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도경-
dc.creator권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20-
dc.description.abstract<Kimcho^ncho^n>(金銓傳) <Unwhangch^ncho^>(雲香傳) <Bongraesinso^l>(蓬萊新說) which this study deait with are popular chiese novel which were written in Yi Dynasty, especially from late 18th to 19th . These novels have hardly studied in the existing study because the quality of these novels were love. This study sublated this existing study and started in the point which these novels embodied of korean heroic novel which was allowed as the popular novel of those days.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illuminating what the meaning of the novel history that this popular chinese novel was written and read in thiese days when korean novel prevailed was. Chapter Ⅱ surveied the problem of popularity in Yi Dynasty and set up a notion and category. The nature of popurity appeared from late 18th when koean novel was lncreased and commercialized, and in this inclination the heroic novel and home novel was popularized. The part of the educated class having chinese culture embodied popular contents of this korean novel inthe form of chinese novel, asaresult that chinese novel formed a new inclination in the time from late 18th to 19th. Chapter Ⅲ analyzed the struture and contents concretly. As the result, we could know, <Kimcho^ncho^n> was based upon the structure of the heroic biography, but because the heroic nature of hero was weakened, in seven narrative paragraph ‘a crisis after growth (자라서의 위기) and ‘victory after struggle (투쟁에서의 승리) was omitted. <Unwhyangcho^n> inserted the part that the hero was treated with cruelty by antagonist in the structure of the heroic biography, and ‘virtuous act (烈行) than ‘rending distinguised services (立功) of heroine was emphasized. In comparison with heroine in general woman-hero novel. <Bonraesinso^l> inserted ‘an episode being expelled from the heaven to the ground (謫降話素) in the studture of heroic biography in oder to ensure the ground of achivement of love between hero and heroine in a rule of heaven. Chapter Ⅳ considered the narrative feature of the popular chinese novel in two ways. First <Kimcho^ncho^n> <Unwhyangcho^n> <Bonraesinso^l> wew embodied the contents of korean heroic novel in the form of chinese novel, then compared this with concret korean heroic novel. <Kimcho^ncho^n> and <Bonraesinso^l> resembled the structure of <Jangpunguncho^n>, korean heroic novel in details in the point that these three novel forcus upon loyalty for nation or recover from loss of power. <Unwhangcho^n>, although it was consist in narrative in details, resembled <Cho^ngbicho^n>(鄭妃傳), korean woman-heroic novel. Secondly, these three novels invented a new work as a result of making a character of former work be a hero in latter work or synthesized heteroneous episodes in parallel. <Kimcho^ncho^n> was invented as a derivative work of <Sukwhyangcho^n>(淑香傳), as a result of making Kimcho^n(金銓), father of Sukwhyang(淑香) be hero of heroic biography centering around ‘the episode of receiving repayment of kindness after setting a turtle free (放龜報恩 話素). <Unwhyangcho^n> repeated severe trials of heroin through synthesizing ‘a plot to do harm in hom and ‘war story , and empasized popular interest through comparison extrme antagonism between the good and ill. <Bonraesinso^l> conflicted an esthetic sense for heroic biography having with ‘an episode being expelled from the heaven to the ground which inserted in the begining as only a episode. Chapter Ⅴ examined significance of the popular chinese novel in the novel history. In the same time, a long chinese novel accommodated episodes or contents of korean novel after remolding, while the popular chinese novel embodied popular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korean novel without remolding. Therefore the popular chinese novel has significance in the light of showing a new stream of chinese novel in the late Yi Dynasty.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bring to light a stream of chinese novel having existed from late 18th to 19th through analysising features of <Kimcho^ncdo^n> <Unwhyangcho^n> <Bonraesinso^l> which new not noted in the existing study. As the result, this study could present a new point of view about the chinese novel in the late Yi Dynasty which was had biased in a long chinese novel in 19th. This study will continue to find more various works of chinese novel, so that will bring to light real aspests of chinese novel in the late Yi Dynasty. ; 본고에서 다룬 <김전전><운향전><봉래신설>은 조선후기, 특히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창작된 통속적 한문소설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작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기존 연구사에서 논외로 취급되어 왔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의 시각을 지양하고 이 작품들이 한문소설의 형태 속에서 당대의 통속소설로 인정되는 국문영웅소설의 작품세계를 온전하게 구현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문소설의 양적인 팽창 하에서 19세기 장편한문소설을 중심으로 한 한문소설의 새로운 시도가 진행되던 이 시기에 이러한 통속적 한문소설이 창작되고 향유되었던 소설사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조선후기 소설사에서 통속성의 문제가 대두되는 양상을 살피고 통속적 한문소설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했다. 통속성은 국문소설이 양적인 팽창을 이룩하면서 급격히 상업화된 18세기 이후부터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경향 속에서 영웅소설과 가정소설 계통의 국문소설이 통속화의 경향을 보였다. 통속적 한문소설은 한문 교양을 지닌 식자층 가운데 일부가 이러한 국문소설의 통속적인 작품세계를 한문소설의 형태 속에 구현함으로써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한문소설의 새로운 흐름을 나타내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통속적 한문소설 각 작품들의 실상을 구조와 내용을 중심으로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세 작품들이 국문영웅소설의 영웅일대기구조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전전>은 영웅일대기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영웅일대기의 7개의 서사단락에서 ‘자라서의 위기’ 단락과 ‘투쟁에서의 승리’ 단락이 생략됨으로써 주인공의 영웅성이 현저하게 약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운향전>은 영웅일대기구조 내에서 주인공이 적대자로부터 학대를 받는 부분이 가정에서의 모해담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에 비해서 주인공의 영웅적인 立功 보다는 烈行을 강조하고 있다. <봉래신설>은 작품에서 확대되어 있는 주인공의 애정성취의 근거를 천상계의 질서 속에서 보장받기 위해 영웅일대기구조에 적강화소를 삽입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통속적 한문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김전전><운향전><봉래신설>이 국문영웅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한문소설의 형태 안에서 구현하고 있는 양상을 구체적인 국문영웅소설 작품들과 비교함으로써 살펴보았다. <김전전>과 <봉래신설>은 국가적인 忠의 문제나 실세회복 의식 보다도 가족으로부터의 분리와 복귀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문영웅소설인 <장풍운전>과 소설 구성상의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부적인 서사구조에서도 일치하는 면모를 보인다. 한편 <운향전>은 비록 세부적인 서사에서까지 일치하지는 않지만 가정에서의 모해담이 삽입되어 있고 주인공의 여성적인 수난과 烈行이 강조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문 여성영웅소설인 <정비전>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이들 세 작품이 보여주고 있는 또다른 특징은 창작 및 구성방식의 면에서 전작의 인물을 독립시켜서 새로운 작품으로 창작하거나 이질적인 삽화를 병렬적으로 합성하고 있는데서 찾아볼 수 있다. <김전전>은 <숙향전>의 放龜報恩 모티프를 중심으로 하여 주인공인 숙향의 부친 김전을 영웅일대기의 주인공으로 독립시킴으로써 <숙향전>의 파생작으로 창작되었다. <운향전>은 가정에서의 모해담과 군담이 병렬적으로 합성됨으로써 주인공이 겪는 시련이 중첩되어 있으며 선악의 극단적인 대립을 통해서 통속적인 흥미를 강조하고 있다. <봉래신설>은 <구운몽> <옥루몽> 등과 같은 상층의 사대부 작가에 의해서 창작된 작품에서 보이는 적강화소를 단지 삽화의 차원에서 삽입함으로써 작품내에서 근간으로 하고 있는 영웅일대기구조가 담지하는 미의식과 상충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Ⅴ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룬 통속적 한문소설 작품들이 갖는 소설사적 의의를 검토했다. 통속적 한문소설은 장편한문소설의 경우처럼 국문소설의 삽화나 내용을 수용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문소설의 통속적인 작품세계를 한문소설의 형태로 구현하는 양상으로 나아가는 조선후기 한문소설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한문소설이 19세기에 와서 국문본으로 번역되면서 일반 독자에게도 널리 수용되고, 그를 통해 국문소설과는 다른 한문소설의 작품세계를 한문을 모르는 독자에게 넓혀갔던 것과는 달리 통속적 한문소설에 와서는 한문소설 작품 자체 내에서 국문소설의 전통과 한문소설의 전통을 아우르게 되었다. 따라서 장편한문소설에서 끊임없이 비판받았던 국문소설의 통속적인 내용과 작품세계가 같은 시기에 창작되고 향유된 통속적 한문소설에서는 상층의 의식에 의해서 폄하되지 않고 한문소설의 형식 속에서 구현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통속적 한문소설의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김전전> <운향전> <봉래신설>의 구체적인 실상을 드러내고 그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18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한문소설의 한 흐름을 밝혀내고자 한 시도이다. 그 결과 19세기 장편한문소설 연구에 편향되어 왔던 이 시기 한문소설에 대한 시각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고는 앞으로 더욱 다양한 한문소설 작품들을 발굴하여 소설사적으로 온당하게 자리매김 함으로써 이 시기 한문소설의 실상을 밝혀내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ⅲ Ⅰ. 서론 = 1 Ⅱ. 조선후기 한문소설에 나타난 통속성의 개념과 범주 = 7 A. 조선후기 소설사의 전개와 통속성의 대두 = 7 B. 통속적 한문소설의 개념과 범주 = 9 Ⅲ. 조선후기 통속적 한문소설의 양상 = 15 A. <金銓傳> = 15 1. 서지 및 서사단락 = 15 2. 주인공의 영웅성 약화 = 16 B. <雲香傳> = 21 1. 서지 및 서사단락 = 21 2. 가정 모해담의 삽입 = 23 3. 烈行의 강조 = 31 C. <蓬萊新說> = 35 1. 서지 및 서사단락 = 35 2. 적강화소의 삽입 = 41 3. 미인결연담의 확대 = 50 Ⅳ. 조선후기 통속적 한문소설의 서사적 특성 = 55 A. 국문영웅소설의 서사구조 지향 = 55 1. <장풍운전>의 서사적 특징 수용 = 55 2. 여성 영웅소설에서의 위치 = 63 B. 서사기법상의 특성 = 71 1. 前作의 派生作으로서의 창작 = 71 2. 흥미소의 나열에 의한 병렬적 합성 = 76 Ⅴ. 조선후기 통속적 한문소설의 의미지향과 소설사적 의의 = 91 A. 향유층의 의식 = 92 B. 소설사적 위치 = 101 Ⅵ. 결론 = 107 참고문헌 = 111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307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후기 통속적 한문소설 연구 : 영웅소설류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