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숙향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상화 원리, 탈시설수용화, 최소제한환경의 개념들을 통해 발전한 통합교육의 위상과 필요성이 부각 되면서 통합교육은 어느덧 특수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육철학으로 자리메김을 하게 되었고, 이에 힘입어 단순한 물리적 통합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들을 최소화하고 보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실시를 위해 효과적인 전략들을 연구하는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들 중에서도 특히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들의 태도변화는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통합의 성공여부를 평가하는 지표로도 이용되어졌으며, 이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은 장애아동과의 간접적인 접촉 및 노출에서부터 일반아동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프로그램들에 이르기까지 일반아동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방법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 다양한 방법들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특히 우리 교육현장의 현실을 고려할 때, 통합교육의 실시에 따른 일반교사의 가중된 부담과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모호한 책임구분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한점들로 인하여 이들 방법들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뒤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제한점들을 보완하여 일반아동의 태도개선을 위해 현장 교사들이 비교적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는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들을 장애아동에게 부여함으로써 이것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으로 서울 동부에 위치한 3개 공립초등학교에서 각각 2명씩 6명(저학년 2명, 고학년 4명)의 장애아동들과 이들의 원적 학급 아동들 중 177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90명)과 통제집단(87명)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의 장애아동에게는 예비 조사를 통해 미리 선정된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 10가지를 매주 2가지씩 5주에 걸쳐 수행하게 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수용성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용성 척도(Voeltz,1980,1982)와 여러 가지 활동들에 대한 활동 선호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활동 선호 척도(Siperstein, 1980)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을 부여하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역할부여 기간이 끝난 후에 같은 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검증을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차점수의 차에 대한 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를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가 집단, 학년,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를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는 수용성 태도, 활동 선호도 모두에 대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용성 척도의 세부요인에서는 2요인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 에 대해서만 집단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기 보다는,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가 통제집단의 경우 더 부정적으로 변한 반면, 실험단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정적인 태도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2.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를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는 수용성 태도, 활동 선호도 모두에서 저학년·고학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를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는 수용성 태도, 활동 선호도 모두에서 남학생·여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를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는 집단과 학년의 상호작용, 집단과 성별의 상호작용, 학년과 성별의 상호작용, 집단·학년·성별에 따른 상호작용들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가 비록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지는 못했으나 적절한 교육적 중재가 배제된 단순한 물리적 통합상황에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가 더 부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를 방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단순히 일반학급내에서 이미 존재하는 역할들을 장애아동들에게 부여하는 것만으로 태도변화를 위한 기존의 방법들의 적용에 따른 제한점들을 보완하고 나아가 단순한 물리적 통합에서 야기될 수 있는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가속화를 최소화하고 방지할 수 있었다는 것은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들의 태도개선을 위해 교육 현장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잘 보여준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이것은 단순한 물리적 통합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재확인 시켜주어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 비해 단순한 물리적 통합의 양적인 성장에 더 치중해 온 우리의 교육현장을 다시금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단순한 물리적 통합의 양적 성장을 넘어서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 더욱 내실을 기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현장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면서도 좀 더 효과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직접적인 중재방법들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노력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to chang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which is one of critical elements for effective inclusion. But several problems can be founded when these various methods are applied into real classroom such as increase of burden of general teacher and poor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etc. Giving valued roles in classroom to disabled children has possibility to be a good alternative method which is able to compensate these problem as well as to be applied into real classroom with more easines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lued roles in classroom which are given to disabled children o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and to identify any difference that might exist i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accroding to grade and sex. For this purpose, 6 disabled children(lower graders 2, upper graders 4) and their peers, 177 nondisabled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3 elementary school random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177 nondisabled children were devided experimental group(90) and control group(87). While control group weren t given any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play 10 valued roles in classroom which were selected through pilot study, 2 roles per week for 5 weeks. The Acceptance Scale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were used to measure attitudes of two group and pre-test and post-test was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periods which is to give valued roles to disabled children. Three 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ttitudes between two group.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on both The Acceptance Scale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Especially, among four factors of The Acceptance Sca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in only two factor, Deviance Consequation. These differences mean that attitudes of experimental group didn t get to be negative, while attitudes of control group toward disabled children became more negativ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between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i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between boys and girls i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i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interactions of group × grade, group × sex, grade × sex, and group × grade × sex.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only giving valued roles in classroom to disabled children without any direct treatment can prevent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from being aggravated, even though it didn t improv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In addition, these results gives u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problems of our inclusion in Korea which have been focused on growh of quanity rather than improvement of qualtiy in inclusion. When we consider these results, we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inclusion as well as quanity of inclusion for the more effective inclusion. It will be able to be one of good methods for these effort to develop various valued roles in classroom which can give an opportunity to disabled children to participate in classroom as a member of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