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이-
dc.contributor.author정혜인-
dc.creator정혜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39-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우리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실업자의 급속한 증가는 수적 증가 뿐 아니라 그로 인해 미치는 사회전반에 대한 영향이 매우 크다. 더욱이 실업자가 대부분 한 가정의 가장이라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실업으로 인한 영향을 받는 수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부모의 실업은 개인과 가정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실업으로 인해 가정은 경제적 지위의 하락 등 가족의 물리적 환경에서의 영향 뿐 아니라 부모자녀와의 관계와 가정분위기 등 심리적인 환경에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가정환경은 청소년의 발달과업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업으로 인한 가정환경의 변화는 청소년 자녀에게는 직결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실업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실업으로 인해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하고 나아가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인 자아존중감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를 위해 부모의 실업이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업가정의 자녀와 일반가정의 자녀로 구성된 두 집단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 또한 실업가정 자녀 중 가정환경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높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4학교, 4학급의 203명을 설문대상으로 가족구조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구성된 물리적 가정환경, 부모와 자녀의 관계, 가정분위기로 구성된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177부였으며, SPSS/WIN PC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χ²검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가정과 일반가정 환경의 비교를 통해 실업이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가정환경 요인으로는 실업의 영향으로 변화가능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상·중·하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으로는 가정분위기, 부-자녀관계, 모-자녀관계를 조사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는 실업가정이 실업가정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나 실업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하락을 초래하였거나 실업이 주로 중·하층에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인 가정분위기, 부-자녀관계, 모-자녀관계는 실업가정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나 실업의 심리적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부-자녀관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부의 개입, 의사소통, 분노에서 모두 실업가정 자녀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나 실업가정에서 부에 의한 부적절한 양육방식이 이루어지며 부와 자녀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모-자녀관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분노·역할혼동, 동일시, 의사소통에서도 실업가정 자녀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나 실업가정에서 모와 자녀사이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업과 관련하여 모의 상(image)의 변화로 인한 역할혼란, 동일시의 감소 등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둘째, 실업가정과 일반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비교하였다. 실업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일반가정 자녀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아 실업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정환경에 따른 실업가정과 일반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가정환경은 물리적 가정환경, 심리적 가정환경으로 구분하였고, 물리적 가정환경에는 가족구조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포함되었으며, 심리적 가정환경에는 가정분위기, 부-자녀관계, 모-자녀관계가 포함되어 있다. 가족구조에 따른 두 집단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부 생존, 모 생존, 부 종교있음, 모 종교있음, 자녀 종교있음, 생활보호비대상자, 보호제공자-친부모, 출생순위-장남·장녀일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부와 모가 생존한 경우, 부, 모, 자녀가 종교가 있을 때, 생활보호대상자인 경우와 친부모가 보호제공자인 경우에 이와 상관없이 실업가정의 자녀가 일반가정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출생순위의 경우 장남·장녀가 실업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실업가정과 일반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비교는 중층의 경우 실업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낮은 반면 하층의 경우 두 집단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아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중층일 때 이와 상관없이 실업가정의 자녀가 일반가정 자녀보다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낮음을 보여준다.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가정분위기와 모-자녀관계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것은 가정분위기와 모-자녀관계의 정도가 높으면 실업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실업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모-자녀관계이고 일반가정의 경우 가정분위기와 모-자녀관계로 실업가정에서 모-자녀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실업가정 자녀를 자아존중감의 평균을 기준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상위집단과 자아존중감이 낮은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가정환경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물리적 가정환경에서는 부 종교없음과 자녀 종교없음의 경우에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심리적 가정환경에서는 가정분위기와 모-자녀관계의 경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모-자녀관계나 가정분위기의 차이는 매우 확연하게 드러나 심리적 가정환경의 차이가 자아존중감 차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부모의 실업은 가정환경에 영향을 미쳐 일반가정보다 가정환경의 수준 낮을 뿐 아니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쳐 일반가정의 자녀보다 자아존중감의 유의미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와 자녀관계나 가정 분위기 등 심리적 가정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부모의 실업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가정환경이 좋은 가정은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실직한 가정에 연구나 개입의 초점을 실직자나 그 배우자 뿐 아니라 자녀에게도 맞추어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임상적인 개입, 가족의 심리적 환경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정책적으로 실업가정 부모의 재취업을 위한 원조를 통해 실업가정 청소년기 자녀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that now Korea is facing is the increasing number of unemployments and its impact on the whole society is wide and various. Especially in a family, parents unemployment brings many changes to the family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consists of physical family environment where there are family structure an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o- logical family environment where there are family mood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s it is well known that family environment influences on adoles- cents self-esteem, changes of parents unemployment to family environment are directly connected with adolescents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nquish the negative impacts on adolescents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by analyzing the impact of parents unemployment on adolescents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impact of parents unem- ployment on family environments and on adolescents self-esteem by way of comparing one group who has unemployment parents with the other group who has employment parents. A sample of 17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per- sonal information form and physical family environments questionnaire which is made up of family structure questionnaire and parents socio- economic status questionnaire,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question- naire which is made up of family mood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urvey and Rogenberg Self-Esteem Scale.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regression using SPSS/WIN PC.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impact of parents unemployment on family environments is investigated by comparing one group who has unemployment parents with the other group who has employment parents. I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amily mood,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and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the group who has unemployment par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roup who has employment parents. 2. In comparing adolescent s self-esteem the group who has unem- ployment par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group who has employment parents. It means that parents unemployment negatively affect adolescent s self-esteem. In the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family mood and mother- adolescent relationship have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 esteem. 3. The group who has unemployment parent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upper self esteem group whose self esteem is over mean and the other group is lower self esteem group whose self esteem is below the mean. In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father or adolescent have a religion the upper group is significantly high in self esteem. In family mood and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the upper group is significantly high in self esteem. It means adolescents who have unemployment parents can also improve their self-esteem by developing family mood and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Synthesizing above the results, parents unemployment negatively affects on family environments and adolescents self esteem. However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such as family mood and mother- adolescent relationship are closely connected with adolescents self esteem. Therefore we can improve adolescents self esteem though they are affect- ing negatively by their parents unemploy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내용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실업 = 4 1. 실업의 개념 = 4 2. 사회문제로서의 실업 = 5 B. 가정환경 = 6 C. 자아존중감 = 8 1. 자아존중감의 개념 = 8 2.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 = 9 D.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10 1. 물리적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11 2. 심리적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12 E. 실업이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 = 13 III.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17 1. 연구대상 = 17 2. 자료수집방법 = 17 B. 주요변수의 조작화 = 17 C. 연구가설 = 19 D. 연구모형 = 20 E. 조사도구 = 21 1. 가정환경진단검사 = 21 2. 자아존중감 = 23 F. 조사분석방법 = 23 IV. 연구결과 및 분석 = 24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24 1. 일반적 특성 = 24 2. 물리적 가정환경 특성 = 25 1) 가족구조 = 25 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 28 B. 가설검증 = 32 1. 실업가정과 일반가정 환경 비교 = 32 1) 물리적 가정환경 비교 = 33 2) 심리적 가정환경 비교 = 33 2. 실업가정과 일반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비교 = 37 1) 물리적 가정환경에 따른 자아존중감 비교 = 38 2) 심리적 가정환경 = 47 V.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1. 연구결과의 요약 = 56 B.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59 참고문헌 = 60 설문지 = 64 영문초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73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의 실업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