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근예-
dc.creator박근예-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5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2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파시즘의 위협과 프로문학의 퇴조라는 문단적 위기에 대응하여 새로운 문학을 추구하고자 했던, 1930년대 후반의 신세대 작가들로 구성된 단층파가 당대의 문학적 지형에서 어떻게 자신들의 문학관을 정립하고, 실제 작품에서 그것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단층파 문학의 인식 배경이 되고 있는 개성을 근대적 자아의 각성을 의미하는 주관성의 원리이면서 동시에 미적 자율성을 추구하는 문학적 개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930년대의 문학적 흐름이 개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하고 있음을 토대로 단층파 문학의 성립과 전개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II 장에서는 단층파 문학의 성립 배경이 되고 있는 1930년대 후반의 문단 상황에서 드러나는 개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파시즘의 위협이 야기한 위기의식에 대한 대응과 프로문학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었던 당대의 문단은 시대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휴머니즘과 지성에 기대를 걸었고, 프로문학의 이념 편향성을 비판하면서 작가의 주관에 의해 창작 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학적 개성을 추구하게 된다. 휴머니즘론과 지성론을 토대로 모색된 위기에 대응할 새로운 인간 유형은 개인의 지성적 반성과 사회적 실천력을 동시에 갖춘 인간이고, 프로문학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추구된 문학적 개성은 이념에 의해 규정된 객관 현실이 아니라 작가의 주관에 의해 작품이 창작 되었을때 획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III 장에서는 단층파의 문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들은 시대를 추종하는 통속 윤리를 거부하고 새로운 시대적 윤리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로서 문학의 계몽성을 추구하고, 사회적 계급적 인간을 창조하는 프로문학적 인간이 아니라 개성적 성격을 통해 파악되는 인물을 창조하여, 불안과 시대의식을 드러내고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출하였다. 또한 단층파는 문학을 침체화 시킨 지성의 과잉을 극복하고자 창조적 열정을 추구하는데, 이는 센티멘탈리즘이나 니힐리즘으로 흐를 경향이 있는 지성이 능동적인 반성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단층파가 시대의식을 드러내는 인물로서의 개성을 미적 자율성을 추구하는 문학적 개성을 통해 추구하려고 했음을 밝혀내게 된다. IV장에서는 단층파 문학의 표출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단층파 문학이 외부 현실을 재현하는 시대상을 반영하려는 경향과 심리주의적 기법을 사용하여 내면 세계를 표출하려는 경향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지만 후자의 작품 경향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안과 환멸의 시대의식을 내면화한 지식인의 분열된 의식 세계의 흐름과 내적 독백을 통해 표출되고, 회상을 통해 이념적 실천이 가능했던 긍정적 과거와 무위와 권태가 지배하는 퇴폐적 일상의 부정적 현재가 병렬적으로 교차하는 내적 시간에 의해 지식인의 자기 반성적인 의식의 내적 통일성을 추구하게 된다. 이러한 지식인의 자기 반성을 토대로 지성의 능동적 반성력을 회복하게 하는 창조적 열정이 글쓰기라는 형태를 통해 발현하게 된다. 불안과 환멸의 시대의식을 내면화한 인물을 문학 속에서 구현하고 창조적 열정을 발현 시키는 글쓰기를 시도함으로써 미적 자율성을 추구하는 문학적 개성을 획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상에서 단층파의 문학이 새로운 인간의 모색으로서의 개성과 이념을 배제한 문학적 개성의 형태로 나타난 1930년대 후반의 개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층파는 불안과 환멸의 시대의식을 내면화한 인물을 창조하고 심리주의 소설의 기법을 사용하여 분열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표출함으로써 위기의 시대에 대응하는 주체로서의 개성과 미적 자율성을 추구하는 문학적 개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었다. 그렇게 때문에 단층파는 이념 편향적인 프로문학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면서도 불안과 환멸의 시대의식을 내면하 하였고, 미적 자율성을 추구하는 문학적 개성을 옹호하면서도 위기의 시대를 반성할 수 있었다. ; This essay makes a study of the Dancheung-group(or the Dislocation) consisted of new generation writers in the late 30 s - which went into new attempts literature thoroughly cope with the dark situation of the literary circle at that time. In other words, I try to figure out how the Dancheung-group established their value system in a literature topographical map of those days and also how they embodied it in their real works to overcome the crisis - the meance of fascism and the ebb tide of proletarian literature. The individuality that becomes a cognitive background of the Dancheung-group not only means the awakening of modern self but also refers to the character to pursue a self-regulation towards beauty. I also want to examine the foundation and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Dancheung-group literature closely on the assumption that the flow of the thoughts in 1930 s recognized the individuality sharply. In chapter II, there is an overall bird s-eye view on the recognition about the individuality which appeared in the late 30 s literary situation. At that time, the literary circle faced the two kinds of requirements. The one is to be opposed to the crisis consciousness caused by the menace of fascism and the other is to instropect about proletarian literature. Therefore, the literary circle hoped much from humanism and intelligence to confront critical moments of the times. Then, it started to criticize the ideologically prejudiced features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to pursue the individuality that the creation activity should be accomplished by the auther s own subjectivity. In chapter III, I try to look into the Dancheung-group s attitude toward literature. At first, they rejected conventional ethics that follow the fashion of the day and headed for the enlightenment as a will to lead the innovating ethics of the brand new days. Scondly, they created a character of being found out through unique personality, not one of proletarian character to mass produce typical social class. This new character could expose the spirit of the days in anxiety and disillusionment and express the intention to overcome the situation. Then, finally, the Dancheung-group ran after the creative passion to solve a problem of excessing intelligence which have got stagnunt literature in 1930 s. That could make it possible intelligence, might flow to sentimentalism or nihilism, performed a role of reflective one in a active manner. In chapter IV, I examined a matter of expressive in the Dancheung-group s literature. Their literature had both the trend of reflecting those days reality by representing the external world and that of showing the internal consciousness by using techiniques of psychological novel. However, it is easilly found that the Dancheung-group especially focussed on the latter. The dissociated consciousness of the intelllectuals who internalized the spirit in the days of anxiety and disillusionment, was expressed through the flow of consciousness. Moroever, they created the concept od inner time which enabled to cross the past and the present parallelly. By means of retrospection, the positive past of having practiced ideology was compared to the negative present of being controlled by inactivity and ennui in decadent every day life. Based upon this self-examination of the intellectual, they manifested their creative passion which could restore the active reflection ability of intelligence in the form of the writing. As mentioned above, the Dancheung-group s literatu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the recognition on the individuality required in late 30 s literary circle. They created the new character of internalized spirit of the days and expressed the dissociated consciousness of the intellectual by the technique of psychological novel. Therefore, they could pursue both the individuality as the subject of coping with the crisis and that of chasing self-regulation towards beauty. Hence, the Dancheung-group could catch two kinds of rabbits at a time in conclusion. Their works were esthetical (advocating the self-regulation on beauty) as well as reflective (internalizing the spirit of the d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 1 B.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 5 II. 단층파 문학의 성립 배경 = 8 A. 위기에 대응할 새로운 인간의 모색 = 8 B. 이념을 배제한 문학적 개성의 추구 = 16 III. 단층파의 문학에 대한 인식 = 22 A. 문학의 통속성 비판과 계몽성의 추구 = 23 B. 프로문학 반성과 개성적 성격의 창조 = 30 C. 지성의 반성과 창조적 열정의 추구 = 38 IV. 단층파 문학의 표출 양상 = 49 A. 외부 현실의 재현에 의한 시대상의 반영 = 49 B. 심리주의 기법을 통한 내면 세계의 표출 = 56 C. 창조적 열정의 발현으로서의 글쓰기 = 75 V. 단층파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 85 VI. 결론 = 90 참고문헌 = 93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958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단층파 문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