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상숙-
dc.creator박상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24-
dc.description.abstract근로자의 경영참가(보통 경영참가라고도 한다)라고 하면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이 개별기업의 경영상의 문제에 어떠한 형태로 참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미의 경영참가의 유형은 참가의 대상에 따라 자본참가(재산참가), 성과참가(이익참가) 그리고 의사결정참가로 구분된다. 협의의 경영참가는 의사결정참가만을 의미한다. 협의의 경영참가, 즉 근로자의 기업경영 의사결정과정에의 참가는 근로자의 경영참가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기업소유와 기업성과 이외의 기업경영에 대하여 참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한국이나 일본의 노사협의제나 독일의 공동결정제도와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영참가는 산업민주주의와 노동의 인간화를 실현하고 생산성 향상등의 경영의 효율화를 증대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고 보편적인 수단이 되므로 그 필요성이 있다. 또한 경영참가는 근로자에게 노동3권이 확보된 이후 단체교섭이 가지는 노사관계의 대립적 측면을 지양하고 노사상호간의 협력관계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요청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정보화·세계화가 크게 진전되면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경영참가는 불가피하게 요구되고 있다. 협의의 경영참가는 노사관계의 제반 사항에 관한 공동결정 내지 사용자의 의사결정과정에의 근로자참가라는 점에서 단체교섭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지만, 양제도는 협의대상, 방법 및 협의수단 등에 있어 그 양상을 달리한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 단체교섭과 노사협의제의 접근경향, 중복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특히 기업별 노조가 주종을 이루는 일본과 우리 나라의 경우 단체교섭사항 중 상당수를 노사협의회에서 다루는 등 양자가 실제적으로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단위 노사관계가 주종인 우리 나라 경우는 노사협의회와 단체교섭의 이질적 요소만을 지나치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상호 조화로운 운영을 통해서 참여와 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1980년에 제정된 ‘노사협의회법’을 폐지하고 1997년 3월에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을 제정하면서 노사협의회의 기능을 대폭 강화하였고, 근로자의 참여와 협조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새롭게 제정되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제정에도 불구하고 그 평가에 있어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노사협의회가 보다 적극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법의 개정은 계속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법개정 논의와 관련하여 문제시 되는 것은 역시 대립적 성격을 갖는 단체교섭과 협력적 성격을 갖는 노사협의가 동일한 사업장에서 사실상의 동일한 주체간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새로이 제정된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이 노동조합의 자유설립을 원칙으로 천명하고 있으면서도 기본적으로는 기업별(사업장별) 노조가 주종을 이루는 우리 나라 노사관계의 기본구조와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노동조합의 조직형태가 초기업적 조직으로 발전해야 함을 전제로 하여 우리 나라 노사관계의 기본구조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결의 조직형태의 선택은 근로자들에게 맡겨져 있기 때문에 특정 조직형태를 법률로 정하여 강요하는 것은 위헌으로 된다. 따라서 노동조합의 초기업적 조직으로의 변모는 노동조합의 자주적 노력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결국 장기적으로는 전국적·지역적 규모의 단체교섭 기능과 기업차원의 경영참가 기능이 이원적으로 분화하여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It can be considered the laborer management participation(it is common that this is called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that the laborer or the trade union participates in the matters of management in one form or another. The type of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like this sense is to be classified into participation in capital(participation in property), participation in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profit)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according to the subject of participation.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in a narrow sense means only participation in decision.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in a narrow sense, that i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es the heart of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which mean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besides enterprise possessions and enterprise performances. We should think that the likes of 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system in Korea or Japan and the co-determination system in Germany are representative examples.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like this is meaningful for being the most efficient and general method in realizing humanization of labor as well as industrial democracy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like the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so on. And also, sinc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insured laborers, in order to sublate the antagonistic faces of the rela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at the collective bargaining embraces and ensure the cooperative relations of labor and management with each other,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has been requested. Particularly, as the information-oriented and globalization make great progres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for the purpose of surviving enterprises,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is requested inevitably. The management participation in a narrow sense takes charge of the similar function with the collective bargain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co-determination of the various matters of the labor-management relation and the laborer participation in decision process. However, both systems assume a dissimilar aspect of a subject, a way and a means for consultation. However, the approach tendency and double phenomenon between the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system have often come out these years. And also, in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of our country and Japan which are mostly enterprise-based unions, 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expressly treats of a good many subjects of the subjects for the collective bargaining. Therefore, practically both are organically related to mutuality and operated. And so, I should say that we should not overemphasize only the heterogeneous points between 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and the collective bargaining, but expand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the harmonious 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ur country where the labor-management relation consists mainly of the enterprise-based labor-management relation. As the Government repealed‘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Act’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year 1980 and maked‘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laborer’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in our country in March of the year 1997, the Government sharply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and widened the laborer’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However, as we have see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enacted this Act, this Act is criticized in its evaluation. Accordingly, I think that the Government must steadily carry out the amendment of this Act in future so that the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may fulfil its function more positively. With respect to the labor law revision, All that matters is the fact that both the collective bargaining of adversarial character and th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consultation should be performed by the same parties in every workplace.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Trade Union and the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which is enacted newly makes it a rule to organize the trade union freely, thi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basic structure of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of our country which are mostly enterprise-based unions. On the premise that the form of the organization of the trade union should develop into industrial union in our countr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basic structure of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of our country, which comes to consider in this study. But, it is against the constitution to force the Government to provide for the specified form of the organization, because the laborers are entrusted with the choice of the form of the organization of the union. Accordingly, I′d think,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ial union must be realized through the independent labor of the trade uion. In the long term, it is desirable that a division of function is made between the collective bargaining by a national or regional entity and the employment involvement on a company level in a manner that can complement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mission of both ent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 文 槪 要 = vi I. 序 論 = 1 II. 經營參加의 基礎理論 = 3 A. 經營參加의 槪念·根據 및 意義 = 3 1. 經營參加의 槪念 = 3 2. 經營參加의 根據(正當性) = 5 3. 經營參加의 意義(必要性) = 7 B. 意思決定參加(狹義의 經營參加) = 10 III. 主要國의 經營參加 = 14 A. 獨 逸 = 14 1. 總 說 = 14 2. 沿 革 = 17 3. 獨逸의 經營參加制度 = 22 1) 1951년 공동결정법에 의한 공동결정 = 22 2) 1976년 신공동결정법에 의한 공동결정 = 22 3) 사업장공동결정법에 의한 경영참가제도 = 24 4. 獨逸式의 經營參加와 生産 시스템 = 27 1) 독일식의 경영참가 = 7 2) 다변화된 품질 지향 생산 체제 = 28 B. 日 本 = 31 1. 日本的 經營參加의 特徵的 要素 = 31 2. 沿 革 = 33 3. 日本의 經營參加制度 = 36 1) 작업장(workshop)차원에서의 경영참가 = 36 2) 린 생산 체제(Lean Production System) = 37 3) 기업차원에서의 경영참가 = 39 (1) 노사협의회의 설치, 구성, 근거 = 40 (2) 노사협의회의 운영 = 41 4) 산업차원에서의 경영참가 = 43 (1) 근거와 구성 = 44 (2) 운영상황 = 44 5) 노사협의제와 단체교섭의 관계 = 45 C. 英 國 = 46 1. 沿 革 = 46 2. 英國 勞使關係의 特徵과 最近 經營參加의 傾向 = 50 1) 영국 노사관계의 특징 = 50 2) 최근 경영참가의 경향 = 52 3. 英國의 經營參加制度 = 53 1) 공동협의위원회 = 53 2) 직장교섭 = 58 IV. 우리 나라의 經營參加制度로서의 勞使協議會 = 60 A. 意義와 沿革 = 60 1. 意 義 = 60 2. 沿 革 = 60 B. 勤勞者參與및協力增進에관한法律의 主要內容 = 64 1. 勞使協議會法의 名稱 및 目的 變更 = 65 2. 勞使協議會의 設置 = 65 3. 勞使協議會의 構成 = 67 4. 勞使協議會의 運營 = 69 5. 勞使協議會의 任務 = 71 1) 협의사항의 확대 및 실효성 확보 = 71 2) 의결사항 및 임의중재제도의 신설 = 72 (1) 의결사항의 신설 = 72 (2) 임의중재제도의 신설 = 73 (3) 경과규정 = 74 3) 사업주의 보고의무 해태시 자료제출요구권 신설 = 74 6. 苦衷處理 = 75 7. 中央勞使政協議會의 設置 = 76 1) 중앙노사협의회의 중앙노사정협의회로의 확대개편 = 76 2) 중앙노사정협의회의 기능 = 77 3) 중앙노사정협의회의 회의 = 78 4) 분과위원회의 부문별 설치 = 79 C. 現行 勞使協議會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 79 1. 勞使協議會의 設置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 80 2. 勞使協議會의 機能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勞使協議會와 團體交涉의 關係) = 83 3. 勞使協議會의 構成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 89 4. 勞使協議會의 運營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 93 5. 勞使協議會의 任務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 95 6. 苦衷處理制度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 97 7. 中央勞使政協議會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 98 8. 勞使協議會의 發展方向 = 98 1) 노사협의회와 단체교섭의 이원화 내지 기능구분 = 98 2) 법적인 검토 = 102 V. 結 論 = 105 參 考 文 獻 = 107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992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사협의회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