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불법 유출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Title
불법 유출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Authors
이강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문화재는 문명과 민족문화의 근본요소의 하나를 이루며 그 참된 가치는 역사 및 전통적 배경에 관한 모든 정보와 관련하여서만 평가될 수 있고, 다시는 복구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탈식민지화의 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화재의 원소유국으로의 반환문제는 문화재를 민족의 문화유산 개념으로 파악하느냐, 인류의 공동유산 개념으로 파악하느냐의 대립이었다. 민족문화유산의 개념은 한 국가 내에서 만들어진 문화재 또는 그 국가 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문화재는 그 국가의 소유라는 의미이다. 이 개념에는 그 문화재와 민족간에는 특별한 관계 가 성립한다는 원칙과 국가주권 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는 원칙이 제시되었다. 특히 식민지 상황에서의 문화재의 양도는 현 문화재보유국들에 의해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신생독립국들을 비롯한 비동맹국가들의 반격이 바로 UN 총회에서의 결의 형식 등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1970년대에 UN 총회에서 논의된 식민지배 또는 무력충돌 시의 문화재 유출에 대한 반환은 부분적으로는 현 문화재보유국과 반환청구국간의 지속적인 교섭과 협약체결로 성공적으로 이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 문화재보유국과 신생독립국간의 문화재의 반환문제는 소급효가 인정되지 않는 현재의 국제협약의 적용범위 밖의 사항들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 위에서, 먼저 문화재의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관행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전시 문화재의 보호에 관한 국제사회의 규제사항이 등장한 20세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까지의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행 등을 살펴보고 무력충돌시 또는 군사 점령시의 문화재는 원칙적으로 반출되거나 이전될 수 없음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1·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 과정에서는 약탈된 문화재의 원소유국으로의 반환을 이행시킨 현 국제사회의 국제법적 규범화 노력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서 UN 총회결의 내용의 변화에 따른 문화재 반환의 해결방법, 즉 UNESCO의 전문가위원회, 정부간위원회 등과 국제박물관 위원회의 특별위원회 등이 제시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국가간의 현실적 관행과 비교하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표적 국가간의 문화재 반환 사례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반환의 해결방식을 소개하였다. ; Cultural property constitute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civilization and national culture, its true value can be appreciated only in relation to the fullest possible information regarding its origin, history, and traditional setting. And it has a characteristic feature that can t be restored easily.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to its countries of origin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decolonization since world war Ⅱ, has raised the collis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between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 The concept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views cultural property produced within a state or first discovered within a state as belonging to that state. This doctrine is based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a people and its cultural property and the notion of state sovereignty. Especially, cultural properties removed during colonial period are often regarded as legal transfer by the holding states.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however, have strongly resisted this argument, making many resolutions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placing emphasis on the core of the problem. After the discussion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the 1970 s,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llegally removed during colonial rule or military occupation, has been, even if partly, applied through the possessory states and the requesting states. But most of issues o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between the holding countries and the requesting countries are not covered by the present international convention provisions which do not provide for the retroactive effect. It may be termed an extra-convention matters .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resolve the substance of the subject. Under this context, this study, above all, investigates historical practice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international law. So I wanted to show that the cultural property removed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or under the foreign military occupation should not be exported or transferred with the investigations of the international practices for the return of the cultural property before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when appear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about it. And then I m concerne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 endeavours to restore the plundered cultural properties to its countries of origin. To solve problem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post-world war Ⅰand Ⅱ,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programs, following the change of the resolution of UN General Assembly, presented by special committee of UNESCO, IGC, and ad hoc committee of ICOM with the real practices performed among the countries. With investigat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 related countries, I wanted to propose the actually possible solution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