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1 Download: 0

신라 아미타신앙 연구

Title
신라 아미타신앙 연구
Authors
김영미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불교는 新羅에 전래되어 法興王대 공인된 이후, 中古期의 통치이념을 제공하며 발전하였다. 그 이후에도 교학적 연구의 진행과 함께 敎化僧들의 노력으로 급속히 퍼져 신라 사회의 정신적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본고에서는 통일전쟁기에 수용되어 中代 이후 성행하였단 阿彌妥信仰을 분석하여, 신라 사회에서 지니는 의미와 사상사에서의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하층관리 및 일반 民은 삼국시대 말기에 계속된 전쟁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한편으로는 전쟁과 죽음의 불안에 떨어야 했으므로 중고기 성행하던 花郞으로 상징되는 미륵 하생신앙과는 다른 새로운 신앙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盛唐文化와 함께 당시 중국에서 성행하기 시작한 아미타신앙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승려들은 모든 중생의 成佛 가능성과 극락 왕생 가능성을 인정한 아미타신앙의 평등성, 그리고 稱名念佛에 의해 쉽게 극락에 왕생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그 결과 아미타신앙이 널리 성행할 수 있었다. 특히 원효는 中古期에 성행하던 미륵신앙을 佛과 菩薩이 應現하지 않는 小乘이라고 비판하였는데, 이는 그의 중생관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원효는 如來藏思想을 수용하여 모든 중생이 佛性(成佛 가능성)을 소유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중생은 자신의 불성을 믿지 않고 미혹에 빠져 있으므로 佛의 자비에 의지할 것을 권유하였는데, 바로 現在佛로서 중생 구제를 서원한 아미타불에 귀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淨土와 穢土는 一心이라는 입장에 서 있으면서도, 3乘의 입장에서는 극락이 실재하는 세계로 설명하고 있다. 아미타신앙의 수용 초기에는 미륵신앙, 석가신앙 등과 구별되지 않고 신앙된 듯하다. 그러나 원효 등의 교화에서 아미타불과 극락의 수승함을 강조함에 따라 신문왕때 이후에는 다른 신앙들과 구별되어 죽은 사람을 위한 왕생이 기원되었다. 아미타신앙의 성행에 따라 신라에는 修行者의 극락왕생 설화 뿐 아니라 成佛 설화가 생겨났다. 신라에서 수행하던 사람이 성불했다는 설화는 아미타불이 五臺山에 상주한다고 생각한 佛國土思想과 함께 신라인의 현실긍정적인 사유방식을 말해준다. 來世的 성격의 아미타신아을 현실적 성격으로 변형시켰다는 점은 中代 아미타신앙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국왕으로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유포된 아미타신앙은 국민의 일체감을 조성해 주었을 것이며, 佛國土를 다스리는 국왕은 아미타불의 위광을 빌어 왕권강화의 정신적 기반으로 삼을 수 있었다. 그러나 경덕왕대 이후와 下代 신앙사례에서는 死後 世界로서의 극락만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하대에 이르면 왕위계승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다가 안정기를 이룩한 文聖王과 景文王代 無垢淨塔이 집중적으로 조성된다. 이는 사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한편, 국가에 전란이나 도적등이 없는 평안함을 기원하는 것으로 밀교적 성격도 지닌 것이다. 그리고 하대 성종사찰에 무구정탑이 만들어져 신앙의례가 행해졌을 뿐 아니라, 일부 禪師들의 경우 사후세계로서 극락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하대에는 아미타신앙이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탑의 명문 등에서는 오랜 겁에 걸친 善行으로 인해 왕위에 올랐다고 왕권을 합리화하고, 중생을 윤회하지 않는 淨域에 보내기 위해 탑을 세우는 것도 국왕의 임무라고 주장하고 있다. 즉 일반민들에게 널리 퍼져 있던 아미타신앙을 왕권 안정에 이용했던 것이다. 불교가 수용되기 전에는 죽은 후에도 현재의 지위가 계속 이어진다는 繼世的 세계관이 지배적이었으나, 불교가 수용되어 業說이 보급되면서부터는 현실에서의 실천 행위에 따라 죽은 사는 곳과 지위가 결정된다고 생각되었다. 그런데 아미타신앙의 성행한 이후에는 6道를 윤회하는 것이 고통이라고 생각되고, 윤회를 초월한 극락이 희구되었다. 따라서 사후 세계로서의 정토로 기원된 것은 보편적으로 극락이었으며, 경덕왕대 후반기 이훙는 불국사 사상과 유리된 채 죽은 후의 자신의 안락과 성불만을 기대하였다. 그 결과 미륵신앙 미륵신앙의 경우 상생신보다 하생신앙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현실사회를 개혁해보려는 사람들은 하대의 弓裔에게서 나타난듯이 스스로 彌勒佛이라 자처하며 중앙정부의 권위에 도적하게 되었다. 불교는 수용 이래 業說과 관련하여 功佛을 쌓아 福을 구하는 성격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아미타신앙의 성행 이후에는 정토에 왕생하기 위한 觀과 염불 등의 수행이 강조, 실천되었으며, 염불수행자가 成佛을 추구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아미타신앙은 불교의 대중화라는 의미 뿐 아니라, 불교의 궁극적 목표(成佛), 그것을 위한 수행방법, 그리고 菩薩道의 실현(중생 구제)등의 과제를 신라에 정착시키는데 일정 부분 기여하였다. 또 아미타신앙은 여래장사상과 관련하여 모든 계층의 사람에게 성불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佛性論은 華嚴宗과 禪宗의 사상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신라말과 고려초에 활동했던 禪師들의 비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불성론에 근거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 종파에서 아미타신앙을 수용할 수 있었다. ; Since Buddhism had been transferred into Silla and legalized in the era of King Bup-Heung, it continued to provide and develop the idea of government. As the study of Buddhism deepened, Buddhism penetrated into Silla society rapidly thanks to the efforts of the monk and settled into its position, finally took a very important role as the spiritual foundation of the society.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Amitabha faith accepted in the United Silla and prevailed just after the middle era(中代) of it and to pursue its social meaning and position as the idea.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wars at the end of the Three-Statesera, the lower officials and the subjected were able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On the other hand, they demanded another new faith different from Maitreya faith for fear of the war, the death and its misgivings. The more the people felt the fears, the faster they accepted naturally Amitabha faith prevailed in T’ang at that time. The Ch’an monks emphasized the equality of Amitabha faith recognizing the possibility for all the people to become Buddha, to go into the Paradise(極樂) easily and live there eternally just by praying for it. The result of that, Amitabha faith became to be very popular to the people so widely. Above all, according to Won-Hyo(元曉)’s preach, he criticized Maitreya faith prevailed in the end of the Three-Sates era and emphasized all the living things’ possibility of becoming Buddha in relation to Tathagata idea. In order to make it come true, Won-Hyo recommended to rely on Buddha’s benevolence, namely, to return Amitabha Buddha as the existent Buddha(現在佛) longing for saving the agonizing people. In spite of recognizing that this world(穢土) and the pure land(淨土) would be one, Won-Hyo explains the Paradise as if it were to be in reality. It seems that Amitabha faith has mixed with Maitreya faithm Sugga faith and so on at that beginning. But since the era of King Sin-Moon, Amitabha faith began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faiths and to shape up its own features, especially pray for the dead’s going to the Paradise. The popularity of Amitabha faith also produced the tale of capacity to become Buddha for every one whoever he only wished it so heartily. This tale can be explained that Amitabha faith meant the positive way of thinking to Silla people trying to affirm the existing life with the idea of Buddhism State(佛國土思想). The transformation of Amitabha faith’s afterlife into realistic character can be considered to be a feature of Amitabha faith in the middle era. With penetrated into from the king to the slaves, Amitabha faith was able to unite people with the selfidentity as a habitant. So, the king governing Buddhism State made it strengthen the spiritual unity for royal authority thanks to the prestige of Amitabha Buddha. This tendency, however, has been changed into emphasizing only the Paradise after in the era of King Kyung-Duck. In the period of the late Silla, as the struggle for king’s succession broke out, especially in the era of King Moon-Sung and Kyung-Moon, the very peacetimes, Mugujung pagoda were built in Ch’an school temples. After all, we can be sure that Amitabha faith was prevalent in the late Silla, too. Besid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building itself the pagodas was the king’s holy duty in order to rationalize the royal authority accumulation good-behaviors for so many periods and to send his subjects to the Paradise. Namely, we can propose that the governors used Amitabha faith spreaded into common people for stabiliz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Before Buddhism has been accepted in Silla, the view of afterlife recognizing that the present social status would continue after the death had governed the people’s spirituality. However, this attitude toward the life and death has been changed owing to Karma-theory(業說), which was supposed to determine one’s position only by his behavior’s good and evil in this world. Moreover, after the popularity of Amitabha faith, people came to regard going round the six-worlds(六道) as agony and longed for the Paradise transcending it. Therefore, without the will of accomplishing Buddhism State, people came to desire his only private comfort and to become Buddha himself after death. As the result of that, in Maitreya faith, descending faith(下生信仰) was superior to ascending faith(上生信仰). According to this tendency, people rying to reform the existent society’s abuses challenged to royal authority of central government, acknowledging themselves as Maitreya Buddha like Kung-Ye(弓裔) in the late Silla. From its origin Buddhism had placed emphasis on the benevolence to cumulate the virtues in relation to Karma-theory. But after the popularization of Amitabha faith, the focus of emphasis was moved to the desire for living in the Paradise after death, the self-discipline, for example, murmuring Buddha’s preaching, and the pursuit of becoming Buddha himself. After all, we can conclude that Amitabha faith has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for its final goal, the methods for self-discipline and the relief of the agonizing people. Besides, in relation to Tathagata idea Amitabha faith has enlarged the equal ways open to everone regardless of his social status if he only wished to be Buddha in his heart. This Bul-Sung theory(佛性論) can be said to be the spiritual basis for the Hua-en school and the Ch’an school and be also traced in the epitaphs of the monks working for the end of Silla and at the beginning of Koryo. So, we can conclude as follows. The reason why all sects has accepted Amitabha faith so widely was the fact it had been based on the Bul-Sung theory. But far more studies should be done for this subject with many concerns.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all the persons who, at different times and in various ways, have helped me in preparing this the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