, 학력)에 따른 역할수행능력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1. 유아교사의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2..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교사 19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역할수행능력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들의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든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strument (STEBI)와 Cho와 Saracho(1997)의 Early Childhood Teacher s Role Rating Scale(ECTRR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사들의 배경변인을 정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도구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교사의 효능감 및 역할수행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의 집단별 평균치 차이분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는 spss wi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교수 효능감,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연령, 학력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 경력 및 연령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높을수록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정도는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교사의 경력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차이 분석에 있어서는 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상담자 및 조언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사의 경력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과의 관계에서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는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 연구자로서의 역할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a children s teacher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and a relation between the efficiency of a children s teacher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How are is the general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1-1. How is the general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individual efficiency? 1-2. How is the general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individual efficiency according to variables(experience, workplace, and education level)? 2. How is the general recognition of children s teachers role performing ability? 2-1. How is the trend of the recognition of children s teachers role performing ability? 2-2. How is the trend of the recognition of children s teachers role performing ability according to variables(experience, workplace, and education level)? 3. How are the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related? 3-1. How are the general teaching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related? 3-2. How are the individual teaching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rela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located in Cholla province.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this study use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s a study tool, this study use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and Early childhood Teacher s role rating Scale(ECTRRS) developed by Cho bukyoung and Saracho, and 2 child education MAs and a child education professional inspect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are treated by frequency analysis to arrang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redibility analysis is conducted for inspecting the credibility of each tool. Also, analysis i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their role performing ability, and t-test is done for the analysis of average difference of variables i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teaching efficiency and individual teaching efficiency are different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experience, workplace, and education level. The group of shorter teaching experience and younger age showed higher general teaching efficiency and individual teaching efficiency, and the higher education level is, the higher individual teaching efficiency becomes. Second, the general recognition of children s teachers role performing ability is statistically affected by teachers experience, age, and the kindergarten manager s major in analysing the role as a designer of curriculum. Third, the efficiency of children s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ing ability are not generally related to each other, but they are meaning fully interrelated in some parts, which means that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improvement of teachers effective role performing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