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자연의 조형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물고기 지느러미의 조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Title
자연의 조형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물고기 지느러미의 조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rrespective of time or place natural objects were important motif for art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tine or personality of artists aesthetic attributes of such objects were reflected upon arts uniquely. Such objects were reflected upon arts uniquely. Such objects were transmuted into aesthetics of the given age. Since ancient time the turn ‘beautiful’ was also interpreted as meaning ‘worthy for recognition’ or ‘laudable’ and there was only a slight difference of meaning with ‘virtuous’. Plato included the ‘ethical virtue’ in the concept of beauty and this is a characteristic element which is carefully excluded from aesthetical attributes. Artistotle defined beauty as ‘it is something virtuous and pleasant.’ The broadest concept of beauty goes back to the time of ancient Greece and with such a concept in the definition of beauty not only aesthetics but also logics were included. In the aphorism of the Middles Ages namely ‘what is beautiful is identical to what is perfect’(Pulchrum et perfectum ikemest) we can discover a similar concept to this one. Nevertheless today concept of the beauty is gradually being transformed into something subjective and aesthetic criteria beauty also came to have diversity. Criteria for beauty are changing even now and it will be changed continuously in future.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 with beauty felt by humans but there are elements of commonness too. For example flowers, butterflies, lawn, well trimmed things etc. most of such objects will be felt as beautiful by many people. But distorted pebbles or when articles watching. And this is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beauty and such differences may be found on differences may be found on the basis of individuals, countries or times. Like this diversity is an inherent thinking and beautiful body etc. Therefore in the world we have not only various beautiful object but also different kinds of beauty in such objects. For example scholars made distinction between beauty of nature and forms and also distinguished between beauty of music and beauty of visual arts, beauty of concrete and abstract forms and beauty specific to the object itself and beauty associated with such object. Fish fins which are motif i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such difference in concept prior to initiating any study.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discovering various elements affecting human vision and finding out it is to expand the realm of expression for clothes design through creating more beautiful clothes through its application. As to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for identifying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formative arts the kind of influence made upon humans aesthetic sense by the image of nature is studied. By collecting data on types and special features of fish the significance of fish fins motif for design is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with a focus on forms and color of fish fins totally 8 sets of life size fine are produced and through such process this writer could draw following conclusion: First, humans‘ creative urge is creating various designs based on the motif of nature. In the midst of more dehumanizing and industrialized society humans seek for natural design presented according to such humans’ thirst for natural motif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for transmitting natural beauty to humans. Seco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fish fins which are one of specific motif among diverse beauty are possible for furnishing variety of materials. Third, design expression by change, re-composition, exaggeration and contraction, in connection with important function of design, and fish fin forms as design elements applied to clothes are found as appropriate creating such vivacious formative beauty. Fourth, there are various elements in design factors being utilized for expression of design by designer and among them line, color, silhouette and material quality - 4 elements are considered as most representative. Such elements are affected by circumstances of given time and it was possible to for unique formative system of expression of modern design on the basis of principle for creative form creation. Fifth, with respect to design element lines are most liberal and variegated and they are significant factors for deciding outline and colors are appropriate element for expression of endless natural colors and hues. And as for silhouette it is formed freshly when it encounters human body and when silhouette fits to circumstance of given time it can be revaluated. Finally quality expression of attributes of object for expression. And such characteristics unlike other element stimulate not only our visual sense but also our tactile sense lending to another possibility in from creation. Under such conclusion more study in depth and breadth seeking out for possibility in diverse modern design and on nature is expected. ; 자연의 대사물은 어느 시대나 지역을 막론하고 예술에 있어서 중요한 소재가 되어 왔다. 시대적 특성 혹은 작가의 개성에 따라 자연의 조형성은 예술에 각기 독창적으로 반영되었다. 그러한 자연은 그 시대적 지역적 특성에 맞게 조형화 되어 그 시대의 미학을 대표한다. 고대로부터 ‘아름답다’라는 말은 ‘인정받을 가치가 있다’ 또는 ‘칭찬할 만하다.’ 등을 의미했고, ‘선하다’는 것과는 극히 미묘하게 사소한 차이가 날 뿐이었다. 플라톤은 미 속에 ‘도덕적인 미’를 포함시켰는데, 그것은 우리가 심미적 특질로부터 조심스럽게 배제시키는 특징적 성격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를 ″선한 것이며 따라서 쾌적한 것″으로 정의했다. 가장넓은 의미에서는 미는 희랍 원래의 미개념으로, 여기에는 미학뿐만 아니라 윤리학까지 포함된다. 이와 비슷한 개념을 중세의 격언 ‘아름다운 것과 완전한 것은 동일하다.(Pulchrum et perfectrum idemest)’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미의 개념은 점차로 주관적으로 변해 가는 추세이고, 변해 가는 미적 기준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도 다양성을 갖게 되었다. 미의 기준은 지금도 변화되어져 가고 있고 앞으로도 변할 것이다. 인간이 느끼는 아름다움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물론 공통점도 있다. 예를 들면 꽃, 나비, 잔디 잘 다듬어진 물건들. 이런 것들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름답다고 느낀다. 그러나 어떤 일그러진 조약돌 혹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엉성한 물건이 놓여졌을 때 아름답게, 또는 흉하게 생각 할 수도 있다. 이것이 미의 개념의 차이인데 이는 개인마다 나라마다 또는 그시대마다의 차이점을 지닌다. 미는 이처럼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아름다운 대상들 속에는 자연의 경치뿐만 아니라 예술작품, 아름다운 목소리, 아름다운사고, 아름다운 신체 등이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세상에는 여러 가지의 아름다운 대상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대상들의 미 자체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학자들은 자연미와 형식의 미를 구별하였고 음악미와 시각예술의 미를, 구체적 형태의 미와 추상적 형식의 미를, 대상 고유의 미와 연상에 의한 미를 구별지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otive로 다루는 물고기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연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아름답고 생동감 있는 의상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이 바라보는 시각에 미치는 여러가지의 요소들을 찾아 의상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모티브가 의상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보다 아름다운 의상디자인을 창출하여 의상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자연과 조형예술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의 이미지가 인간의 미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보고 물고기는 디자인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동시에 지느러미의 형태와 색감을 중심으로 총8벌의 실물을 제작하였는데 이러한 전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의 결과를 종합할 수 있었다. 첫째, 인간의 창의적 욕구는 자연을 모티브로한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해 내고 있으면 점점 각박하고 산업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현상 속에서 인간은 더욱더 자연적인 이미지를 추구하고 이에 따라 제시되는 의상디자인은 인간에게 자연의 미를 전달하는 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자연의 다양한 아름다움 중에서 특정 모티브인 물고기 지느러미의 형태를 변형함과 동시에 이를 현대 의상에 적용함에 있어서 물고기 지느러미의 조형화는 다양한 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모티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에 있어서 변화와 재조함, 과장, 또는 축소에 의한 디자인 표현은 의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러한 디자인요소에 의한 지느러미의 형태를 의상에 적용함에 있어 보다 생동감 있는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였다. 넷째, 디자이너가 디자인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디자인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선, 색채, 실루엣, 재질 이 네가지는 대표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 시대적 상황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한 의상 디자인의 독창적인 조형 체계를 추구 할 수 있었으며 창의적 조형 원리에 근거한 현대의상의 표현영역을 확대할 수 있었다. 다섯째, 디자인요소에 있어서 선은 가장 자유로우면서 변화가 다양하여 작품제작에 있어Out-line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색채는 침염과 그라데이션 염색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물고기의 자연스러운 색감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루엣은 의상이 인체와 만났을 때 새롭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지르러미의 곡선적 형태와 유선형의 형태가 인체와 만났을 때 새로운 조형적 형태를 갖게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질은 표현대상에 있어서의 특징을 비교적 섬세히 표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고물줄박기 와 파이핑, 기계주름등을 이용한 표현에 있어서 지느러미의 특징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현대 디자인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아울러 자연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