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금-
dc.creator정영금-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가정노동의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하고 사회제도적·법률적 측면에서 주부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업주부가 수행하고 있는 가정 노동의 가치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평가 목적에 맞는 평가방법의 타당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정노동가치를 전문가 대체 비용법, 총합적 대체비용법, 기회비용법, 요구임금방법, 주관적 평가방법 등 5가지로 구분하여 산정하고 그 각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가정환경, 가정노동 만족도, 가정노동 선호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조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면접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수는 462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 분석, 분산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회귀 분석 등을 통해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주부의 노동가치를 1988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요구 임금방법에 의한 가치가 가장 높았으며 (월평균 729,210원), 그 다음으로는 전문가 대체 비용법(538,438원), 기회비용법(529,941원), 주관적 평가방법(502,391원), 총합적 대체비용법(420, 469원)에 의한 가치 평가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노동가치는 크게 두 가지 경향을 보였다. 전문가 대체비용법과 총합적 대체비용법에 의한 가정노동가치는 가족수, 자녀수, 주부·남편·막내자녀의 연령, 가정생활주기, 결혼지속년수, 학령전 자녀 유무, 조력자 유무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외부 활동에 대한 욕구와 주부역할 인지, 가정 노동 선호도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가치는 가정 노동시간을 근거로 산정되었으므로 가정노동에의 요구가 적은 시기에는 가치가 적어지기 때문이 변수들과 부적인 상관관계에 있다. 반면에 기회비용법, 요구임금방법, 주관적 평가방법에 의한 가정노동가치는 총소득, 가처분 소득, 동산, 부동산, 학력, 직업, 연령, 고용인 유무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 가치는 가정자원에 의해 결정되므로 소득 및 자산이 많을수록 가정노동가치가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가정 노동가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자의 두 방법에 의한 가치에 대해서는 가족형태, 막내자녀의 연령, 외부활동에 대한 욕구, 주부역할 인지, 가정 노동 선호도의 영향력이 컸으며, 후자의 세가지 방법에 의한 가치에 대해서는 주부의 학력 및 소득의 영향력이 컸다. 넷째, 가정환경별로 주부의 가정노동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가족형태, 주부의 학력, 자녀수, 막내자녀의 연령, 소득, 자산 등의 변수를 사용한 희귀식과 희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것은 평가방법 별로 추정될 수 있으므로 각 주부가 현재 수행하는 가정 노동의 가치와 시장에서의 잠재소득을 비교할 수 있으며 주관적인 가치와의 비교 가능하다. 또한 가정유형별 가정 노동가치를 통하여 각 가정의 노동가치를 비교할 수 있으며, 주부가 일생동안 가정에 기여하는 가정 노동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대, 주부가 수행한 가정노동에 대해 정당한 보상을 해주고 가정 및 사회에 대한 기여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정 노동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면, 전문가 대체비용법을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정노동과 시장 노동간의 선택을 하기 위해서라면, 전문가 대체 비용법 및 총합적 대체 비용법에 의해 평가된 가정노동가치와 기회 비용법 및 요구임금방법에 의한 가치를 비교하여야 할 것이다, 동시에 주부가 평가한 주과적 가치를 비교하여 봄으로서 전업주부의 가정노동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value of full-time homemaker and variables that affect to it and to cla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value of household work was measured by five methods-specialised substitute, overall substitute, opportunity cost, reservation wage, subjective evaluation. 462 full time homemakers were sampled in Seoul for this study. The data weree amalysed using the statistical such as factor analysi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monetary values of household work of full time homemaker in 1988 were highly estimated in order of value by reservation wage method(792.210won), specialised substitute method (538,438 won), opportunity cost method(529,941won), subjective evaluation ,method(502,391won) and overall substitute method. 2. The value of household work by 5 evaluation methods suggested two trends. Namely, values of household of the form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family type, family size, age of the last child etc. And ther were affected by satisfaction to household work such as desire to market labour and cognition to role of homemaker and preference to household work. On the other hand, values of household work by three methods of the lat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come, personal propertym real estate and education level. 3.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value of household work in dependently had influenced in the order of age of last child, family typ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the values by two methods of the former. And variables uch as education level and income had great influencing power to value of the latter. 4. To estimare the value of household work, regression equation and instandardized coeffcient were suggested through the variables such as family type, education level of the homemaker, nimber of children, age of last child, income and asser. It helps to measure the value of household work of each homemaker. At the same time, the value of household work was evaluated according to type of household. It helps to estimate how much the homemakers contribute to their home economically for their lifetime. So, specialised substitute method and overall substitute method which the value is estimated in terms of the household work tim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proper compensation to the homemakes and clarifying their contribution to their home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in the situation of decision making between the household work and the market work, homemakers can compare the values estimated bu specialised substitute method, overall substitute method and opportunity cost method. In addition, the value of household work of full time homemakers have to recognized by camparing the reservation wage and subjective value of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⑦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정노동의 생산성과 가치 ----------------------------------------- 5 1. 가정노동의 생산성 ----------------------------------------------- 5 2. 가정노동의 가치 ------------------------------------------------- 9 B. 가정노동가치의 평가방법 ------------------------------------------ 18 1. 상실비용적 측면에서의 평가 -------------------------------------- 19 2. 상실임금적 측면에서의 평가 -------------------------------------- 25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32 A. 연구문제의 설정 -------------------------------------------------- 32 B. 조사도구와 척도의 구성 ------------------------------------------- 32 C.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 36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37 E. 평가방법별 가정노동가치의 산정기준 ------------------------------- 39 Ⅳ. 결과 및 해석 ----------------------------------------------------- 42 A. 기초자료분석 ----------------------------------------------------- 4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2 2. 전업주부의 가정노동시간 ----------------------------------------- 45 3. 가정환경적 변수에 따른 가정노동시간 ----------------------------- 47 B. 실증분석 --------------------------------------------------------- 51 1. 가정노동의 가치 ------------------------------------------------- 51 2. 관련변수에 따른 가정노동의 가치 --------------------------------- 55 3. 관련변수들의 영향력 --------------------------------------------- 78 4. 가정환경 및 유형별 가정노동가치 --------------------------------- 90 Ⅴ. 요약 및 결론 -----------------------------------------------------101 참고문헌 -------------------------------------------------------------106 부록 -----------------------------------------------------------------117 영문초록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074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노동의 가치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