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진옥-
dc.creator강진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4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80-
dc.description.abstractThe ideal of examining thoroughly the oral tradition of folk narratives being impossible to be realized, there need to be a happy mean which reaches toward the research as a whole through an analysis of every version in detail. Even considering the literary folk narrative, while comprehensively covering the data collected in a wide area, I think it is necessary to get a macroscopic perspective, discussing its aspects of variation and strata of meaning with respect to the recipient’s consciousness.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multiple features of orally transmitted Korean folk narratives by way of inquiring into the representative group of types of folk narratives in which myth, legends and folk tales are comprised. Chapter III deals with the mythical type of Keumchuck, stories of a golden rule. Keumchuk I is the national myth relevant to the accession of royal kings, which exists not only as a folk narrative but also as a motif in many areas of arts, while undergoing various transformations and recurring throughout the Yi dynasty. At every crisis of the nation it has existed as a mythical system of confirming the justification of the dynasty and the homogeneity of the ruler and the royal family. Whereas Keumchuk I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literary works, Keumchuk II by means of oral transmission has been a folk tale represents the advancement of the people. This type of stories about a form hand with a golden rule who revived the princesses of two nations and became the husband of both solves all of the problems of the characters through the exchange of life and wealth and emphasizes the values of material in life. Each of these two types forms its own stratum of meaning, deriving from the same source of Keumchukwon in Kyung-joo area and being varied to get the contrasting contents. Chapter III contains the legendary type of Sonsoonmaea as of a good man and Changjamot as of a bad man. Sonsoonmaea is divided into the folk narrative in Samgoockyoossa and the oral tradition; these two materials with a very similar structure and yet with a different intention show their own strata of meaning.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orally transmitted story only has the stratum of filial piety as with the general piety stories, the folk narrative in Samgoockyoossa does not affirm the filial duty which was highly estimated by the ancestors as an absolute value. The filial support chosen by Sonsoon is converted in meaning by the toll of the bell excavated from the burial place and related to the original source of temple stories and expanded to the meaning of religious redemption. In Sonsoonmaea coexist the surface stratum of affirmation to the filial duty and the deep stratum of orientation to the essential awareness. In Changjamot the surface stratum of meaning presents itself as the punishment on the vice of bad men. Furthermore, in ambivalent existential aspect of human beings is shown by the predicament of a daughter-in-law facing the two conflicting worlds of a monk and a rich man, discipline of absolute goodness and human desire respectively. And her turning away gets its meaning in the affirmation of human attributes by humanity itself. The folk tale type in chapter IV is classified largely into the type of eccentric and that of mediocrity. The type of eccentric is composed of ‘Myungeui’, stories of a skilled physician and ‘Poongsoo’, stories of the physiographic prediction of human fortune, and both of them have abundant literary folk narratives. The former is the story of success and limitations revealed through the healing process by a noted doctor who subjugates the ailments of living men. Though it is presented in many aspects by way of various episodic combinations, the process has a common meaning, that the moral discipline is not the absolute value, as the first stratum, and that the health is acquired when the organism of human beings is in accordance with the revolution of cosmos, as the second stratum, and that among many things the human life seems the most valuable, as the third stratum. Compared to the orally transmitted folk narrative mainly deals with the diseases of the people and their treatments, the literary folk narrative with the cases of an eminent doctor who cures kings and officials. In coping with the events, the one is likely to find its solution in the rational relationships of causality, whereas the other tends to result in the leap of correspondence with the cosmic dimension. ‘Poongsoodam’ is the type of stories about the bliss of posterity through the death of predecessor. And the dead ancestor, in turn, gets an eternal life through the prosperity of descendant. This situa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backdrop of traditional family oriented society. Each story of Poongsoodam with cases of success and failure, of physiographic prediction of human fortune and of participants, forms its own stratum of meaning I a variety of way. The orally transmitted folk narrative in main tells of the blessed grave site casually adopted. All of the literary folk narrative, on the other hand, is based on the requital of a favor and put its emphasis on the feature of eccentricity in the prospect of fortune. The type of mediocrity is composed of ‘Aji’, stories of child’s wisdom and ‘Geowool’, stories of mirror showing adult’s ignorance. The former is about the child who solves difficult problems on behalf of the adults in adversity. Here the commonsensical stratum which believes that any difficulty could be solved by intellectuals meets with the negation of the second stratum of meaning which goes through the disillusionment to admit that the affected intellectuals are in fact not any more wise than a little child from which the third stratum of meaning is derived, that is, the experienced knowledge is no better than the intuitive wisdom. These stories critically allude to the inability of intellectuals who is no longer to be creative. ‘Geowool’ stori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one of serious themes with its source on the folk narrative in the Buddist scripture, and the other as a farcical form of variations. By the help of a man with mysterious power, the characters’ disillusionment, the images reflected in the mirror are not the reality, is a step in the process of awareness from the discriminative knowledge to the intuitive wisdom. The farcical type puts its emphasis on the obsession of characters who believe firmly in the reflected images of the mirror as the reality and exaggerates their chaotic states, and turns the situation into an absolute laughing matter. The types of folk narrative in every genre discussed above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The mythical type breaks the narrow circle of myths to get its form in folktale and has variegated strata of meaning as well.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myth can be transferred to an open realm of folk tale when it losts its function as a myth. In the legendary type, the ‘Sonsoonmaea’ legend of human shows no conspicuous difference in structure, though there seems som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oral tradition and the ‘Changjamot’ legend of place exists only as a type without any variation as groups of type. It reflects the limits of legend as an explanation of evidences with a result of no diversity in meaning strata. All of the folk tale type exists as a group of types which reflects the openness of folk tale. The phenomenon of folk tale developing into group of types reflects the situation of fervent discussion of various way of thinking among the participants. Stories have many generic distinctions, but the substance flowing deep into them has a meaning in common. The structures of problems and their solution centered around the behavior of characters we summarized as follows; death/life, ailments/health, poverty/wealth, extinction/creation, defeat/bliss, experienced knowledge/ intuitive wisdom. In the course of converting the former negative values into the latter positive values, it is obvious that stories reveal, from the level of physical life even to that of spiritual life, the basic theme of their aspirations for life. This gets its concrete meaning thr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life and in site of a tremendous lag of time still, as its vital element, makes the folk narrative alive. ; 구전설화의 연구는 총체적 단위가 이상적이나 실현 불가능한 것이므로, 총체적 연구를 지향하면서 각편 단위의 정밀한 분석까지 아우르는 중간 단위의 설정이 필요하다. 문헌설화까지 고려하고 여러 지역에서 조사된 자료를 포괄적으로 다루되 그것의 변이양상, 의미층위를 수용자 의식과 관련시켜 논의하는 거시적 관점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신화·전설·민담을 망라한 대표적인 설화 유형군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구전설화의 전모를 밝혀보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II장 신화적 유형에는 「금척」이 다루어진다. 제왕의 등극과 관련된 국가신화인 금척I은 설화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예술분야의 motif로서 다양하게 變容되어 조선조 全왕조에 걸쳐서 반복 등장된다. 「금척」은 국가적인 위기가 있을 때마다 왕조의 정당성가 왕실 및 통치자의 동질성을 확인하게 해준 신화적 체계로 존립해 온 것이다. 금척I이 문헌을 중심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비해서 구비전승되고 있는 금척II는 백성의 영달을 그린 민담이다. 머슴이 금척을 얻어 雨國공주를 살리고 양국부마가 되었다는 이 유형은 생명과 부귀의 상호증여를 통해서 등장인물 모두의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로서 삶에서의 실질적인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경주지방의 금척원 유래에서 연유한 동일 소재가 상반된 내용으로 변모된 두 유형은 각각의 의미층위를 형성하고 있다. III장 전설적 유형은 善人型 「손순매아」와 惡人型 「장자못」을 대상으로 한다. 「손순매아」는 삼국유사 所載 설화와 구전설화로 나눌 수 있는데, 두 자료는 매우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의미지향이 달라 각각의 의미층위를 보여 주고 있다. 구전설화가 일반적 효행담과 같은 효행의 층위만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삼국유사 소재설화는 선인의 선행인 효행을 절대적 가치로 긍정하는 것은 아니다. 손순이 택한 奉養의 효는 埋兒現場에서 발견한 종의 소리에 의해 의미론적 전환을 이루어 寺刹緣起와 관련되면서 종교적 구원의 의미로 확대된다. 「손순매아」에는 효행긍정의 표층적 층위와 본질적 깨달음이란 지향의 의미층위가 공존하고 있다. 「장자못」에는 악인의 악행에 대한 징벌이란 표층적 의미 층위가 전제된다. 이와 함께 도승과 장자로 표상되는 절대신적 질서와 인간적 욕망이란 두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는 며느리를 통해 양면성을 지닌 인간의 존재론적 位相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며느리의 ‘고개돌림’은 인간 자신이 인간적 속성을 긍정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IV장 민담적 유형은 크게 異人型과 凡人型으로 분류된다. 이인형은 「명의」와 「풍수」를 대상으로 하는데 둘 다 풍부한 문헌설화를 가지고 있다. 「명의담」은 살아 있는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명의의 의술시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공과 한계를 이야기한다. 그 과정은 다양한 삽화결합을 통해서 여러 양상으로 제시되지만 공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윤리적 규범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라는 제1의 층위와 건강은 인간의 생체와 우주적 운행원리가 照應할 때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는 제2의 층위, 인간적 삶이 가장 가치있는 것이다는 제3의 층위로 나타난다. 구전설화가 백성의 질병과 치료를 주로 다루고 있는 것에 비해, 문헌설화는 왕 또는 벼슬아치를 치료한 명의의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사건의 해설과정에서도 문헌설화는 합리적인 인과관계를 통해 설명하려는 경향을 보여, 구전설화가 지니는 우주적 차원과의 일치라는 비약적인 결과와는 비교된다. 「풍수담」은 죽은자를 통하여 살아 남은 후손의 發福을 이루게 하는 이야기이다 후손의 번영으로 죽은자가 영원한 삶을 누리게 되는 현상은 전통적인 가족주의의 배경 아래서 이해될 수 있다. 「풍수담」은 풍수의 성공과 실패 및 수용자의 성공과 실패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각 경우들은 각기 다양한 의미층위를 형성하고 있다. 구전설화의 많은 부분이 수용자가 우연하게 잡은 명당을 얘기하고 있는데 비해 문헌설화는 모두 報恩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풍수의 이인적 면모를 드러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범인형은 아이의 지혜를 얘기한 「兒智」와 어른의 무지를 얘기한 「거울」을 대상으로 한다. 「아지」는 難題를 해결하지 못하고 고민하는 어른을 대신하여 아이가 지혜로서 해결하는 이야기이다. 여기에는 지식층은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통념적 층위가, 훌륭한 줄 알았던 지식층도 어린아이보다 못하다는 제2의 의미층위에 의해 부정되고, 이어 經驗知는 직관적 지혜보다 못하다는 제3의 의미층위를 이끌어 낸다. 이 이야기는 창조적 힘을 잃은 지식에 대한 비판을 드러내고 있다. 「거울」은 불전설화에 원천을 둔 진지한 주제를 지닌 유형과 그 변이형인 笑話的 유형으로 구분된다. 「거울」에 비친 그림자를 實在로 아는 등장인물의 미망상태가 도인의 깨우침에 의해 깨어지는 것은 分別知에서 本質智를 깨닫게 되는 진리인식의 과정이다. 소화적 유형은 거울 속의 그림자를 실재로 여기는 등장인물들의 어리석음을 강조하여 혼돈상태를 심화시킴으로써 완전한 웃음거리로 변모된 것이다. 이상에서 장르별로 논의된 설화유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신화적 유형은 신화가 지닌 한정성을 깨고 민담화하면서 의미층위도 다양화 되고 있다. 신화가 신화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때 개방성을 지닌 민담으로 변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설적 유형에서 인물전설적인 「손순매아」는 문헌과 구비전승이 다소의 의미차이를 보이지만 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고, 지명전설인 「장자못」은 유형군으로의 변이없이 유형으로서만 존재한다. 그것은 증거물의 설명이라는 전설적 한정성을 반영하는 것이며, 그 결과 의미층위도 다양화 되지 못하고 있다. 민담적 유형은 모두 유형군으로 존재한다. 그것은 민담이 가진 개방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민담이 유형군으로 발전되어 가는 현상은 향유자들의 다양한 사고방식의 논란이 심각해져 가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 이야기들은 장르적 변별을 지니고 있지만 이야기가 담고 있는 근본적 의미에는 공통성이 있다. 등장인물의 행위항을 중심으로 제시된 문제와 해결의 구조에서 추출된 내용은 죽음/삶, 질병/건강, 빈곤/풍요, 소멸/생성, 패망/발복, 경험지/본질지 등으로 요약된다. 앞의 부정적 가치들은 뒤의 긍정적 가치로 전환되면서 이야기는 육신적 생명차원에서부터 정신적 생명에 이르기까지 그 기본적 주제인 생명지향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향유층의 삶의 체험을 통해 더 구체화된 이 의미는 엄청난 시간을 거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설화를 살아남게 한 ‘意味素’로 보여지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I. 서론 -------------------------------------------------------------- 1 II. 신화적 유형 : 「金尺」-------------------------------------------- 10 1. 자료의 양상과 변이 ----------------------------------------------- 10 2. 문제와 해결의 구조 ----------------------------------------------- 23 3. 의미해석 --------------------------------------------------------- 26 III. 전설적 유형 ----------------------------------------------------- 71 A. 善人型 : 「孫順埋兒」--------------------------------------------- 71 1. 자료의 양상과 변이 ---------------------------------------------- 71 2. 문제와 해결의 구조 ---------------------------------------------- 84 3. 의미해석 -------------------------------------------------------- 86 B. 惡人型 : 「장자못」-----------------------------------------------102 1. 자료의 양상과 변이 ----------------------------------------------102 2. 문제와 해결의 구조 ----------------------------------------------112 3. 의미해석 --------------------------------------------------------115 IV. 민담적 유형 ------------------------------------------------------123 A. 異人型 : 「명의」「풍수」-----------------------------------------123 1. 자료의 양상과 변이 ----------------------------------------------123 2. 문제와 해결의 구조 ----------------------------------------------169 3. 의미해석 --------------------------------------------------------180 B. 凡人型 : 「아이의 지혜」「거울을 모르는 사람들」------------------217 1. 자료의 양상과 변이 ----------------------------------------------217 2. 문제와 해결의 구조 ----------------------------------------------228 3. 의미해석 --------------------------------------------------------235 V. 결론 --------------------------------------------------------------266 참고문헌 -------------------------------------------------------------275 Abstract -------------------------------------------------------------2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987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구전설화 유형군의 존재양상과 의미층위-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