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섭외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Title
섭외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Authors
이병화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n today s period of globalization, countries are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others through the rapid develpment of technology,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s international transactions and trade broaden, international law suits and legal problems are increasing Among these private international disputes international tort actionas are much more complocated. Furthermore, a unified law of torts on a global scale does not yet exist, and pirvate international law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is thesis tries to set up a theoretical framework by which international torts can be settled through private international law.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choice of law which is deemed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international private law. Besides it deals with international jurisdictio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ements as procedural law, which i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civil procedure. Adopting comparative law methodology, with reference to advanced countries legislation, theories, and major case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solve teh current issu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s, and to propose a desirable amendment for them. the detailed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which national court an international tort action is to be litigated, is investigated. Jurisdictional problem in private international disputes, including private international tort cases, is an important procedural issue which needs to be addressed before the proper law can be decided. Although methods to decide international jurisdiction are diverse, the general attitudes toward jurisdiction are summarized as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universalim. Especially recent developments in the U.S., to determine jurisdiction, have given rise to a new methodology in which jurisdiction is based upon equality and practical justice. This methodology which has been used to establish a new principle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is regarded of great imprtance. Thus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resence theory, minimum contacts theory, long arm statute, and forum non conveniens rule.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o substantive legislation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exists, the law of nature must be used.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interrrelationship between the applocation and theoretical base of territorial competence in a domestic civil suit and their use as a criterion of law of nature. The core of this thesis s devoted tot he choice of proper law for international torts. First, it ezamines the lex loci delicti, the lex fori, eclecticism, and personal law principle, then, in terms of comparative laq, itn compares and analyzes legislation, theories and leading cases of the U.K., the U.S., France, Germany(German Federal Republic and German Democratic Republic), Japan, Italy, and Eastern European counteries(Hungary, Poland, Czechoslovakia).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rteria on which the choice of law is made through examining international treaties including the Bustamante Code, Montebideo Code, Benelux Code and EEC Draft convention and the resolutions of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Law. Specifically,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recent flexible theories on the choice of law and major cases are highlighted. Also, it discusses the proper law doctrine of the U.K., and the U.S. principles of preference approach, governmental interest analysis approach, lex fori approach, better law impairment approach and Restatement of Law of Conflict of Laws. By examining the above choice of law theories, this essay also tries to present a practial and formal, mechnical and inflexible applicaion of the lex loci delicti. Concerning the Korean International Private Law,this thesis reviews theories and leading cases under Article 13, the choice of applicable law with regard to torts in private international law. It also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Article 13 to the renvoi clause(Atticle 4), the public order clause(Article 5) and the autonomy clause(Article 9). Although criticism and a counteraction movement against the traditional lex loci delicti continue to exist, the lex loci delicti still prevails. Therefore, the fundamental issue is to decide the place of tort, especially when the act of the defendant and the damage to the victim occurs in different places, the so called distant place tort, In different places, the so called distant place tort, In addition to a discussion of ghe two different views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i.e. alternative decision rule and coexistent decision rule, the problem of the choice of law on a tort occurring in a non national area is also investigated. As a special subject the problem of jurisdiction and the choice of law with regard to product liability is examined in terms of comparative law. The choice of law in maritime collisions i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open sea, traffic accidents, workmen s compensation, and unfair competition are also analyzed. Finally, this essey examines international treaties and foreign legal systems with regard to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a foreign country s international tort judgement. Specifically, it focuses 476 and 477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foreign court s judgement). In this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ociety, the procedural law aspect of international torts, including international jurisdiction,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foreign country s judgements is more important than substantive law in settling various international legal disputes. To summarize, in order to decide interntional tort cases equitabley, international civil procedural law has to be studied independently. At the same time the unreasonable provision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Private Law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The abstract and out-of-focus nature of such provisions often make it difficult to draw reasonable judgements for international tort cases. ; 오늘날 科學技術과 交通通信의 급속한 發達로 인해 各國은 政治, 經濟, 文化, 敎育 등 모든 分野에서 긴밀한 依存的 關係를 維持해야만 存立할 수 있는 國際化時代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國際交流 및 貿易去來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個人活動이 國際的으로 擴大되면서 필연적으로 涉外的 要素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法律問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國際的 訴訟事件이 급격히 增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涉外的 私法關係에 관한 紛爭은 各 法 分野에 걸쳐 광범위하게 發生하고 있지만 특히 그 가운데 涉外的 不法行爲事件을 둘러싼 損害賠償請求訴訟은 더욱 複雜하고 多樣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涉外的 諸 問題를 해결할 世界法的 統一法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現狀況 下에서는 그만큼 國際私法의 重要性이 강조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本 論文에서는 급증하는 涉外的 不法行爲事件을 보다 合理的이고 效率的으로 處理하기 위한 理論的 定立을 國際私法的 立場에서 시도했으며 특히 우리 涉外私法의 가장 重要한 目的이라고 할 수 있는 準據法決定의 問題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오늘날 이른바 國際民事訴訟法이라는 分野에서 흔히 다루어지고 있는 節次法的 問題로서 國際的 裁判管轄權問題 및 外國判決의 承認과 執行問題에 관해서도 고찰하였다. 그리고 基本的으로 各國의 立法例와 學說 및 주요한 判例 등을 比較法的으로 檢討하는 方法을 사용함으로써 우리 涉外私法規定의 問題點을 보다 확실히 지적함을 물론 앞으로의 바람직한 改正方向을 제시하고자 했다. 本 論文의 內容을 보다 具體的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涉外不法行爲訴訟은 어느 나라의 法院에 提起되어야 하는가 라는 國際法 裁判管轄權問題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이는 涉外不法行爲事件을 포함한 모든 涉外私法事件에 있어서 準據法을 決定하기에 앞서 논의되어야 할 重要한 節次法的 問題로서 各國마다 이를 規律하는 方法과 內容이 相異하나 一般的으로 취해지는 國際的 裁判管轄權에 관한 基本的 立法主義(國家主義, 國際主義, 普遍主義)를 槪括的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各國의 立場을 比較法的으로 考察하는 가운데 특히 最近의 美國에 잇어서 裁判管轄權분야의 發展은 公平과 實質的 正義라는 관점에서 適正한 法廷地의 指定을 꾀하고자 하는 새로운 方法論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새로운 國際的 裁判管轄權原則을 수립하는 데 크게 기여한 理論으로서 주목할 가치가 있는 바 本 論文에서는 이를 沿革的으로 나눠 現存의 理論(presence theory), 最小關聯理論(minimum contacts theory), 裁判管轄權擴大規程(long arm statute), 裁判管轄權制限規則(forum nonconveniens rule)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國際的 裁判管轄權에 관한 明文의 規定이 없는 現狀態 下에서 의거해야 할 條理의 決定基準으로서 韓國民事訴訟法上 土地管轄規定의 適用與否 및 理論的 根據 등 兩者의 關聯性을 檢討해 보았다(제Ⅱ장). 다음에는 本 論文의 核心的인 硏究 分野인 涉外不法行爲의 準據法決定問題에 관하여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었다. 우선 여기서는 一般不法行爲의 준거법결정에 관하여 종래부터 주장되어 오던 불법행위지법주의, 법정지법주의, 절충주의, 속인법주의로 나누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았고, 비교법적 고찰로서 영국과 미국을 비롯하여 프랑스, 독일, 일본, 캐나다, 스위스,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동유럽제국(헝가리, 폴란드, 체코스로바키아)의 입법, 학설 및 판례 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밖에도 부스타만테조약, 몬태비데오조약, 베네룩스조약, 유럽경제공통체(EEC)조약을 비롯한 국제조약 및 국제법학회결의 등을 통하여 제시된 섭외불법행위의 준거법결정기준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영국과 미국의 주요판례 및 학설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하게 전개되어 온 새롭고 유연한 법선택이론으로서 예컨대 영국의 고유법이론(proper law doctrine) 및 미국의 우선의 원칙론(principles of preference approach), 정부이익분석론(govermental interest analysis approach), 법정지법론(lex fori approach), ‘보다 나은 법’론(better law approach), 기능적 분석론(functional analysis approach), 비교손상론(comparative impairment approach) , 그리고 저촉법에 관한 리스테이트먼트규정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전통적인 불법행위지법주의의 형식적이고 기계적이며 경직화도니 적용에서 벗어나 보다 실질적이고 타당하며 유연한 준거법선택기준을 모색하고자 하는 오늘날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 섭외사법규정상 불법행위의 준거법조항(제13조)에 관한 학설 및 판례를 살펴보았으며 본조항과 반정조항(제4조), 공서조항(제5조) 및 당사자자치조항(제9조)과의 각관계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리고 오늘날 전통적인 불법행위지법주의에 대한 비판과 반동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법행위지법주의는 원칙적으로 그 타당성이 인정된다는 점에서 볼 때 근본적으로 제기되는 문제가 바로 불법행위지의 결정문제인 바, 이는 특히 불법행위의 구성요소인 가해자의 행동과 그 결과로서의 피해자의 손해가 각기 다른 법역에서 발생된 이른바 격지적 불법행위의 경우에 두드러진다. 따라서 불법행위지의 결정문제에 관한 기본적 입장으로서 가령 택일적 결정주의(행동지주의, 결과발생지주의)와 병존적 결정주의(선택주의, 배분주의)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이와 함께 법률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비국가영역에 있어서 불법행위의 준거법결정문제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일반불법행위의 준거법결정문제 이외에도 특수불법행위로서 제조물책임에 관한 재판관할권문제 및 준거법결정문제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해 보았으며, 또한 영해상의 선박충돌 및 공해상의 선박충돌에 관한 준거법결정문제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통사고, 노동재해보상, 및 부정경쟁의 준거법결정문제에 관해서도 논급하였다(제Ⅲ章). 끝으로 섭외불법행위사건에 대한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의 문제에 관하여 외국법체 및 국제조약을 대략 비교검토하였으며 특히 한국민사소송법상 외국판결의 승인에 관한 조항(제203조)과 그 집행에 관한 조항(제476조, 제477조)을 중심으로 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제Ⅳ장). 요컨대 급변하는 국제사회에 있어서 급증하는 섭외불법행위사건을 포함한 복잡다양한 섭외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 국제사법이 준거법선택에 의해 규율하던 섭외분쟁사건의 실체법적인 면보다는 오히려 국제적 재판관할권이나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 등 절차법적인 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섭외적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절차법으로서의 국제민사소송법의 독자적인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본다. 더구나 현행섭외사법의 규정은 그 내용이 너무 추상적이고 포괄적이므로 실제로 어떤 구체적인 사안에 있어서는 합리적인 판단과 적용이 매우 곤난한 경우가 생기므로 섭외불법행위사건을 비롯한 여러가지 섭외적 법률관계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행섭외사법의 불합리한 규정들이 조속히 개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