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경임-
dc.creator정경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0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20세기 초엽 서구문물의 급속한 유입과 더불어 일제치하에 있던 한국을 배경으로 서정적, 심미적 성향을 작품에 도입시킨 이효석의 댄디이즘에 관한 연구이다. 그러므로 작품이나 작가의 문학성을 주로 다룬 종래의 문학사적 논문, 비평과는 달리 그가 지닌 미의식에 대한 근저를 관찰해 보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문학작품은 인간과 그의 삶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작품에는 복식표현에 대한 묘사가 뒤따르게 된다. 물론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작품의 의미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지만 복식표현은 인물의 형상화나 시대, 사회적 배경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한 요인이 된다. 즉 복식에 대한 묘사는 작품속에서 그 대상이 개인일 경우에는 개성적 특질을 표현해 주며 그 대상이 어느 특정지대의 집단일 경우에는 한 시대의 문화상을 나타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 풍미했던 dandyism과 한국인의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효석이 지닌 dandyism이 복식 표현에 있어 그 시기의 복식문화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그 당시에 한국에서 유행했던 남성복과 여성복의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작품속의 복식표현이 그 시기의 복식문화와 유사한 것임이 밝혀졌다. 또한 서양의 dandyism을 수용한 효석의 미의식은 문학작품 속에 복장미, 예술지상주의, 꽃의 완상, 美食習性, 여가선용 등의 생활양식을 통해 잘 표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생활조형으로서의 복장미는 바로 이국취향을 바탕으로 변화, 계승, 발전된 한국적 고유미에 그 중점을 둔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복식에 있어 색채와 그 형태는 착용자의 정신세계를 말해주는 것으로 이를 보는 다른 사람의 감정세계에까지 변화를 초래한다. 그리하여 인간심리의 문제가 바로 이 복식에서 잘 표현된다는 것을「봄의상」,「碧空無限」,「엉겅퀴의 章」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특정색이 지니고 있는 색심상은 상황이나 배경에 의하여 여러 각도에서 변형되어질 수 있음을「花粉」을 통하여 밝혀냈다. 결국「花粉」에서 나타난 푸른색의 의미는 싱싱한 자연의 생명력과 젊음을 상징한 것이 아니라 비극적 결말을 초래하게 되는 파국적 내면의 색심상이다. 그의 전 작품속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색심상은 붉은색, 푸른색, 검은색, 흰색에 의한 것이다. 이 중에서 복장과 그 배경에 사용된 검은색과 흰색의 결합은 dandyism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서로 다른 색상의 결합에서 오는 강한 대비효과는 또다른 복장미의 강조를 적용한 색채조화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는 20세기 초엽 새롭게 등장하여 색채 자체의 중요성을 강하게 부여한 야수주의(Fauvism)의 색채미학에서 나타난 아르테코(Art Deco)의 색채조화와 동조를 이루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댄디이즘을 바탕으로 나타난 효석의 미의식은 결국 한국의 미가 범세계적인 미로서 어떤 시대, 어떤 지역에서도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것임을 복장미를 통하여 강하게 표출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미의식은 결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변모할 수 있는 것으로 그의 작품속에서도 한국적 전통미, 즉 고유미와 이국취향적 미의식이 공존하여 새로운 형태의 미적 범주를 형성한 것이라 하겠다. ; This thesis studies the dandyism of Hyo-Suk Lee who introduced the lyric and aesthetic trend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which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was experiencing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into his work. Also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his aesthetic consciousness contrary to normal literary articles and critiques which usually treat the literary value of the work or the author. Generally people and their lives are the basic object of any literary work. Therefore, descriptions of costume become a necessity. Of course, although each literary work possesses a different degree of significance dependent upon the author’s intention, the description of costume becomes and indispensable factor in the formation of character or social background. In other words, a description of costume repres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the literary object is an individual, if the literary object is a certain groups in a certain region, it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cultural status of that period. This thesis tries to scrutinize dandyism prevailed in England and France in the 19th centur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And th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 dandyism and the costume of the years from 1900 to 1940, the types of men’s and women’s clothing in fashion during that time are studied. Consequently it was clarified that his descriptions of costume do have an analogy with the fashion during the era. And it clearly shows that aesthetic consciousness of Hyo-Suk Lee who had accepted the western dandyism was well expressed in his literary works through life-styles by descriptions of the beauty of costumes, art-for-art’s sake, appreciation of flower, epicurism and leisure activities. Specifically it ascertains that the beauty of costume as a formative art emphasizes the altered, inherited and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beauty influenced by exoticism. Especially the color and the style of the costume show us the mental state of the wearer. They also affect the emotional states of other people. The fact that the mentality of the people can be hint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costume was confirmed by his works “Spring costume(봄의상)”, “Byukgongmuhan (벽공무한)” and “Chapter of thistle(엉겅퀴의 章)”. It is also understood from his work “Pollen(화분)” that the color imagery retained by a special color can be altered by different circumstances and settings. Proving this point, imagery of blueish green in Pollen does not symbolize the vitality of refreshing nature or youth, on the contrary it is a catastrophic color imagery which brings about a tragic ending. The color imagery most frequently appearing in his works is red, blueish green, black and white. The black and the white used for describing costume and background are influenced by dandyism. And the vivid color contrast with different color combinations could be understood as color harmony that emphasizes the beauty of costume. It seems to be in line with color harmony marked by Art Deco which reflects the color aesthetics of Fauvism,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lor itself, that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conclusi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Hyo-Suk Lee, based upon dandyism tells us clearly that the beauty of Korean is a universal beauty appreciated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Such an aesthetic consciousness is not rigid but continuously transforms. His literary work clearly shows a new aesthetic category is formed by comb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beauty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exoticism which coexi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4 Ⅱ. 효석 작품시대의 미의식 ------------------------------------------- 6 A. 한국인의 미의식 -------------------------------------------------- 6 B. Dandysim --------------------------------------------------------- 11 Ⅲ. 효석 작품시대의 복식 --------------------------------------------- 17 A. 1900-1920년 ------------------------------------------------------ 18 1. 남성복 ---------------------------------------------------------- 18 2. 여성복 ---------------------------------------------------------- 20 B. 1921-1940년 ------------------------------------------------------ 23 1. 남성복 ---------------------------------------------------------- 23 2. 여성복 ---------------------------------------------------------- 25 Ⅳ. 효석 작품에 수용된 Dandyism -------------------------------------- 28 A. 예술의 생활화 ---------------------------------------------------- 35 B. 이국 취향 -------------------------------------------------------- 51 C. 색심상 ----------------------------------------------------------- 63 Ⅴ. 효석 작품속에 내재된 한국적 전통미와 이국취향적 미의식 ----------- 82 Ⅵ. 결론 ------------------------------------------------------------- 89 참고문헌 ------------------------------------------------------------- 92 부록 ----------------------------------------------------------------- 96 영문초록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939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효석의 Dandyism-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