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순우-
dc.creator이순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7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ims to review early Korean family novels, Han Kanghyon choon, So Hyonsong rok, Chanson Kamui rok, and Sa-ssi Namjon ki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status of the husband in these novels and hence identifying their literary significance. In chapter Ⅱ, the thesis analyzes the context in which the early family novels emerged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 and of the Korean historical background. The early family novels direct their attention to more realistic problems without the fantastic quality of the novels in the previous stage. The tendency of biographical novels, for example Hong Kil Dong chon, to depict not only a fragment of a person s life but the whole cycle of it also helped the formation of the early family novels. Another background for the advent of the early family novels was patrilineal kinship that was held fairly important in the 17th century. The period was a scene for the power struggle of confucian factions; as a result, sense of one s family enlarged and the patriarchal rights strengthened due to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kinship. Secondly in chapter Ⅲ, the thesis examines the husband and his status in the early family novels. In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A husband is related to his parents, wife and children in his family ties. In this sense, a husband of Chosun Dynasty can find a raison d etre not in an individual life but in a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In the early family novels, the husband has very intimate interrelationship with his family members and the most outstanding is a relationship with the wife. When the husband did not properly governs his family, he could not be looked upon but was criticized by the wife. In addition, when he did not complete hi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he parents constantly rebuked and punished him. The husband had a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s prosperity and hence, a husband who could not govern a family was not considered proper for the family. However, the husband s role or responsibility as a father is not discussed often. Then the tendencies and types of the husband are studied in chapter Ⅳ. If the husband places high value on filial piety, he is a conventional tradition-honoring type. This type of husband considers father-son relationship as essential and neglects the love in husband-wife relationship. He seeks for the conventional viewpoint of happiness which concerns making his parents content. Filial-piety oriented person takes husband-wife relationship as a part of inheriting father-son relationship, therefore never freeing himself from his family. On the contrary, a husband who puts much value on love has a strong tendency to seek for one s own happiness rather than that of the parents. This revolutionary love-oriented husband does not take his family essential and sometimes even leads his whole family to total destruction by his disobedience. There is another type of husband who seeks for the harmony between filial piety and love. Despite the fact that these two values are contradictory, this type of husband sticks to his filial piety and also protects his love. This person tries to lead his life balancing the traditional view of happiness and individual one. The early family novels demonstrate gradual shift from piety-oriented to love-oriented husband. Finally in chapter Ⅴ, the appearance of the husband and the reception of him in later novels are considered. In ancient novels since Kim, Shi-seup s Isanggyujang chon, the husband continuously appears. Previously only the husbands who pursuit love turn up, however, in early family novels there are more diverse types.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more realistic personae are depicted due to social shifts. The way the husband appears in novels shows various aspects of changes based on reality. The husbands of early family novels reappears in the later novels, domestic novels, satirical novels, novels in classic Chinese, and p ansori(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s) novels. However, this reappearance heavily imbued with changes along with the social changes. The changes in the husband results from the social changes which induces the changes in his view of life and happiness. Analyzing the husbands in each type of novels, it is found that the authority of the husband in the early family novels are alleviated in later period. These consequences result from the intensified desire of the husband to lead a life as an individual as the time shifts. ; 본 논문은 초기 가문소설인 <한강현전>, <소현성록>, <창선감의록>,<사씨남정기>를 대상으로 작품에 등장하는 夫의 위상과 유형을 살펴 문학적 의의를 밝히는 데에 있다. Ⅱ장에서는 초기 가문소설의 출현배경을 소설사적 관점과 시대적 배경의 측면에서 살피었다. 초기 가문소설은 전대 傳記소설이 환상성을 버리고 사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게되고, 인간의 단면적인 삶이 아닌 일생을 그린 <홍길동전>같은 소설의 영향으로 형성하게 되었다. 17세기는 사림세력간의 투쟁으로 가문의식이 팽배되고 친족구조의 변화로 가장권의 강화되는 등 부계혈연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는데 초기 가문소설은 이같은 시대를 배경으로 출현하였다. Ⅲ장에서는 초기 가문소설에서의 夫와 그 位相을 살피었다. 조선조 사회에서 夫는 부모, 아내, 자식과의 가족관계를 맺고 있다. 이로보건대 夫는 당대사회에서 독립된 개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그 존재의미를 지니는 인물이다. 초기 가문소설에서 夫는 가족과 상호긴밀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아내와의 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夫가 남편으로서 齊家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 아내로부터 존경을 받지 못하고 비판을 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夫가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하면 끊임없이 부모의 질책과 제재을 받았다. 이는 가문창달의 책임이 있는 夫가 제가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가문을 위해 바람직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夫가 아비로서의 역할과 책임은 크게 부각되고 있지않다. Ⅳ장에서는 초기 가문소설에 나타나는 부의 指向과 그 類型을 살펴보았다. 夫가 효의 실현에 절대적인 삶의 가치를 둘 경우 이는 효 지향의 전통고수형 인물이다. 이 유형의 夫는 부자관계를 중요하게 여겨 부부간의 애정을 도외시하는 한편 부모를 행복하게 해드리는 전통적인 행복관을 추구하였다. 효 지향형 인물은 항상 부자관게의 계승으로 부부관계를 인식하여 가문의 지배를 벗어나지 못하였다.그러나 애정에 삶의 가치를 두는 애정 지향의 개혁시도형 夫는 부모의 행복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리하여 이 유형의 夫는 가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 가문을 멸문지화에 이르게 하는 불효도 서슴치않았다. 효와 애정은 상반된 가치관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조화롭게 이루어 나가는 夫는 효와 애정의 조화추구형 인물이다. 이 유형의 夫는 효를 지키면서 애정을 추구하는바 전통적인 행복관과 개인의 행복관을 적절이 조화시켜 삶을 살고자 하였다. 초기 가문소설에서는 효 지향의 夫에서 점차 애정 지향의 夫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Ⅴ장에서는 夫의 형상과 후대적 수용에 대하여 살피었다. 김시습의 <이생규장전>이래 고소설에서 夫는 지속적으로 작품에 형상화되고 있다. 전대 소설은 애정을 추구하는 夫만 형상화되었는데 초기 가문소설에 이르면 다양한 夫가 형상화되고 있었다.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현실적인 인물이 작품 속에 형상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夫가 소설에서 형상화되는 방향은 현실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모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할 수 있다. 초기 가문소설에 나타난 夫는 후대 소설인 가문소설, 가정소설, 풍자소설, 한문소설, 판소리소설 등에 수용되면서 상당히 많은 변모의 과정을 겪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소설에서 夫가 끊임없이 변모의 양상을 보이는 것은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夫의 가치관과 행복의 척도가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유형의 소설에서 夫가 어떻게 수용되어 변모되고 있나를 살펴본 결과 초기 가문소설에 나타난 夫의 권위는 후대 소설에서 상당히 약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夫가 후대로 올 수록 개인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욕망이 강화된 때문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 論 ---------------------------------------------------------- 1 Ⅱ. 初期 家門小說의 出現 背景 -------------------------------------- 4 A. 初期 家門小說의 出現과 그 樣相---------------------------------- 4 B. 初期 家門小說의 時代的 背景 ------------------------------------ 10 Ⅲ. 初期 家門小說의 夫와 그 位相 ---------------------------------- 24 A. 作中人物로서의 夫 ---------------------------------------------- 24 B. 夫의 家族內的 位相 --------------------------------------------- 29 Ⅳ. 初期 家門小說의 夫의 指向과 그 意味 ---------------------------- 66 A. 孝 指向의 傳統固守型 ------------------------------------------- 66 B. 愛情 指向의 改革試圖型 ----------------------------------------- 82 C. 孝와 愛情의 調和追求型 ----------------------------------------- 89 Ⅴ. 夫의 형상과 後代的 受容 ---------------------------------------- 94 A. 夫의 형상화와 그 方向 ------------------------------------------ 94 B. 後代的 受容과 變貌 --------------------------------------------- 99 Ⅵ. 結 論 ----------------------------------------------------------133 參考文獻 -----------------------------------------------------------137 英文抄錄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229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기 가문소설에 나타난 부연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