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한국의 국가, 시민사회와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 변동 : 1960년대 중반 - 1990년대 후반

Title
한국의 국가, 시민사회와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 변동 : 1960년대 중반 - 1990년대 후반
Authors
이수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글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개신교(Protestant)의 정치사회적 태도와 그 특성을 3시기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의 형성과 변동을 포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분석단위는 개신교 교단(Protestant denomination)이다. 개신교 교단을 하나의 조직으로서 간주하고 이 조직의 정치사회적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우선적인 환경요인으로 국가와 시민사회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거시구조적(macro-structural environment) 환경인 국가, 시민사회로부터 직접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를 연역해낼 수는 없다. 특정 시점에서의 개신교의 구체적인 정치사회적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신교 자체의 내부적 요인들과 내부적 동학(dinamics)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글은 국가, 시민사회라는 거시적 환경과 개신교의 내부적 요인들과의 상호관련성을 추적하기 위해 개신교 장이라는 독립적인 사회공간을 설정하였다. 개신교 장(field)은 전체 개신교 공동체(Protestant community as a Whole)로서 구성되며 교단연합체들, 개별 교단, 교단내 다양한 수준의 조직들로 구성된다. 개신교 장은 개별 교단에 대해서는 환경이지만 개신교 전체 의 관점에서 보면 개신교 자체의 내부적 측면을 볼 수 있는 개념적 장치이다. 국가, 시민사회, 개신교 장 간의 특정한 연계와 접합에 따라 개신교 장내 각 교단의 정치사회적 태도가 형성되고 분화하며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각 영역간의 연계와 접합방식이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의 해명에 중요하므로 이 글은 국가, 시민사회, 개신교 장을 독자적인 사회적 공간으로 설정한다. 각 공간은 그것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구조적 양상과 행위적 양상)와 사회적 범주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가는 권력블럭(Power bloc)과 지배블럭(ruling bloc)으로, 시민사회는 무정형의 시민사회와 조직화된 시민사회로, 개신교 장은 규범적 지향성, 조직(구조)적 측면, 행위적 측면(조직성원과 지도자)으로 개념화하였다. 각 영역은 독자적인 영역이지만 국가영역의 변화가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국가의 성격이 시민사회를 틀지우고 개신교 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개신교 장의 정치사회적 태도를 포착하기 위해 국가, 시민사회, 개신교 장의 연계(links) 및 접합(articulations)을 개신교 장내 각 교단과 사회운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시기는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초반까지의 시기로서 원형적 분화기이다. 전체 개신교가 일면적으로 국가에 대한 연합전략을 구사하고 시민사회에 동조(conformity)하던 과거와 달리, 연합적 보수주의, 절충적 진보주의, 저항적 진보주의라는 상이한 유형의 정치사회적 태도가 발생하였다. 이 시기는 국가가 강하고 시민사회가 약한 시기로서 시민사회의 형성과 활동에 국가가 직접 개입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개신교 장의 주된 환경요소가 국가가 되어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에 국가변수가 1차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2. 제2시기는 1970년대 초반부터-1987년까지의 기간으로 제도화기(instiutionalization period)이다. 이 기간 동안에 제1시기에 발생했던 정치사회적 태도가 관행화되고 제도화 되어 갔다. 3가지 상이한 정치사회적 태도가 제도화되는 주요 기제는 교회지도자들이 동원하는 규범(norms)과 관계망(networks)이었다. 3. 제 3시기는 87년 후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의 재변동기이다. 이 시기는 권위주의국가의 민주적 이행기이다. 국가의 권위주의, 억압성, 비민주성이 연성화되고 시민사회가 상대적으로 강화되는 시기로서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에 우선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환경요인은 시민사회이다. 이 시기에는 과거와 정반대의 현상이 발생했다. 과거에는 개신교회가 권위주의국가와 수동화된 시민사회에 대해 민주화를 추동하는 근원지의 역할을 하였다. 이제는 국가, 시민사회의 민주화와 합리화가 역으로 개신교의 민주화와 합리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과거에 비해 다양성과 이질성이 증대된 시민사회의 영향으로 정치사회적 태도는 다층적 다원화의 양상을 나타냈다. 변화된 정치사회적 태도에는 타협적 보수주의, 퇴행적 보수주의, 견제적인 보수·중도·진보적 개량주의, 대립적 진보주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 글은 위와 같은 이론적 관심을 담아내기 위해 신제도주의 조직론의 이론틀을 사용하였다. 물론 이 글의 주제와 논의의 관심에 부합하도록 신제도주의의 기본가정과 분석도구에 많은 수정을 가하였고 분석의 논리에 변형을 가하였다. 그러나 신제도주의이론(New institutional theory) 자체가 아직 정형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 다양한 이론적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며 더 많은 이론적 축적 작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신제도주의 조직론의 이론화를 풍부히 할 수 있도록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신제도주의 조직론과 통합해 보고자 한다. 첫째, 신제도주의 조직론에서는 제도변동의 원인으로 국가, 조직, 조직내 행위자 및 사회에 형성된 관습과 관행, 상징 등을 들고 있다. 이 글은 개신교회의 정치사회적 태도의 형성과 변동의 원인으로 국가, 시민사회, 개신교 장(특히 교회지도자)을 설정하였다. 무엇보다 우선적인 변동의 근원지는 국가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가와 밀접히 관계되지만 독자적 동학을 지니고 있는 시민사회의 사회운동조직과 무정형의 시민사회성원들의 인지(cognitions)와 요구가 제도적 강압력과 제도형성(formation)에 일정한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를 제도화하는 1차적인 추동력은 교회지도자들이 사용하고 유포시키려 노력하는 규범과 그들의 관계망임을 규명할 수 있었다. 교회지도자들의 이러한 노력이 발휘되는 배경에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운동조직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국가의 억압성이 강하고 시민사회가 수동화되었을 때,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라는 제도의 형성에 국가가 일차적인 영향력을 발휘했다. 국가의 억압성에 변화가 없지만 시민사회가 저항적으로 활성화된 제도화기의 경우, 조직화된 시민사회의 강한 압박력은 개신교지도자들로 하여금 개신교사회운동의 위상과 성격을 변화하도록 이끌었다. 국가의 억압성이 약화되고 시민사회가 민주적으로 활성화된 재변동기에는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 라는 제도적 양상에 조직화된 시민사회가 보다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넷째, 제도화 시기의 연구를 통해 제도화의 결과 발생한다는 동형화론(isomorphism theory) 이 한국의 개신교 장에서는 일부의 타당성만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전체 개신교 장은 구조화(안정화)가 진전될수록 차별성이 증대되었다. 반면에 개신교 장의 국지적 영역인 개별 교단 차원에서는 동형화가 진행되었다. 즉 제도화기를 통해, 개신교 장 전체로서는 연합주의, 절충주의, 저항주의라는 상이한 정치적 태도 및 사회적 순응(conformity) 대 사회적 혁신(innovation)이라는 상반된 사회적 태도가 구조화되어 갔으나 개별교단 수준에서는 동일한 정치사회적 태도가 확대되며 제도화되어 갔다. 다섯째, 개신교가 세계종교체제와 밀접히 관련이 있는 만큼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의 발생과 변동에 개신교 장에 작동하는 해외종교조직의 영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60년대의 원형적 분화나 90년대의 재변동에 있어서 해외종교조직의 재정적 원조와 신학적 이념은 개신교회의 조직체제유지나 사회적 정당화의 중요한 자원이었다. 교회의 체제유지목표와 사회적 정당성 목표에 대한 영향을 통해 개신교의 정치사회적 태도의 형성과 변동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앞 시기의 활동결과로 나타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정치사회적 태도 라고 하는 제도 변동의 강력한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개신교 장의 과거 활동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인 교회의 양적 성장지체는 개신교계 내부에 광범위한 반성을 초래하며 재변동기에 강력한 변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일곱째, 60년대 초반 군부권위주의 국가의 등장과 시민사회의 수동화, 87년 이후의 국가의 민주적 이행과 시민사회의 활성화라는 구조적 변동과 조우하여 구조적 제약과 조건을 매개로 성찰적 개입을 시도하는 교회지도자들의 활동은 특정한 시점에서 구체적인 정치사회적 태도가 형성되고 제도화되며 변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This study aims to approach distinctive features of political-social aspects in Korean Protestant with the three-divided period raging from the mid 1960s to the late 1990s. The characteristics of Protestant s political-social attitudes and changes are to be studied through Protestant denomination, which is adopted as a fundamental unit of analysis of my study. The organization of Protestant denomination mainly seems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are the State and civil society in Korea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deduce the process and formation of the denomination s political-social attitude directly from the macrostructural nvironment, the state and civil society. Instea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ner constituents and dynamics within Protestant denomination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some real and definite conditions of the denomination s political inclination. A kind of social space named Protestant-field is set up in this study to make it easy and clear to pursui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crostructural environments (the state and civil society in Korea) and the inner factors within Korean Protestant. The Protestant-field consists of a whole Protestant community, which is categorized by Christian associations, individual Christian order and various level of organizations in each order. This field is regarded as an environment to each Christian order, and on the other hand, it functions as a conceptional device to see the inner aspects of Protestant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whole Protestant. Consequently, the political and social tendencies of each Christian order within the Protestant-field are to be formed, specialized a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specific connections and articulations among the state, a civil society and the Protestant-field. The ways to connect and union these three different domains are so important to explain the Protestant s political and social tendency that a country, a civil society and the Protestant-field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social space in this study. Each space must have its own social category and multiple social connections (both in structural and behaviourial aspects). This study generalizes the state as power bloc and ruling bloc, a civil society as shapeless civil society and organized civil society, and the Protestant-field as normative inclination, constitutional phase and behaviourial sphere(of the members and the leader). Each area is individual and unique, but especially changes in the area of the state matters becaus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tate can frame those of a civil society and influence on the Protestant-field. The research of the links and articulations among the state, civil society and the Protestant-field in relation to each Christian order of the Protestant-field and social movement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estant-field. The results of analysis follows. 1. The first period from the mid 1960s to the early 1970s is a time for prototypical differentiation. Unlike the past when the whole Protestant used to work out a unified strategy toward the government and conform to civil society, different types of political-social attitudes such as combined conservatism, negotiated progressionism and resistant progressionism occurred in this period. It is the time when the power of the state was stronger than the social power and the government aggressively intervened in the activity and establishment of civil society. So, the power of the state takes the major part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Protestant-field and influences on the Protestant s political and social inclination. 2. The second period from the early 1970s to 1987 is a time for institutionalization. During this period the political and social features that was formed in the first period becomes routine and institutionaliz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ose three different attitudes are motivated by the norms and networks caused by the church leaders. 3. The third period from the late 1987 and the late 1990s is a time for re- change in the Protestant s political and social inclination. This is a transitional period from authoritarianism to democracy of the state. While the state s authoritarianism, oppression and dictatorship become weakened, civil society becomes consolidated which exercises a strong influence on the Protestant s political-social attitudes. While Protestant used to lead democratization of the state in the past, democratization and rationalization of civil society lead those of Protestant. The increased diversity and difference of civil society provides political and social features with plural and multiple aspects, among which there are modified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such as negotiated conservatism, degenerative conservatism, progressive reformism and opposing progressionism. This study used modified framework of the New Institutional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integrated into the New Institutional organization theory.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ascertained that the state is to be a factor of Protestant-field change and also is a cause of its members cognitions and needs in the civil society. 2. The powerful source of the political-social dispositions in Korean Protestant is protestant leaders who tried to spread their faith and norms to the civil society. 3.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and passive civil society, the state made a decisive role in formations of institutions, for example generalized political opinion, orientations to social change, values, norms and so on.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s of regime, however, organizations in the civil society forced the Protestant movement to change its ideas and goals. 4. Isomorphism on the Korean Protestant had plausibility in part only for the institutional period. The Protestant field as a whole had the three different political- social attitudes. The more the Protestant field was developed to construct, the more its differences deepened. However, isomorphism on each denomination level was intensified. 5. Religion-world-system has an influence on appearance of Korean Protestant political-social attitudes, through financial aids and theological ideas. 6. The unexpected results of Quantitative growth lag in Protestant church became powerful factor of Protestant political-social attitudse, a kind of institution. 7. The structural changes which were the rise of authoritarian regime and passiveness of civil society in mid 1960s, the democratic transitions of the regime and explosion of civil society since 1987, were important background of Protestant political-social attitudes. Korean Protestant leaders made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and change of Protestant behavior orientations, interpreting and intervening in appearances on macrostructural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