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자화기 연구

Title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자화기 연구
Authors
박은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ature implies numerous significances to the human being and it is the basic source of nspiration to all forms of art. An artist observes it from many different angles and gives result to a variety of styles. Different psychological emotions and expressions are shown through art works. This study look at different floral stuctures to be incorporated in the vase form. By creating new and exciting styles, we can create a way of life which can be closer to nature. Today, with modern advancements in technology, our lives have been severed from natural environments. This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in our contemporary lives. Therefore with function and aesthetics in mind, vases will enable us to keep nature close to our environment. Research was made on the different shapes of vases. This was later applied to the natural forms found in flowers. Many artists have worked with different floral structures. As a basis for the study, they have been examined carefully. Most of the work was made using a stoneware clay. In Work 2, for a better glaze effect, the white stoneware body was mixed with a celadon clay. For the Works 1, 4, 5, 6, 8, 9 a white stoneware clay was used to create a smooth surface. The Work number 10 was slip-casted using a porcelain clay. A black glaze was applied on at first, then it was partially wiped off. Coloured glazes were applied onto this surface. Different colours were added to a matt-white glaze. The first firing prolonged for 8 hours reaching a temperature of 850 degrees celsius. The second firing was for 9 hours and it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 degrees celsius. The work was oxidized. Works 1 and 2 were put into a third oxidation firing. This reached a temperature of 1000 in 6 hours. All firings were conducted in a 1.5 m gas kiln. In the designing process, preliminary drawing were made to show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s. Floral structures created many new ideas that could be translated into vases. Also the psyche, emotion, culture and the experiences of an artist contributes to the whole form of an object. Continuous trial and error in creating a design gave effective results in transforming an ordinary flower into something special.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ckground research for future developments on this subject; 자연은 인간에게 무한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예술가들의 영감의 원천이자 끊임없는 관찰과 예술의 표현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간의 자연에 대한 표현은 예술의 감성과 내면세계를 통하여 조형활동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자는 꽃으로부터 느끼게 되는 생동감과 다양한 이미지들을 본 논문의 주제인 화기에 반영하여 새로운 미적 가치를 지닌 형상으로 조형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우리가 살고있는 생활공간이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자연과 접촉할 기회가 점점 줄어들어 삭막해져 가고있는 가운데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에게 편안함과 아름다운 생명력을 주는 자연속의 꽃을 소재로하여 생활공간에서도 자연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화기 연구를 하여 흙을 매체로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화기를 제작하기 위해 질서정연하고 오묘한 조화미를 지니는 자연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과 이 자연의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형상화 하기위해 이미지와 조형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한 일반적인 꽃의 생태구조에 대해 관찰해 보았으며 꽃을 주제로 하여 조형작품을 제작한 국내외 작가들의 예술작품사례를 살펴보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태토로는 소성시 형태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 석기질 점토로 성형하거나<작품 2> 산백토를 사용하였고<작품 1,4,5,6,8,9>, 매끈한 표현을 위해 백자토<작품 3,7>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장주입 성형의 경우에는 백색도가 뛰어난 실크 화이트 소지를 사용하였다<작품 10>. 성형 방법으로는 꽃이 가지고 있는 곡선의 자연스러움과 생동감을 표현하기 위해 Coiling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작품 1,3,4,5,6,7,8,9> 속파기 기법이나 <작품 2>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기법도 사용하였다<작품 10>. 유약은 대부분 흑유로 닦아낸 후 색유로 분무시유 하였고 그 위에 다양한 안료들을 백매트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꽃의 다양하고 신비스런 색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성방법은 1.5㎥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850℃로 8시간동안 1차소성 하고 2차소성은 1.5㎥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1250℃로 9시간동안에 걸쳐 산화소성 하였으며, 3차소성은 1.5㎥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1000℃로 6시간동안 산화소성 하였다<작품 3,4>. 작품 디자인 과정에서는 꽃의 이미지가 조형적인 작품으로 발전해 가는 전개과정을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이와같이 꽃의 이미지를 조형적인 효과가 강조된 화기로 표현하는 일련의 작품 제작과정에서 꽃이 예술에 부합시켜 조형화 할 수 있는 무한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같은 소재로도 예술가가 속한 문화와 감성과 개성의 차이에 따라 그 표현영역이 얼마나 커지고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처음 의도한데로 작품을 구체화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의 자세가 필요하고, 주변에서 흔히 보고 지나치는 꽃이지만 연구의 주제로 설정하고 그것에 대한 애정과 계속적인 연구와 탐구의 자세로 작품에 임해야지만 더욱 창조적인 작업으로의 발전이 가능하고 진정한 의미를 작품에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