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深齋 曺兢燮의 古文論 硏究

Title
深齋 曺兢燮의 古文論 硏究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深齋 曺兢燮의 古文論을 살펴보고 그의 문학적 특징과 그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고문론을 연구함으로써 그간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못했던 한문학 말기의 문단상황을 알 수 있고, 특히 그가 주도한 당대 文人들과의 고문논쟁을 통해 한국고문론의 최종적인 모습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으므로 그의 고문론에 주목했다. 심재는 영남의 도학가이자 古文家로 활동했으나 그의 학문적 교유와 문학적 활동이 각각 영남의 학자와 기호의 문인을 대상으로 二分되는 모습을 보여, 영남과 기호의 학풍이 대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남학파 순례가 1910년으로 마감되고 그 이후부터 自靖과 講學, 그리고 기호 文士들과의 본격적인 고문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이미 심재 고유의 고문론이 영남학풍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기호의 문사들과의 교유는 그의 관점에 관한 검증과 실천을 위해 수행된 것임을 암시한다. 사상적 특징으로는, 新思潮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儒道가 眞道라는 확신 하에 그것을 비판했으며, 퇴계학의 본령인 理를 강화하는 학문적 틀 내에서 마음이 理氣의 合이라는 견해를 피력했고 특히 율곡학파의 農巖 김창협의 이론에 존경을 표시해, 심재의 고문론의 사상적 기저를 추정할 수 있었다. 古文史의 쟁점들은 심재의 당대에도 이어져 종합적으로 거론되었다. 또한 영남과 기호의 학풍이 각각 퇴계와 율곡을 계승했고 두 학문성향의 차이가 현실과 문학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南人과 西人의 정치적 성패의 추이와 무관하지 않아, 영남학파를 배경으로 한 고문론이 거의 없었던 배경을 알 수 있었다. 그는 당대의 도학가에게 자기반성을 촉구하면서 특히 문장공부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문장가에게는 道에 입각한 글을 지을 것을 강조해 道와 文의 양극단을 비판했다. ‘因文入道와 道充文生의 통합적 원리’를 ‘道文合一’의 방법으로 제시했으며 韓愈· 柳宗元 이래로 주창된, 문장은 道를 밝혀야 한다는 명제를 창작의 목적으로 재천명했다. 그리고 그러한 목적에 잘 부합된 문장은 ‘倫理之文’으로 언급하고, 眞文章은 작가의 도덕·학문적 성취가 그대로 드러나며 역으로, 진문장을 지을 수 있는 사람은 眞道德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문장에서의 사상적 측면을 중시하여 ‘華’로 표상되는 표현의 문제보다 ‘實’ 즉, 내용적 충실성을 강조했고, 구체적으로 주자학적 세계관을 문학과 학문의 紀綱으로 삼았다. 때문에 朱子를 학문적 師表인 동시에 道와 文이 다 같이 지극한 고문가로 추존했고 그를 모델로 삼아 도문합일을 이루는 것이 현실적으로 성현의 경지로 가는 가장 가능한 일이라 제시하였다. 심재는 道를 充滿하게 하는 것이 作文에 있어서의 선행과제라고 생각하여 작가의 도덕적, 학문적 수양을 중시했다. 창작에 들어가서는 典則이 있는 문장을 강조, 사실에 부합하고 논리정연함을 좋은 글의 요건으로 삼았다. 또한 작가의 타고난 氣에 따라 문장성취가 갈린다고 생각했고 이것에 의한 創意를 중시했다. 그러나 문장으로 표현할 때는 반드시 簡潔·平淡한 문체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한편, 김택영의 ≪여한구가문초≫을 둘러싼 고문논쟁에서, 심재와 김택영은 모두 17세기 김창협의 비평 관점에 상당부분 의거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相互 異見으로 인한 논쟁에도 역시 김창협의 그것을 인용하여, 兩者가 각기 다른 각도에서 김창협의 고문론을 계승했음을 알 수 있었다. 심재의 비평적 관점은 前代의 김창협의 온건보수적인 고문론을 계승하되, 내우외환을 중세적 가치를 담은 문장으로써 안정시키려는 反正의 효용에 무게중심이 놓인다. 따라서 문장에서 辭와 理의 균형을 추구하면서도 이치(理)를 보다 차원높은 문학을 보장하는 요건으로 취급하고, 奇麗한 표현이 논리를 가리는 것을 크게 경계했다. 특기할 점은 심재와 김택영이 모두 김창협을 이론적 근거로 삼았으되, 각각 그의 고문론이 함유했던 상충점 즉, ‘고문의 明道적 사명의 강화’와 ‘문장의 미학적 가치 측면에의 집중’이라는 상반된 두 관점을 반영했다는 것이다. 심재 고문론의 문학사적 위상은 ‘영남 고문론의 등장’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것은 道學 위주의 영남학풍 속에서 외면되었던 문학적 관심에 대한 내적 요구와, 한말 격동기의 외적 충격으로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남의 학문적 발전과 지방문화의 경제적, 신분적 기반 아래 진행되어오던 道의 실현이 점차 그 독선과 폐쇄화를 노정하고 시대적 변화에 無能하자 그 反正운동으로서 제기된 것이었고 특히, 新思潮의 유입으로 道와 전통적 古文觀이 위협받자 道文合一의 사상의 수호와 이론적 무장에 대한 고민의 결실로 도출된 것이었다. 그 방법으로 17세기 이후에 대두된 ‘道’ 중심의 고문론 경향을 계승하여 더욱 철저히 明道를 위한 이론 개발에 주력했고 ‘영남고문론’을 기호 문단과의 교류를 통해 검증받고자 했던 것이라 파악된다. 한편, 그의 고문론은 사상과 학문의 결정체라는 점에서 사상사의 맥락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사상은 主理的 학풍을 배경으로 하여 가치론적 주제에 민감하면서도, 道를 수호하고 전하는 문제를 고민함에 있어서는 氣의 측면도 도외시 하지 않았기에 실천의 방법으로 고문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理氣 절충적 견해와 농암 고문론의 계승, 기호의 절충파들을 모두 수용하는 태도는 그가 한말 봉건 지식인으로서 완전히 실천으로 나아갔던 극단적 위정척사도, 전통의 맹목적 고수로 나아갔던 自靖도 아닌, 고문을 실천차원에서 택하게 했던 사상적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Komoon-ron" of Cho gung-sup , who lived during the period of the end of empire of Korea and the period under the control of Japan(Han-mal, 韓末), so that this dissertation may reflect the significance and distinct feature of his literature. The reason that Komoon-ron of Cho gung-sup is particularly focused is as in researching Cho s Komoon-ron, the circumstance of literary world in the end of empire of Korea can be thoroughly understood, and it is also expected to draw overall observation of the ultimate aspect of Korean Ko-Moon-Ron from the association of Komoon-ga(古文家) in that age. The fact that Cho lived his entire life as a DoHak-ga(道學家) of Young-Nam(嶺南) region and a Komoon-Ga is illustrated through his life as well as aspects of his literary association with his comrades. Especially it is verified by his companionship between Young-Nam s and Ki-Ho(畿湖) s as academic and literary companionship respectively that those two region s academic traditions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Furthermore, the fact that Cho began lecturing(강학) and “self-correcting(自靖)” while vigorous debating and discussion took place with writers of Ki-Ho as the period of developing foundation of DoHak concluded in 1910, confirms that he put genuine efforts in verifying and practicing Komoon-ron through association with writers of Ki-Ho, even though his academic grounding and Komoon-ron was already formalized before 1910. As Cho s distinguishing ideology, he criticized the new-current of Han-mal in the sid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with sufficient knowledge of the new-current. Moreover, he revealed the idea that mind is the sum(合) of Li(理) and Ki(氣) to the enhancing academic extent of Li(理), Twae-Gae(퇴계) s main theme, and particularly indicated his respect to the ideology of Kim Chang-Huap(金昌協). As a result, the linkage between his academic thought and Komoon-ron can be presumed. The critical issues of Komoon-sa(古文史) were synthetically addressed up to the age of Cho. Moreover school of Young-Nam and Ki-Ho succeeded to Twae-Gae(퇴계) and Yul-Gok(율곡) respectively, and those two school s atmospheric difference was relevant to the attitude in handling the reality and literature as well as the transition in political success or failure of Nam-in(南人) and Seo-in(西人), as a consequence this reflected the reason that there was no such Komoon-ron(고문론) based on Young-Nam school. He criticized the both extreme sides of Do(道) and Moon(文), particularly asserting the necessity of study on Moon-Jang(文章) and urging the Confucianist of the day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writers to compose a piece based on Do(道). He presented the synthetic principle of Inmoon-Ipdo(因文入道) and Dochung-Moonsang(道充文生) as a way of Domoon-Hap-il(道文合一), confirming the proposition that Moon-Jang(文章) should clarify Do(道), which had been promoted by Han-Yu(韓愈) and Liu Jong-won(柳宗元). He referred to Moon-Jang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as Ethical Writing(倫理之文), explaining that True Writing(眞文章) represents the morality and the academic accomplishments of the author as it is and on the contrary, someone who is able to compose True Writing could be considered to have True Morality(眞道德). Moreover, regarding the ideological aspect of Moon-Jang(文章) highly, he put more emphasis on Sil(實), completeness of contents, rather than the matter of expression symbolized by Hua(華) and took Chu-Hui(朱熹) s view of the world as a principle of literature and learning. Therefore Chu-Hui was respected not only as an academic paragon but also as Komoon-ga(古文家) with the extreme capabilities of both Do(道) and Moon(文) by Cho, who showed the most possible way for "Domoon-Hap-il(道文合一)" with the model role of Chu-Hui. Considering that the fulfillment of Do(道) was prerequisite for writing, Cho thought highly of moral and academic cultivation of an author. As he emphasized the presence of Jeon-Chik(典則) in sentences when he got on to work in writing, he most valued the correspondency of fact and logic in writings. In addition, writer s level of gift in KI(氣) was considered as the critical point in achieving a satisfactory sentence, accordingly he attached significance to the KI(氣) driven sentences. Nevertheless expressing sentences were thought to be in the form that including brevity(簡潔) and Plainness and Simplicity(平淡) with absolute. Meanwhile, Kim Taek-young(김택영) and Cho had dissenting opinions quoted and based on the critical view of Kim Chang-Huap in 17 century to each other in dispute about "9 writers anthology of Koryo-Chosun (麗韓九家文抄)" of Kim Taek-young, hence it was evidencedthat they succeeded to Komoon-ron(古文論) of Kim Chang-Huap(金昌協) from different angles. Cho s critical point of view not only succeeded to the moderate conservative Komoon-ron of former age s Kim Chang-Huap but he also placed priority on the restoring effect on troubles from within and out by the sentences conveying the value of the middle age. Therefore reason and principle were treated as the necessities securing improvement to the higher quality literature while pursuing the balance of Sa(辭) and Li(理) in sentence, nonetheless he was afraid that strange and gorgeous expressions might mislead the logic. Specially speaking, Both Cho and Kim Taek-young took the work of Kim Chang-Huap as their theoretical basis. However there were conflicting perspectives all of which Kim Chang-Huap s theory include; Cho s strengthening the mission of enlightening Do(道) in the study of Komoon(古文); Kim Taek-young s focusing on the aesthetic value of Moon-Jang(文章). The emergence of Young-Nam Komoon-ron(영남고문론) well explains the importance of Cho s Komoon-r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came from the internal need of literary interest that was not appreciated by Do-Hak(道學)-oriented Young-Nam school and from the external shock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Additionally, as the academic development of Young-Nam and actualization of Do(道) founded on the social position and economic status of local culture exposed seclusionism, self-complacency and inability to change of the times, Cho s Komoon-ron was raised as a restoring action that was especially derived from the pursuit of protecting Domoon-Hap-il(道文合一) Thougt and of enforcing the theory against the new ideology intimidating Do(道) and traditional Komoon-ron. Through the method, he concentrated on developing the theory for clarifying Do(明道) by continuing the trend of Do(道) centered Komoon-ron that is raised after 17 century, and it was thought that he tried "Young-Nam Komoon-ron(영남고문론)" to be proven by association with Ki-Ho literary world(기호 文壇). Meantime, the point that his Komoon-ron was the ultimate accomplishment of academic knowledge and thought implied Komoon-ron occupied the vital position in the stream of thought flow. As his theory was based on the atmosphere of Ju-Li(主理) school with the sensibility to theme of axiology, and in agonizing problem of preserving and preaching Do(道) he did not neglect Ki(氣), he asserted Komoon-ron as the way of actual practicing. Additionally, as a feudal intellectual in the time of Han-mal(韓末) such compromising view of Li-Ki(理氣), continuing Komoon-ron of Kim Chang-Huap and the accepting attitude towards eclecticism of Ki-Ho were inferred to be the ideal motives of selecting Komoon-ron as practical mean that was not of neither extreme Wuijung-Chuksa(衛正斥邪) nor blindly persisting con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