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reat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98-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Chaucer에 대한 연구는 17세기 말엽에 John Dryden과 Alexander Pope를 필두로 하여 주로 The Canterbury Tales를 중심으로 행하여 졌다. 그러나 19세기 말 W. P. Ker를 비롯한 몇몇 중세 연구가들은 그 당시까지 간과되었던 Troilus and Criseyde에 관심을 가지고 사랑의 시인으로서 Chaucer의 모습을 부각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실제로 Chaucer는 그가 활동하던 14세기 말 영국에서 Troilus and Criseyde의 작가, 그리고 사랑의 시인으로서 그 명성이 높았었다. Troilus and Criseyde는 전통적인 Troilus와 Crisyede 의 사랑의 이야기가 그 당시 유행하던 사랑의 형태중의 하나인 궁정식 사랑(Courtly Love)의 관습에 따라 재구성된 작품으로, 이 작품에서 Chaucer는 단순히 궁정식 사랑의 관습만을 다룬 것이 아니라 궁정식 사랑을 근간으로 하여 중세의 다양한 사랑관을 자신의 시각으로 재조명하였다. 그는 Troilus와 Criseyde의 사랑을 통하여 궁정식 사랑의 이상(ideal)을 그리면서 동시에 이들의 사랑이 관능적 사랑의 합리화라는 궁정식 사랑이 부정적인 현실을 제시한다. Chaucer는 또 궁정식 사랑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사랑의 시인과 역사가라는 이중의 역할을 하는 화자를 통하여 보여준다 사랑의 시인은 궁정식 사랑의 이상에 따라 Troilus와 Criseyde의 사랑을 그려야 하지만, 역사가는 배반의 역사로서 연인들이 회피하여야 할 부정적 사랑으로 기록되는 이들의 사랑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역할은 화합될 수 없다. 따라서 상반된 역할을 해야 하는 화자에그는 필연적으로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Chaucer는 두 가지 역할사이에서 파생하는 갈등을 기독교 시인의 입장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Chaucer는 중세의 Boethius 철학과 궁정식 사랑을 신성한 사랑(Divine Love)으로 승화시킨 Dante의 사랑관을 모두 피력하였다. 비록 육체적인 사랑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지만 Troilus처럼 이상에 따른 궁정식 사랑은 신성한 사랑을 얻게 되는 교두보가 된다고 생각하였을 뿐 아니라 Criseyde의 배반 역시 Boethius의 운세(Fortune)와 연결시켜 이해하려고 한다. 특히 Chaucer는 여기에서 중세적인 비극과 희극의 개념을 도입한다. 운세(Fortune)의 변덕스러움으로 인하여 죽음을 당하는 Troilus,의 사랑의 과정은 비극이다. 그러나 보다 높은 견지에서 볼 때 이 운세 역시 신의 섭리를 깨닫게 하여 주는 계기가 되므로 결코 비극적인 것만은 아니다. 도리어 시련을 겪은 인간이 그 고통을 이기고 신의 섭리를 깨달을 수 있게 된다면 그 세계는 희극의 세계라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Criseyde의 배반을 겪으면서도 자신의 진실함을 지켜 제8구(the eighth sphere)에 올라가 그리스도의 사랑을 깨닫는 Troilus의 마지막 모습은 희극적 결말이라 할 수 있다. 천상에 올라가 신의 사랑을 깨닫는 Troilus의 마지막 모습을 고려하여 볼 때, Criseyde의 배반은 결코 비난받아야할 대상만은 아니다. 도리어 그녀의 사랑과 배반은 Boethius의 운세관과 연결하여 볼 때 그 이면에 신의 섭리가 내재하는 변덕스러운 운세를 상징하는 것이므로 이해되고 수용되어야만 하는 대상인 것이다. Chaucer는 여기에서 한층 더 나아가 Criseyde의 변심의 과정을 사회적으로 고립된 상황에서 결단력의 부족 이라는 결함을 지닌 한 인간이 어쩔 수 없이 배반하게 되는 과정으로 그림으로써 즉 그녀의 배반을 보편적인 인간의 한계와 연결시킴으로써 그녀를 용서하려 하는 것이다. Troilus and Criseyde에서 Chaucer는 궁정식 사랑의 이상을 따른 Troilus가 천상에 올라가 신의 사랑을 깨닫는 결말을 맺음으로써 궁정식 사랑을 신성한 사랑으로 승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또 궁정식 사랑의 부정적 실체인 Criseyde의 배반을 Boethius의 운세관과 연결하여 인간적인 측면에서 용서하고 이해하려는 포괄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인간적이고 포괄적인 태도가 Chaucer를 위대한 작가로 부각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Chaucer의 모습은 Troilus and Criseyde를 통해 잘 드러난다고 하겠다. ; The study of Chaucer centered on The Canterbury Tales led by John Dryden and Alexander Pope at the end of 17th Century had continued until the 19th Century. But at the end of 19th Century some Chaucer critics tried to reexamine Troilus and Criseyde appraising it as an equal achievement to The Canterbury Tales. In Chaucer s time, he was famous as a love poet, especially as the writer of Troilus and Criseyde. Troilus and Criseyde can be evaluated as a great medieval love poem, because it synthsizes Chaucer s interests in the subject of love expressed in earlier work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explore the greatness of Troilus and Criseyde focusing on Chaucer s view of love, and to inlluminate Chaucer as a love poet. In Troilus and Criseyde, Chaucer rewriters the traditional love story of Troilus and Criseyde on the basis of Courtly Love which is a prevailing convention of love at his time. To Courtly Love, Chaucer has the contradictory attitudes. He views Courtly Love as the ideal love to which every human aspires, and at the same time he regards it as a mere rationalization of human sensual love. In Troilus and Criseyde, these contrary views exist hand in hand and they become the major conflicting elements which are expressed through the narrator. The narrator in Troilus and Criseyde simultaneously assigns his role as a love poet and a historian. But these two roles are contradictory, because the love poet must idealize their love, but the historian must record it as the history of treachery. Behind these two roles, there is also Chaucer the Christian who tries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Divine Love. In this effort, Chaucer relies on the medieval philosophy such as Boethian philosophy and Dante s love vision which successfully harmonized Courtly Love with Divine Love. In this process, Chaucer also adapts the medieval concept of tragedy and comedy : under changeable Fortune, Troilus s love is a tragedy, but under God, changeable Fortune is also a representative of God s Providence and becomes a trial for man to know God s Providence. Troilus succeeds in this trial and he enter into the eight sphere. This ending makes Troilus and Criseyde a comedy. In addition to these views, Chaucer even tries to forgive Criseyde by making her fault as a common human shortcomings. This broad-minded understanding of love makes Chaucer a great love poet and Troilus and Criseyde a truly magnificient achievement of liter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ⅳ I. 서론 1 Ⅱ. Chaucer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사랑관 9 A. 궁정식 사랑(Courtly Love)의 형성과 발전 10 B. Chaucer의 초기 작품에 나타난 사랑 23 Ⅲ. Troilus and Criseyde에 나타난 Chaucer의 사랑관 39 A. 궁정식 사랑의 이중성 39 1. 궁정식 사랑의 이상(Ideal) 39 2. 현실적인 실체(Reality)로서의 궁정식 사랑 56 3. 화자(narrator)의 갈등 73 B. 신성한 사랑(Divine Love)의 추구 90 Ⅳ. 결론 124 참고문헌 129 영문초록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230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roilus and Criseyde에 나타난 Chaucer의 사랑관 연구 : 궁정식 사랑(courtly love)과 신성한 사랑(divinelove)-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