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박경리 소설의 공간 연구

Title
박경리 소설의 공간 연구
Authors
한혜련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공간을 이차모델 형성 체계의 한 언어로 보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소설의 텍스트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작가의 공간의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박경리에 관한 기존의 연구서들은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주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을 논리 전개의 출발점으로 하되, 공간을 이차모델 형성체계의 한 언어로 보고 그것이 구체적으로 소설의 텍스트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박경리 소설의 공간 의미를 밝히고자 논의를 전개시켰다. 그리고 그것의 실천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많은 작품을 기반으로 공간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호론의 기본을 이루고 있는 것은 차이고 그 차이는 이항대립적 관계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운 체계와 같은 방법으로 공간의 이산적 단위를 추출하면 수직, 수평으로 분절되고 그것은 다시 上/中/下와 內/境界/外의 하위분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러한 공간 체계는 성속(聖俗)이나 생사(生死)와 같은 양극화된 관념, 그리고 긍정· 부정과 같은 가치의 대립체계와 연계된다. 이같은 공간이 이산성과 그 의미 작용을 박경리의 서사구조 속에서 분석하고 그 공간이 의미하는 것을 비교하면 그 구조의 의미를 좀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A, B로 나누어 논의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시기적인 순서에 따라 주요 텍스트를 가려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A에서는 박경리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내/공간의 부정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내/공간은 /외/공간에 대립되는 것으로 수평 공간에서는 인간의 공간 이동에 의해 텍스트가 동태적인 것이 되고 서사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그러나 박경리의 초기 소설에서는 내/외 공간의 이동이 자유롭지 않고 /내/공간의 부정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공간의 의미가 생성되고 있다. 특히, 병에 의해 안락과 평화의 /내/공간이 해체되고 가족 구성이 완전하지 않음에 따른 /내/공간의 부정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내/외공간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B에서는 동태적인 텍스트(서사체 문학)에서 주인공=화장가 /내/공간에서 /외/공간으로 향해 나가는 이동과 /외/공간에서 /내/공간으로 들어오는 이동에 의한 공간 기호의 의미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내/공간과 /외/공간의 대립과 /내/공간에서 /외/공간을 향해 나가는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외/공간이 탈출이나 도주의 공간임을 언급하면서 /내/공간의 부정성을 극복하기 위한 생성의 /외/공간으로 나아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점점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여성 인물의 공간 이동에 대응하는 남성 인물의 공간이 뚜렷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수평 구조에 대립되는 수직 공간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특히 여성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 그들의 이동에 따른 공간 생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심화시켜 나가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박경리는 여성 인물의 /외/공간으로의 나아감을 지향하고 있으며 그를 통한 가족 공간의 회복, /내/공간의 부정성 회복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박경리의 경우, 주로 여성 인물의 수평 공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 나가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이러한 공간 확장이 서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Ⅲ장에서는 수평 공간에서의 경계 영역은 매개항의 기능을 한다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하였다. /內/와 /外/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항구’, ‘역’, 그리고 ‘길’ 같은 곳은 박경리의 텍스트에서 다의적인 기호를 생성하고 있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역’과 ‘항구’ 등이 갖는 의미를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추출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역’과 ‘항구’가 같은 /境界/ 공간이나 이들의 갖는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다. 역의 경우, 텍스트 내에서 /내/→/외/,/외/→/내/의 공간 이동이 자유로이 나타나며 반드시 /내/공간으로의 회귀를 전제한 /외/공간으로의 나아감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境界/공간의 의미가 /내/공간의 부정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다소 닫힌 공간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항구의 경우에는 /외/공간 지향의 의지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여성 인물의 나아감과 바다 건너의 /외/공간 즉, 국가적 차원의 /외/공간을 지향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역의 공간에 비해 열려진 공간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Ⅳ장에서는 박경리 작품에 나타난 공간이 시기적으로 의미하는 것과 공간의 기호가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박경리의 경우 동일한 공간 기호를 사용하여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집’, ‘병원’, 등의 공간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 중·장편 소설로 이어짐에 따라 점점 ‘통영’, ‘부산’과 같은 구체적인 지명 공간을 통해 공간 기호 체계를 형성하면서 이에 소속된 구체적인 ‘집’,의 공간과 /외/ 공간을 대립시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같은 공간 기호더라도 작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변모 양상과 /외/공간 지향의 작가 의지를 좀더 다루어보고자 하였다. 또한 /내/공간의 부정성을 극복하기 위한 /외/공간으로 나아감이 도주, 탈주의 공간이었음을 드러내면서 /내/공간의 긍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작가의 의지를 여성 인물의 /외/공간 지향을 통해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박경리의 공간 분석을 통하여 수직· 수평의 이같은 이산적 단위들이 결합하여 다양한 공간 기호를 형성하고 그것들의 기호작용을 통해서 자연어로서는 기술할 수 없는 서사적 의미를 산출하는 공간의 의미를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This thesis surveys how the author s awareness of space is realized by assuming the space in park Kyung-Lee s novels as a language of a secondary modelling structure and analyzing how it actually works in the text. And at the same time to test its practicability and effectiveness, I tried to show the meaning of space based on a large number of novels. The basis of semiotics is the difference, which comes from the binominal contrastive relations. Thus, if we draw the separate unit of space as we do in phonetic system, it can be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and then sublivided into high/mid/low and inner middle/outward. And this system of space can be related to polarized concepts such at sacred and common or life and death, or contrastive system such affirmation and negation. Thus by analyzing the dispersion of space and its scape of meaning within the description structure of Park and by comparing what the space mean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at structure more clearly. In chapter Ⅱ, divided innntopart A and B, the discussion deepens and main texts are discussed in chronological order. In part A, I tried to present negativeness of inner space shown in Park s initial novels. Inner space is opposite to outer space and in horizontal space text becomed dynamic and descriptive by movement of prople in space. But in Park s early novels, this transfer is not free and the meaning of space is generated emphasizing the negation of inner space, Particularly, comfortable and peaceful inner space is disorganized by diseases and the negative meaning of inner space is emphasized due to incompleteness of a family. In part B,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a hero going from inner to outward and outward to inner space in a dynamic transformational system, Here, inner and outward space are contrasted and the text is analyzed as going from inner space to outward space. Through this analysis, outward space is referred as a space of escape or desertion and overcomes the negativeness of inner space. However as we move up to her later works, along with female characters movement the vertical structure corresponding. However the focus is on female move outward to restore space for family and recover from the negativeness of inner space. Therefore her story developes putting emphasis on the horizontal movements if female characters. And this extension of spac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story. In chapter Ⅲ, It is thought that the middle space within a horizontal space has mediating function. So this middle space with its double references creates a space which generates polysemic codes such as a port, a station and a road. Therefore I tried to endure the meanings of a station and a port through text analysis. Chapter Ⅳ defines what space means in different periods and explains how the signs for space changed. In case of Park, she uses the same symbol to express different meanings. At first, spaces such as a house, a hospital are used but as they move to middle or long novels specitic names such as Tong-young and Pusan are used and the house which belongs to these places contrasts with outward spaces. Additionally in different works and the authors outward oriented intentions. Also it shows that running to outward space means overcoming negativeness of inward space and this is realized by the female characters orientation for outward spaces. Through the spatial analysis of Park s we can see that those dispersive units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combine and construct various spatial signs and through that, we can produce narrative mraning of space which is impossible from the natural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