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조선조 민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조선조 민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Authors
권지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세계는 정보화, 과학화로 인한 물질적 풍요를 기반으로 한 차원 더 높은 정신적 가치를 지니고자 하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앞으로의 가치는 전통적 동양적 사고와 동일선상에서 이해되어 물질문명과 동양적사고가 융합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미래학자들에 의해 예측되는 미래의 가치들은 한국의 전통사상, 생활의식, 조형정신등과 일맥상통하여 우리 전통의 적절한 변용은 우리 문화와 디자인의 세계화에 바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분석하여 그것에서 우리가 응용·발전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아 디자인에 반영시켜야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선대(先代)에 민중과 호흡을 같이 했던 민족 예술로서의 민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의상에 효과적으로 접목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 민족의 독창성과 창조성이 내재된 민화를 의상에 응용·발전시키는 것은 세계에 우리 민화와 우리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과거 역사속에서 겪은 문화 단절의 고통을 치유할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민화를 의상에 활용함에 있어서 실용성과 조형적 요소를 동시에 추구하여 전통미에 현대적 이미지가 반영된 새로운 전통의 창조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별로 특징적인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자 작품의 모티브인 민화에 대한 정의, 발생배경, 역사, 유형적·일반적·조형적특질들을 여러 연구가들의 연구자료 등을 발췌·정리하는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전통의 재창조와 세계화라는 측면에서 전통의 개념, 세계화 방향에 대해 서술하고 한국적 전통조형 요소들을 파악하며 현대 의상디자인에 있어서 한국적 요소가 반영된 사례를 분석·전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위에서 정리·분석한 것을 토대로 조선조 민화를 현대적으로 응용하여 제작한 작품을 전개하였는데 민화의 선, 형태, 색상, 구도 등의 조형적 특징을 다양한 소재와 기법으로 활용하였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서술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의 대표적 소재인 화조(모란, 꽃·새그림, 공작그림), 동물(호랑이, 용)을 모티브로 그 조형 요소들을 현대 의상에 활용함으로써 한국적 전통 이미지와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룬 독창적 디자인으로 상품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선조 민화의 독특한 선, 형태, 색상, 구도 등을 현대적 의상에 효과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해 실크 스크린 나염, 묘염, 자수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섬세한 묘사와 화려한 색채표현이 가능하고 비교적 일반적인 기법으로 민화의상을 실생활에 보다 손쉽게 제작·보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한 표현이었다. 셋째, 전통미를 부각시키고자 명주, 노방 등의 전통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의상을 제작한 결과 다른 어떤 소재와도 견줄 수 없는 독특한 한국적 미감을 체감할 수 있었다. 넷째, 민화에 등장하는 용, 호랑이 같은 소재를 의상에 도입·응용하는 과정에서 전통적 민화 소재가 현대적 조형미를 가미하였을 때 국제적 캐릭터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복식 조형에 민화와 같은 전통적 모티브를 도입함에 있어서 전통적 요소가 단순한 재현의 차원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속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즉, 입체 재단으로 인체의 곡선을 디테일없는 심플한 실루엣을 도입함으로써 민화가 갖는 화려하면서도 독특한 이미지가 절제된 라인과 결합하여 일상복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하이 패션(high fashion)을 전개할 수 있었다. 여섯째, 조선조 민화는 자유로운 발상과 독특한 조형요소로 인해 한국적인 이미지의 디자인 창작에 모티브가 될 많은 가능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조 민화의 예술적 가치를 복식조형에 접목시키는데 있어서 최상의 효과를 찾고자 다양한 소재와 기법을 활용하여 민호의 재현과 변용을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의상에 있어서 전통의 현대적 활용과 세계화에 대한 대안 마련은 물론, 전통의 단순한 재현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실생활 속으로 끌어 들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오늘날 민화와 같은 전통 요소의 현대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시적인 외형만을 의상에 도입하여 왔던 지금까지와는 경향을 달리하여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립하고 체계적 연구와 분석이 선행된 후에 전통의 세계화를 위한 새로운 창조가 이루어져야함을 인식하였다. ; Today s world has a new era of higher spiritual value based on material wealth with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 The future value will be understood by the way of traditional oriental thinking and the movement of marrying materialized civilation and oriental thinking is on the rise. Especially, the future value predicted by futurist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Korea s traditional thoughts, life rituals, and modeling spirit, and the proper reformation of our tradition can be the basis of globalizing our culture and design. Starting from that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a purpose to recognize the value of folk painting as folk painting as folk art which attuned itself with our ancestors and effectively apply it to clothing. I think applying it can more actively publicize our folk painting and design. Therefore, I tried to grope for new recreation of tradition reflecting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image, searching for practicality and modeling factors in utilizing folk painting for clothing. The followings are things characteristic found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first chapter suggest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develops the definition, background, history, and typical·general·modeling features of folk painting-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otif of this study.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concept of tradition, direction of globalization in the aspect of recreation of tradition tradition and globalization, grasps Korea traditional modeling factors, and analyzes some examples of modern clothing design reflecting Korea elements. The fourth chapter analyzes a work applying Chosun dynasty s folk painting in modern sense based on the arranged and analyzed above. The modeling features of folk painting-line, color, and composition-are utiliz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The fifth chapter describ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utilizing some representative motives of folk painting such as flowers and birds, and animals with their characteristic form, color and composition in clothing, I could try modernization and recreation of tradition. Second, by using traditional motives for clothing I recognized that recognized that traditional elements could be a good expression tool of creation in modern times. Third, introducing traditional modes to modern dress and its garments suggested possibilities of securing our nation s competitive power by elevating the value of our clothing in the world market, and having an opportunity of healing our pain of culture discontinuity suffered in our history. Fourth, as a result of applying folk painting to clothing, I found that it could be developed into modern character. Fifth, the work made by using traditional material such as silk and nobang made me feel extraordinary sense, and I recognized that kind of application should be activated in this tim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we should first study and analyze our tradition and have correct recognition on i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rend which focused on the visible form for the modern utiliz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and then make new creations for glaba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