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보연희-
dc.creator황보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15-
dc.description.abstract아동은 그가 속한 가족의 구성원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발달해 가며 가족 구성원은 또한 사회체계와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를 형성한다. 생태학적 혹은 가족구조(family system)적 관점에서 보았을때,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은 다차원적인(multidimentional) 사회적 상호작용의 망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망은 타인들 즉, 가족과 친척, 사회 및 주변 네트웍, 지역사회 상황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또한 이러한 범주안에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아동 양육시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의 상관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소재 장애인 종합복지관 및 조기교실에서 교육받고 있는 3-5세의 발달장애 유아와 어머니 20쌍, 일반유아와 어머니 20쌍으로 총 40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머니가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기위한 P/CIS(Parent/Caregiver Involve -ment Scale; Farran, Kassari, Comfort & Jay, 1986) 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지지 측정을 위한 질문지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체계 측정도구’를 일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도구는 사회적 지지를 구조적 지지와 기능적 지지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고안 되어있다. 상호작용 측정 도구인 P/CIS는 주양육자와 장애아동 혹은 일반아동이 상호작용(놀이) 하는 동안 주양육자의 상호작용 행동을 양(amount), 질(quality), 적합성(appropriateness) 및 전반적 인상의 측면에서 5점 척도로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총 12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해 어머니와 아동이 구조화된 상황하에서 놀이하는 모습을 20분씩, 2회기동안 비디오로 녹화한 후 관찰, 척도화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 SPSS/PC+로 처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상호작용 행동의 질(.50) 및 전반적인상(.53)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지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행동의 양을 제외한 질, 적합성, 전반적인상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지지구조의 동질성 변인과 지시/요구 행동의 질(.71)적 측면간에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기능과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변인 관련시 부정적진술/태도의 질적 측면이 정보적 지지(.68)와 높은 특히, 물질적 지지(.80)와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일반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지지구조 및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극히 일부항목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중 지지기능의 평가적지지와 부정적진술/태도의 질(-.92)적 측면간에 매우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장애유아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은 사회적 지지 특히, 구조적 측면의 지지와 상관관계가 있어 어머니가 그들의 지지제공자들로부터 구조적 측면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상호작용 행동의 질, 적합성, 전반적 인상이 좋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일반유아 어머니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간 상관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아 장애유아 어머니 집단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특수교사는 장애유아 어머니와 아동간 질적으로 좋고 만족스러운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어머니가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중 특히, 구조적 측면의 지지를 고려하여 어머니의 지지망을 강화, 보완 및 지지해 주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상호작용 행동과 높은 상관성을 보인 동질성 및 정보적, 물질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지지의 구조 및 기능적 요소를 특수교육적 서비스 제공시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중재전략 계획이 가능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interaction behaviors of the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elayed and non-handicapped infants. The subjets of this research were 40 infants and their mothers (20 developmentally delayed infants, 20 nonhandicapped infants). The age of subject were 3-5 years old. Mothers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corrected Park, Jee-Won Scale(1985) and P/CIS(Parent/Caregiver Involvement Scale) devised by Farran et. al.,(1986)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arent-infant interaction behavior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Pearson 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pport structure(size, satisfaction, distance, contact frequency, homogenity, density, intimacy) and overall interaction bvehavior s aspects of quality, appropriateness, general impression. But, functional aspects (informational, emotional, material, apprasial) of social support were correlated partly with interaction behaviors in mothers of developmentally delayed infants. 2. There were a low correlations betwee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and overall interaction behavior s with mothers of nonhandicapped inf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 구 문 제 = 4 C. 용 어 정 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사회적 지지 = 7 1. 사회적 지지의 정의 = 7 2.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기능 = 8 3. 사회적 지지의 효과 = 10 B.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 15 1. 상호작용의 중요성 = 15 2.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 3.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유형 = 21 C.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 = 26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9 A. 연구대상 = 29 B. 실험도구 및 연구절차 = 30 C. 분석방법 = 35 IV. 연구 결과 = 36 A. 장애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의 상관관계 = 36 B. 일반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의 상관관계 = 41 V. 논의 및 제언 = 47 A. 논 의 = 47 B. 제한점 = 51 C. 제 언 = 52 참고문헌 = 53 부 록 = 63 영문초록-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97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장애유아 및 일반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행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