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북한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 연구

Title
북한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 연구
Authors
김경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글은 1945년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중반 주체사상 성립 이전까지의 북한 시작품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를 사실적으로 재구성하고, 구체적인 작품분석과 장르이론을 토대로 하여 북한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입체적으로 조망하였다. 또한, 한국 근·현대문학사의 큰 줄기를 형성해 온 리얼리즘문학의 연속선상에서 북한문학을 살펴봄으로써, 리얼리즘 문학 전통의 발현 양상―지속과 변모―을 보다 역동적으로 밝혀보았다. 특히 1945년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의 북한 시작품에 주목한 이유는, 이 시기가 카프문학을 문예전통으로 인정하면서도 주체사상에 바탕을 둔 항일혁명문학을 문예전통으로 공인하기 시작하는, 시기적으로 북한문학사 최대의 전환기였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이 시기에 북한 시단이 형성되는 과정과 문예정책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북한문학은 몇 차례의 반종파투쟁 과 숙청 을 겪는데 1947년 구상, 황순원 등 순수문학 계열 시인들의 배제와, 1953년 임화로 대표되는 남로당계 문인들의 좌절, 1956년 기석복, 정률 등 소련계 문인들의 패배, 그리고 1958년 기성 시인들의 대대적인 숙청을 거쳐, 1960년대의 세대 교체에 이르고 있다. 이 시기에 대거 등장한 신진시인들은 그들만이 가진 새로운 정서로 1960년대 이후 전개되는 주체문학의 주역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현상과 맞물리는 북한 문예정책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혁명전통이 카프문학 에서 항일혁명문학 으로 이동해 갔음을 알 수 있다. 카프문학의 비판적 계승을 지향한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 은 『응향』사건 을 계기로 출발하여, 당에 의한 남로당파 숙청 으로 인해 한때 경직화되었으나, 예술성과 사상성의 결합을 추구하는 시인 의식에 따라 곧 절정에 이르게 되었고, 그것이 도식주의 비판 으로 표출되었다. 그러나 이후 당이 선언한 부르주아 잔재와의 투쟁 으로 인해 급속히 도식화되어 갔고, 결국은 북한 문예전통의 중심 위치를 항일혁명문학을 표방하는 주체문학 에 내어주게 되었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이 시기의 시작품에 나타나는 장르 분화 현상과 그 미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북한 시 자료를 직접 검토하여 추출한 실제 작품의 변화를 바탕으로, 1945년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북한 시사의 전개 과정을 (1) 1945∼1949, (2) 1949∼1953, (3) 1953∼1956, (4) 1956∼1958, (5) 1958∼ 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북한 시사에서 서정시와 서사시는 각각 담당하는 역할이 구분되어 있으며, 두 장르는 각 시기마다 긴밀한 상보성을 띠고 전개된다. 서사시가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시대적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면, 서정시는 그 이념을 세부적인 문제로 구체화하여 인민에게 내면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Ⅲ장에서는 (1) 서사시의 형태적 구조, (2) 화자와 서사적 주인공의 관계, (3) 인물의 행동 유형과 신분적 유형, (4) 서사구조의 전개 양상, (5) 서사시의 주제 등과 같은 서사시론을 중심으로 하여, 다섯 시기로 구분한 북한 시사의 각 단계에서 북한의 서사시가 어떻게 변모해 나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1시기의 서사시는 장편서사시 형태로서, 서사적 표현 방식과 서정적 표현 방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항일무장혁명투쟁을 벌이는 민중 영웅 이 서사적 인물로 설정되었고, 이들은 개성적이고 입체적으로 형상화되었다. 시인은 외부세계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면서도, 그 힘에 대항하는 인물의 혁명적 낙관성을 통하여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서사시의 주제는 항일투쟁과의 연계를 통하여 북조선 건국과 건국 주체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제2시기의 서사시는 단편서사시 형태로서, 서정적 자아가 사건이나 이야기 전체를 자신의 주관 정서로 내면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대중적인 전쟁 영웅들 이 서사적 인물로 설정되었고, 그러한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해서 영웅적 행동을 할 수 있었는가를 설득력 있게 형상화하였다. 시인은 죽음 으로써 강력한 외부 세계에 대항하고, 그 가운데서 혁명적 낭만주의 정신을 발휘하는 인물을 모범적 인물 로서 제시하고 있다. 서사시의 주제는 평화 수호라는 전쟁의 정당성을 통하여 인민군대의 필연적 승리를 천명하는 것이다. 제3시기의 서사시는 대하 장편서사시 형태로서, 서사적인 요소와 서정적인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하고, 과도하게 주관성에 경사되는 경향을 노출시키고 있다. 영웅적 위훈을 떨친 전쟁 영웅 이 서사적 인물로 설정되었고, 이들은 도식적이고 평면적인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시인은 서사적 인물을, 강한 신념으로 현실의 모든 난관과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인물로 이상화시킴으로써 전형성을 상실하고 있다. 서사시의 주제는 전쟁 영웅의 형상을 통하여 인민과 후 세대를 애국주의 정신으로 교양하는 것이다. 제4시기의 서사시는 서정시의 연작으로 구성된 서정서사시 형태로서, 시적 인물의 정서를 통하여 현실을 간접적으로 재현해주는 동시에 시적 화자의 정서를 통하여 현실을 총체적으로 구현해내고 있다. 일반 노동자·농민이 시적 인물로 설정되었고, 이들은 개성적이면서도 생동감 있게 형상화되었다. 시인은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고 환경에 대적하여 싸워 나가는 인간의 힘과 의지를 낭만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서사시의 주제는 전변된 농촌 현실에 대한 긍정과 사랑이다. 제5시기의 서사시는 단편서사시의 연작으로 이루어진 서정서사시 형태로서, 인물시점과 3인칭시점을 상호 교차시키고 있다. 그 시대의 영웅들인 천리마 기수들 이 서사적 인물로 설정되었고, 이들은 평면적이지는 않지만 다소 도식적으로 형상화되었다. 시인은 근로 인민이 사회주의 건설 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갈등과 난관을 동지적 단결과 집단적 의지로써 극복해 나가는 것으로 도식화시킴으로써, 전형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서사시의 주제는 집단적 인간의 힘을 통한 사회주의의 비약적 발전을 추동하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1) 서정시의 형태적 구조, (2) 형상화의 대상, (3) 주제의 형상화 방식, (4) 정서적 동일화의 방식 등과 같은 서정시론을 중심으로 하여, 다섯 시기로 구분한 북한 시사의 각 단계에서 북한의 서정시가 어떻게 변모해 나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1시기의 서정시는 조소친선의 국제주의 사상,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애국주의 사상, 제반 사회개혁 등을 형상화하였다. 일제강점하의 과거와 해방직후의 현재를 대비시키고, 현재 속에 내포되어 있는 미래에 대한 전망을 관습적이고 보편적인 상징을 통하여 드러내주고 있다. 노동자·농민 등 일반 인민의 한 사람을 서정적 자아로 설정하고, 그 서정적 자아를 우리 로 확대시킴으로써, 개인의 주관 정서를 전체 인민에게로 보편화시킨다. 제2시기의 서정시는 김일성을 구심점으로 하는 애국주의 사상, 전방에서 싸우는 인민군대의 투쟁, 후방에서 싸우는 인민의 원호 등을 형상화하였다. 현재 진행형의 시간구조를 통하여 미래의 존재 여부가 현재에 달려 있음을 강조하고, 미래를 위해 현재 요구되는 행위가 무엇인지를 알레고리적 상징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다. 전후방에서 싸우는 일반 인민을 서정적 자아로 설정하고, 그 서정적 자아가 특정 사물 혹은 대상을 향해 진술하는 대화체 방식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주관 정서를 객관화시키고 있다. 제3시기의 서정시는 전후 복구건설에 대한 의지, 노동 영웅들, 발전하는 새생활의 기쁨 등을 형상화하였다. 과거의 전쟁시기를 현재의 전후복구건설시기에 알레고리적인 구조로 대응시키고, 이를 통하여 미래를 위한 복구건설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일반 건설노동자·농민을 시적 인물로 설정하고, 시적 화자가 인물에 대하여 서술하고 묘사하는 방식을 통하여, 그 인물을 인민에게 모범적 인물로서 제시하고 있다. 제4시기의 서정시는 일상생활에 대한 애정, 남녀간의 사랑, 이산가족에 대한 그리움, 탈이념화된 자연, 사회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비판과 풍자 등 광범위한 영역을 형상화하였다. 서정적 자아는 대상에 대한 감정이입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정서를 직서적으로 토로하고, 반복과 병렬의 수법을 통하여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때, 주관적인 내면정서를 서정적 순간성을 통하여 객관화·보편화시키고 있다. 제5시기의 서정시는 사회주의 사회 건설에 대한 의지, 공산주의자의 전형 창조, 1930년대 항일무장혁명투쟁의 역사 등을 형상화하였다. 과거와 현재 혹은 현재와 미래에 시간적인 연속성을 부여하고, 그 가운데서 특히 현재 요구되는 노동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자아를 시적 화자로 설정하고, 시적 화자가 일반 청자를 향하여 청유형의 어법을 구사하도록 함으로써, 또한 시적 화자가 청자에게 전달하는 내용을 일반명제 혹은 사실로서 제시함으로써,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을 일반화·보편화시키고 있다. 1945년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 중반 주체사상 성립 이전까지의 북한문학은, 카프계열의 시인들과 북한출신 신진시인들간의 혁명문학 전통을 둘러싼 갈등과 세대 교체, 그리고 사실주의를 둘러싼 당파성과 당성의 논쟁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두 가지 문제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북한 시사를 지탱하는 두 개의 큰 축으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해방직후부터 주체사상 성립 이전까지의 시기는 북한문학사의 원형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분단문학사를 극복하고 통일문학사를 쓰는 데 있어서, 이 시기의 여러 가지 논쟁과 문학적 전통은 매우 중요한 시대적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1945년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북한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규명하고 있는 이 글은 통일문학사를 쓰는 데 초석이 될 것이다. ; This thesis aims at organizing realistically objective materials on the North Korean poetry from 1945, the liberation stage to mid-1960s, the pre-stage of the formation of the Juche idea (i.e. the idea of self-direction, self-reliance, independence), surveying from all angl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poetry on the basis of analysis of concrete poetic works and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genre. And It aims at revealing more dynamically the aspect of manifestation──maintenance and variation──of the tradition of realist literature by examining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n connection with realist literature which have formed the major stream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e reason that this thesis deals with the poetic works especially of the time from 1945 to mid-1960s is this period was the highest transition period when anti-Japan revolutionary literature founded on the Juche idea began to be recognized officially as a literary tradition though KAPF(Korea Artista Proletaria Federatio) literature remained admitted to be the literary tradition. In the 2nd chapter, I considere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world of poetry and change of literary policy in North Korea. North Korean literature went through several struggles against sectarianism and purges . For instance, poets of pure literature such as Gu Sang, Hwang Sunwon, etc. were eliminated in 1947, writers affiliated with SKLP(South Korean Labor Party) such as Im Hwa etc. were frustrated in 1953, writers affiliated with USSR such as Gi Seokbok, Jeong ryul, etc. were defeated in 1956, poets of the older generation were purged on a large scale in 1958, and a shift in generation was eventually carried out in 1960s. Rising poets appeared in a great mass in this stag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Juche literature got developing after 1960s with their own new sentiments. If we inquire into the process of change of literary policy in North Korea which was matched with the condition, we will see the fact that revolutionary tradition shifted from KAPF literature to anti-Japan revolutionary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socialist realism of North Korea which intended to take over critically KAPF literature started by ≪Eunghyang(A clot of fragrance)≫ affair , became inflexible for a time owing to purge of SKLP group by NKLP(North Korean Labor Party), and attained the acme soon by virtue of poetic consciousness which pursued both artistic form and ideological import. And the criticism of schematization was presented consequently. But thereafter the literature of socialist realism became to simplify fast because of the struggle against remnants of bourgeois declared by NKLP, moved out of main position for the Juche literature which stood for anti-Japan revolutionary literature. In the 3rd and 4th chapter, I considered the divisive phenomenon of genre showed in poetic works, and its aesthetic quality. I divid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poetic history of North Korea from 1945 to mid-1960s into 5 stages, that is to say, (1) 1945∼1949, (2) 1949∼1953, (3) 1953∼1956, (4) 1956∼1958, (5) 1958∼ ,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s on the change of concrete works selected by investigating the poetic materials of North Korea directly. In the poetic history of North Korea, lyric poetry and epic poetry have played their own part, and these two genres have developed with their complementariness in each time. While epic poetry showed the idea of the times age which was required according to social variation, lyric poetry performed the function changing the idea into particular issues concretely and internalizing them into people. In the 3rd chapter, I considered the transformational aspect of epic poetry of North Korea in every 5 stages of the poetic history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on the epic poetry which have the contents that were (1) formational structure of epic poetry (2)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epic hero/heroine (3) type of action and status of persona (4) developmental aspect of epic structure (5) theme of epic poetry etc. The epic poetry of the 1st stage had a form of long epic poetry, where epic expressional method was combined with lyric expressional method organically. People s heroes/heroines who engaged in an anti-Japan revolutionary armed struggle were designated as epic personae, that were described individually from all angles. The poet showed how outer world was powerful, while presente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through the revolutionary optimism of the persona who resisted the powerful outer world, and acquired the typicality as a consequence. The theme of the epic poetry was to justify on the founding of North Korea and the leaders of the founding in relation to anti-Japan struggle. The epic poetry of the 2nd stage had a form of short epic poetry, where lyric self internalized all the occurrences or stories into his/her subjective emotion, and represented them. Popular war heroes/heroines were designated as epic personae, and it was described convincingly how they, common people can behave heroically. The poet presented the persona that resisted against obstinate outer world through death, while demonstrated the spirit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as a model character . The theme of the epic poetry was to inspire struggle consciousness of people and people s army to win a war. The epic poetry of the 3rd stage had a form of great long epic poetry (i.e. a poetic version of roman-fleuve), where epic elements weren t combined with lyric elements organically, and the tendency that the poetry are led to subjectivity excessively was disclosed. War heroes/heroines who accomplished a great achievement were designated as epic personae, and they were described as a schematic and flat personae. The poet idealized epic persona as the persona that overcame all the obstacles and troubles with his/her strong conviction, consequently lost the typicality. The theme of the epic poetry was to educate people and the next generation to acquire the spirit of patriotism by an image of war hero/heroine. The epic poetry of the 4th stage had a form of lyrical epic poetry which was made up of a series of lyric poems, where reality was represented indirectly through the emotion of poetic persona, while the reality was materialized in totality through the emotion of poetic speaker. Common laborers and peasants were designated as poetic personae, who were described individually and vividly. The poet showed the power and will of the human who went against the natural law and went on fighting against circumstances, and acquired the typicality as a consequence. The theme of the epic poetry was to affirm and love realities of changed rural community. The epic poetry of the 5th stage had a form of lyrical epic poetry which was made up of a series of short epic poems, where the persona point-of-view crossed the third-person point-of-view mutually. The riders of chollima(means horse that can rush about 393 km in a day , named for a mythical flying horse, the Korean Pegasus) as heroes/heroines in that time were designated as poetic personae, who were described more or less schematically even though they weren t flat characters. The poet showed schematically the laboring people overcame the conflicts and obstacles they used to meet at founding socialism by comradely solidarity and collective will, and deteriorated the typicality as a consequence. The theme of the epic poetry was to advance socialism rapidly through the collective power of human. In the 4th chapter, I considered the transformational aspect of lyric poetry of North Korea in every 5 stages of the poetic history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on the lyric poetry which have the contents that were (1) formational structure of lyric poetry (2) object of poetic description (3) method of poetic description (4) method of emotional identification etc. In the lyric poetry of the 1st stage, were described the idea of internationalism of North Korean-U. S. S. Russian friendship, the idea of patriotism centering around Kim Il-sung, and various social reforms etc. In the poetry, were contrasted the past occupi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present soon after liberation, and were revealed prospects for the future through the customary and general symbols. One of the common people such as laborer and peasant etc. was designated as a lyric self, who was extended to we , and the subjective emotion of the individual was generalized to all the people as a consequence. In the lyric poetry of the 2nd stage, were described the idea of patriotism centering around Kim Il-sung, the struggle of people s army on the front line, and the support of people in the rear etc. In the poetry, it was emphasized through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 present progressive form whether or not the future will exist depended on the present, and it was showed through the allegorical symbol what activities were needed at present for the future. The common people fighting on the front or in the rear were designated as a lyric self, the dialogical method in which lyric self talked to a certain thing or target was accepted, and the subjective emotion of the individual was objectified as a consequence. In the lyric poetry of the 3rd stage, were described the will to the postwar reconstruction, the working heroes/heroines, the joy of new life etc. In the poetry, war period of the past was correspond to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allegorically, thus the will to reconstruction for the future was emphasized. The common construction laborers or peasants were designated as poetic personae, who were presented to the people as a model character by the method that poetic speaker narrated and described the personae. In the lyric poetry of the 4th stage, were described extensive materials such as a love for common life, a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the yearning for dispersed families, the nature slipping out of ideology, the criticism and satire on negative side of society etc. In the poetry, lyric self spoke out his/her inner emotion straightly by the empathy to the object, and toned up the emotion by the technique of repeat and parallel. The subjective inner emotion was objectified and generalized by a lyric momentariness. In the lyric poetry of the 5th stage, were described the will to founding socialist society, the creation of the type of communist, the history of anti-Japan revolutionary armed struggle in 1930s etc. In the poetry, temporal continuity wa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or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value of labor being required presently was emphasized. General and common self was designated as poetic speaker, who used advisory expression to general hearer, while the contents the speaker delivered to the hearer were presented as a general proposition or a fact, and the subjective thought of an individual was popularized and generalized as a consequence. North Korean literature from 1945, the liberation stage to mid-1960s, the pre-stage of the formation of the Juche idea has developed centering around conflicts and shift in generation over the tradition of revolutionary literature between KAPF-affiliated poets and rising poets born in North Korea, and around debates on dangpaseong(Bolshevik partisanship) and dangseong(North Korean partisanship) surrounding realism. Preceding two issues have functioned to the present as two big axes supporting the poetic history of North Korea. Hence the period from the liberation stage to the pre-stage of the formation of the Juche idea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that contains a archetypal factor of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As to overcome divided history of literature and write reunified history of literature, the various debates and literary traditions of the period will come to acquire very important meaning of the tim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which examines closely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poetry from 1945 to mid-1960s will be a cornerstone as to write the reunified history of liter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