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어미 '-ㄴ가'의 통사, 의미적 기능 연구

Title
어미 '-ㄴ가'의 통사, 의미적 기능 연구
Authors
박선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국어의 어미 ‘-ㄴ가’가 문장 내에서 가지는 통사적인 기능과 그에 따른 의미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살피고자 한 논의였다. 제 Ⅱ장에서는 ‘-ㄴ가’가 실현된 종결문을 그 화용적 조건의 차이에 근거하여 회의문과 의문문으로 나누었다. 회의문에서 ‘-ㄴ가’는 화자가 사태에 대해서 가지는 판단을 보류하면서 사태에 대한 ‘회의’의 인지양상을 드러내는 서법적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의문문에서 실현된 어미 ‘-ㄴ가’에는 회의문의 ‘회의’의 인지양상 뿐만이 아니라 더불어 원발화의 화자가 상위문의 여격어로 드러나는 원발화의 청자에게 가지는 ‘답변요구’의 태도와 ‘예사낮춤’에 해당하는 청자대우법을 드러내는 기능이 있었다. Ⅲ장에서는 ‘-ㄴ가’가 실현된 내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동사구 보문 구조와 간접 명사구 보문 구조 안에서 살펴보았다. 동사구 보문 구조에서 ‘-ㄴ가’가 실현된 내포문은 상위문의 지배 동사구에 대해 부사절이나 명사절로서 기능을 했다. 부사절로 기능하는 내포문은 상위술어와의 사이에 어떠한 언어형식도 허용하지 않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일반 의문문 형식의 4가지가 모두 실현될 수 있었던 반면, 명사절로 기능하는 내포문에서는 내포문과 상위술어 사이에는 다른 언어형식이 개재 가능하고, 판정의문문의 형식을 가진 구조는 제약을 받았다. 내포문의 의미적인 특성 또한 통사적 기능에 의해 차별화되었다. 부사절로 기능하는 내포문에서 어미 ‘-ㄴ가’는 상위문 주어가 가지는 ‘회의’의 인지양상을 드러내는 반면에, 명사절로 기능하는 내포문에서 ‘-ㄴ가’는 상위문 주어의 회의의 인지양상을 드러내지 않았다. 오히려, 내포문 전체가 내포문과 동일한 구조의 의문문을 실현시켰을때,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답변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부사절로 기능하는 내포문에서 실현되는 의문형 어미 ‘-냐’와 ‘-ㄴ가’의 구문상의 대조를 통해서 ‘-ㄴ가’는 ‘회의’의 인지양상만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의문형어미 ‘-냐’는 ‘회의’의 인지양상만이 아니라 원발화의 청자인 상위문의 여격어에 대한 ‘답변요구’의 태도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명사절로 기능하는 내포문의 구문상의 대조를 통해, ‘-ㄴ가’와 ‘-ㄴ지’가 실현되었을 때, 내포문의 사실성 전제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았는데, 명사절로 기능하는 ‘-ㄴ가’가 실현된 내포문은 사실성을 보장받지 않았다. 간접 명사구 보문 구조에서는 머리명사와 ‘-ㄴ가’가 실현된 완형보문의 의미적 관계를 주로 살펴보았는데, 머리명사가 회의성을 지닐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의미론적으로 동격관계(appositive relationship)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비회의성인 머리명사가 ‘-ㄴ가’가 실현된 완형보문은 동격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ender -(i)nka . In chapter Ⅱ, I divided the sentences ends in -(i)nka into Doubt sentence and interrogative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s in their pragmatic conditions. The -(i)nka in Doubt sentence has the semantic function which expresses the speaker s epistemic modality of doubt withholding the judgement of situation. The -(i)nka in interrogative has two pragmatic functions, one of which is to express the speaker s attitude of request for answer , and the other, to express the speech level of FAMILR in addition to semantic function such as the speaker s epistemic modality of doubt . In chapter Ⅲ, I have examined th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embedded sentences ends in -(i)nka in two structures of verb-phrase complement and indirect noun-phrase complement. The embedded sentence ends in -(i)nka syntactically functions as a adverbial clause or nominal clause dominated by verb-phrase of matrix sentence in verb-phrase complement. When the embedded sentence ends in -(i)nka functions as adverbial clause, no linguistic form can be placed between the embedded sentence and its dominating verb-phrase, and all types of interrogative (such as Wh- question, selective question, and yes-no question) can be represented. On the contrary, when it functions as nominal clause, other linguistic forms are allowed to be placed between the embedded sentence and its dominating verb-phrase, and the all types of interrogative except yes-no question can be presente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embedded sentence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syntactic functions in verb-phrase as well. The -(i)nka in the embedded sentence functioning as adverbial clause represents the epistemic modality of doubt . On the other hand, the embedded sentence functioning as nominal clause dose not represent the epistemic modality of doubt . rather, the whole embedded sentence has the meaning corresponding to the answer which can be drown from the interrogative which has the identical form with the embedded sentence ends in -(i)nka . Furthermore, when the embedded sentences functioning as adverbial clause, the -nya or -(i)nka can be presented as a ender of the embedded sentence. The -(i)nka has the epistemic modality of doubt but -nya represents not only the epistemic modality of doubt but also the primary speaker s attitude of request for the answer toward the primary hearer appearing as a Dative in a sentence. Through comparing the constructions of sentences, the embedded sentences end in -(i)nka and -(i)nji are different in presupposing fact. The factive presupposition of the embedded sentence is not guaranteed, when it ends in -(i)nka . What I have focused on indirect noun-phrase complement is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head noun and the un-deformed sentential complement ends in -(i)nka . When the head nouns have doubt as a semantic property, un-deformed sentential complement ends in -(i)nka becomes Content-clause and Appositive clause to its head nouns. But, when the head nouns do not have doubt as a semantic property, un-deformed sentential complement ends in -(i)nka can not be appositive to its head nou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