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철희-
dc.contributor.author홍미진-
dc.creator홍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42-
dc.description.abstractNowdays, resource mobilization in non-profit sector to indispensible because it can make the citizens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y and the social service agencies reduce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Sponsorship program is the most common way in Korea. It means that recipients individually linked to a donor. The donor who is linked to the recipient gives him or her the economic and emotional supports. These supports are so helpful to the recipient. The donor can think his or her supports worthy, through this kind of relationship. therefore is the Sponsorship program is stooped, it can cause losses to both recipient and agency. The existing studies report that the rate of ??? however, is very high in Korea. In this study, I tried to the expand the understanding about Sponsorship program and predict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I expect my study is helpful when the social service agencies develops the management - program of their donors. The subjects were selected 800 Korea Welfare Foundation Inc. I distributed questionnaire by mail. Total collected questionnaire were 203 (return rate 33.25%). Among 203 respondents, 154 respondents donate at time of survey while 49 stopped their donation. The SPSS/WIN PC was used to perform all necessary computation.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1. In Sponsorship program, 1 donor has relationship with 1.64 recipients. The most of them didn t have emotional interaction. 2. Among the donors personal fa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having the religion, recognition of family about donation. 3. Among the donor-recipients factors, it was only the recognition of recipient s names variable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mong the donation behavioral factors, variable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ponsorship donation were the motivation of donation, 5. Amo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variable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ponsorship donation were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satisfaction of management toward donor From the above results, I suggest four messages. 1. A numbers of donors had needs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s. so agencies effort to make various programs to support their emotional interaction 2 The agencies need to actively mobilize donors. 3. From significant variables, they can develop strategies to manage donors. 4. The agencies must recognize their reliability and reputation from donors. ; 사회복지 영역에서 민간간자원동원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져 왔다. 사회복지조직들의 만성적인 문제인 재정난 해소를 위한 전략적 차원을 벗어나 이제는 시민참여적 개념 하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민간자원동원에 있어 국내에서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모금방안인 결연후원은 일대일의 결연관계를 토대로 후원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질적 지원뿐 아니라 후원자와 수혜자의 정서적 교류까지도 가능한 후원방법이다. 따라서 결연대상자에게는 물질적, 심리적지지 모두를 받을 수 있으며, 후원자는 후원활동에 대한 보다 높은 보람과 주체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후원활동의 지속성이 더욱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결연사업을 살펴보면, 결연후원의 후원자 중단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높은 중단율 자체도 문제이지만 이로 인한 기관의 경제적, 비경제적인 측면의 손실, 그리고 결연대상자의 경제적, 정서적 타격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들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우선, 국내 결연후원의 실태를 파악하고, 후원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한 후원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변수군인 개인적 특성, 결연아동과의 관계, 후원활동 관련 요인, 기관관련 요인들과 후?廢갠? 지속여부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들이 결연후원활동의 지속과 중단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예측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후원자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결연후원의 대표적인 기관인 한국사회복지재단의 후원지속자 중단자들을 각각 400명씩 표집하여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단자 59부(회수율 15.75%), 지속자 154부(회수율 50.75%) 로 총 203 부(회수율 33.25%)였으며, SPSS/PC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과 같은 기술적 통계방법과 X2 검증,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결연후원사업의 실태를 살펴보면, 후원자들은 평균적으로 1.64명의 아동과 결연을 맺고 있었으며, 서신교환이나 만남을 통한 이들간의 정서적 교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후원활동에 대한 전체 욕구만족은 보통수준 이상이었으며, 후원금액은 15,000원에서 20,000원을 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평균값은 20,830원, 극단값들의 영향을 덜 받는 중간값은 15,000원이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 결연아동과의 관계, 후원활동 관련 요인, 기관관련 요인들과 후원활동 지속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종교의 유무, 후원활동에 대한 가족의 인지여부가 후원지속자집단과 중단자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결연아동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결연아동이름에 대한 인지정도, 후원활동 관련 특성에서는 후원활동 동기, 안전에 대한 후원욕구만족도 후원금 잡부방식에 있어 두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기관관련 특성에서는 기관관리와 후원금 운영만족도, 결연사업이외의 기관활동만족도, 결연후원자관리만족도에 있어 후원지속자집단과 중단자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어 독립변수군별로 결연후원활동의 지속과 중단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개인적 특성들 중에는 종교의 유무와 후원활동에 대한 가족의 인지여부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결연아동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결연아동의 이름인지정도만이 후원활동 지속과 중단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후원활동 관련 요인에서는 후원활동 동기, 후원활동 계기, 후원금의 송금방법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후원활동 동기는 이기적 동기만으로 시작한 사람보다는 이타적인 동기를 포함하고 있는 후원자들의 후원지속 odds가 높았다. 후원활동 계기에 있어서는 매체나 주변사람의 권유에 의해서 한 사람이 스스로 찾아서 한 후원자들에 비해 후원지속 odds가 낮았다. 송금방법은 자동이체를 이용하는 후원자들이 은행지로나 우편대체를 통해 후원활동을 하는 경우보다 후원지속 odd값이 높게 나타났다. 기관관련 요인들에 있어서는 기관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소식지를 받은 후원자와 결연후원자 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후원지속 odds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변수군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변수들을 종합해서 결연후원활동의 지속과 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후원자의 종교유무, 결연아동에 대한 이름인지정도, 후원금이 송금방법, 기관관리, 결연후원자관리에 대한 기관만족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와 결연후원활동의 지속과 중단을 예측함에 있어 이들 5가지 변수들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결연’의 의미를 상실한 국내결연사업의 실태와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후원자들이 결연대상자와의 관계에 대한 욕구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간의 정서적 교류를 위한 기관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후원자개발에 있어 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었으나 이제는 후원자 개발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고 다양한 수준의 노력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결연후원활동 지속여부에 있어 후원자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전략적인 차원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관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후원활동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내용 = 3 II. 이론적 배경 = 5 A. 결연후원활동 = 5 1. 결연후원 개념 및 특성 = 5 2. 국내결연후원사업의 등장배경 = 7 3. 국내결연사업의 현황 = 8 B. 결연후원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 1. 개인적 특성 = 11 2. 결연대상자와의 관계 = 12 3. 후원활동 관련 요인 = 13 4. 기관관련 요인 = 17 C. 후원활동 중단 요인에 관한 논의들 = 18 D. 연구분석틀 = 20 III. 연구방법 = 22 A. 조사대상 = 22 B. 자료수집 = 22 C. 변수 선정 = 23 D. 조사도구 = 24 E. 자료처리방법 = 25 IV. 연구결과 및 분석 = 27 A.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8 B. 각 변수에 대한 기술적 분석 = 31 1. 결연 관련 변수 = 31 2. 후원활동관련 변수 = 33 3. 기관관련 변수 = 38 4. 중단이유 = 39 C. 각 변수와 후원활동지속 여부의 관계분석 = 40 1. 개인적 특성과 후원활동 지속여부 = 40 2. 결연아동과의 관계와 후원지속여부 = 42 3. 후원활동 관련 특성과 후원지속여부 = 43 4, 기관관련 특성과 후원지속여부 = 45 D. 후원활동 중단에 영향 미치는 요인 = 46 1. 개인적 특성이 후원활동 중단에 미치는 영향 = 47 2. 결연아동과의 관계가 후원활동중단에 미치는 영향 = 49 3. 후원활동 관련요인이 후원활동 중단에 미치는 영향 = 50 4. 기관관련변수가 후원활동 중단에 미치는 영향 = 52 5. 종합적인 검증 = 54 V. 결 론 = 57 A. 연구결과 요약 = 57 B. 연구의 함의 = 59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62 참 고 문 헌 = 63 설 문 지 = 6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189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결연후원활동 지속과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