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도시 근로자가계의 가사노동사회화를 위한 지출비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근로자가계의 가사노동사회화를 위한 지출비분석에 관한 연구
Authors
정지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SHW) of labor family in the urban cities and examine closely the situation of household expenditure in the diversified side,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area of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And then it is to analyze the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and forcast the developmental course of the SHW. For this purpose, the data is used the「Annual report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s Correlation, OLS (Odinary Least Squares),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and Time-series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expenditure for the SHW of labor household in the urban cities is participated 12% of the total expenditure, 35% of consumption expenditure. In the type of the SHW, it most expended is on service, and the next is good and machinary. It means that the family want more the qualitiv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such as family and child care, and medical service than the quantativ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such as good and machine. 2. The expenditure in the area of the SHW is most spent the socialization of food and the next is clothing, housing, family care and management. The reason is that food is bought freqently continuously because it is apt to turn sour, but family care and management such as child care, family nursing, and purchasing is invested in much cost and time in the special period and the spending period is short on the other hand 3.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SHW is the income. The male-head s income has most influent factor to the every expenditures, including the total expenditure and every expenditures in the type and area of the SHW. And the other significant variables are house ownership and the male-head s job. These variables are all related to make up the basic assets and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have an significant effect to the expenditure of the SHW. Finally, the expenditure of the SHW is mainly decided by the economic situation such as family assets and income. 4. The trend of time-series about the expenditure in the type of the SHW is effected very strongly by rapid economic growth in 1988 and depration in the end of 1997. Specially, the mechanization and service-buying have influenced more sensitively. In spite of the mechanization of household work has gone a minus growth going after high increase by the periodic repetition, service-buying have done the most stable growth by the continuous increasement. The goods-buying forecast to go through economic depression most sensitively b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 the end of 1997 and to keep minus growth continously from 1998 to 2000. On the other hand, the mechanization is forecasted that the growth rate will recover positive increase immediately in 1998 after it has gone minus growth in 1997 because of the periodic repetation in the past. And the service-buying has gone most highst growth among the type of the SHW after 1998, the only one which have not effected by economic depression in 1997. The limitation in this research is that it is not usable to some demographic variables and income which is present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past researches, beacause of security about respondent s privacy. So,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s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in the all family, because non-labor family and female-head family is ex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sample is limited as male-head and couple family. And the study to compare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 of family is needed continuously. Specially, each family and enterprise is tried to keep the appropriative level of the SHW that is adapted to the economic change. ; 본 연구는 도시 근로자 가계에서 가사노동 사회화의 객관적인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지출비를 통하여 가사노동 사회화의 종류와 영역별 실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가사노동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인 변수들을 파악하며 이들 가사노동 사회화의 방향을 예측하여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통계청의 도시가계조사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이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OLS(Odinary Least Squares), 시계열분석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근로자 가계의 가사노동 사회화를 위한 지출비는 소비지출의 35%정도, 총지출의 12%를 차지하였다. 가사노동 사회화 종류별 지출비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서비스 사회화를 위한 지출비였고 그 다음이 상품화와 기계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가정에서 가사노동 서비스와 같은 질적인 측면에서의 사회화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출비가 기계화나 상품화와 같은 가사노동의 양적 측면에서의 사회화에 대한 지출비 보다 많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나타내 주고 있다. 또한 가사노동 사회화 영역별 지출비에 있어서는 식생 활사회화를 위한 지출비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의생활과 주생활, 가족관리 및 경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생활 사회화의 경우에는 구매의 특성상 단기적으로 자주 구매되어야 하는 품목들이 많기 때문에 지출비가 가장 많았던 반면 가족관리 및 경영의 경우에는 자녀양육과 가족원에 대한 간호 등과 같이 일정 기간동안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것에 비해 지출기간이 단기적이기 때문에 가사노동 사회화 전체에서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가사노동 사회화 지출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가정의 가사노동 사회화를 위한 모든 지출비, 기계화와 상품화, 서비스화의 사회화 종류별 지출비뿐만 아니라 의·식·주생활과 가족관리 및 경영의 전 가사노동 사회화 영역별 지출비에서도 가구주의 소득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수로 일관되게 나타남으로써 가사노동 사회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가구주의 소득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주의 소득을 제외하면 주택소유유형, 가구주의 직업과 같은 변수들이 가사노동 사회화를 위한 총지출비와 다양한 지출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가정의 기본적인 자산이나 경제적 여건을 형성하는데 관련된 변수들이 가사노동의 사회화를 위한 지출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가정의 가사노동의 사회화를 위한 지출비의 수준은 기본적으로 가정의 자산이나 소득에 의해 1차적으로 결정되어짐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사노동 사회화 종류별 지출비에 있어서의 시계열적인 경향은 전반적으로 88년의 급진적인 경기성장과 97년의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기계화와 서비스화가 경기성장의 영향을 보다 민감하게 받고 있으며, 기계화의 경우는 높은 증가율에 따른 마이너스 성장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반면 서비스화는 마아너스 성장이 없이 지속적인 증가율이 유지됨으로써 가장 안정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상품화 지출비는 97년의 IMF에 따른 경기불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부분으로 예측되었는데, 97년 이후로 증가율이 계속 하락됨으로써 2000년까지 계속 마이너스 성장이 예측되었다. 반면 기계화 지출비는 이전 시기의 증가와 감소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인하여 97년의 마이너스 성장이후도 98년부터 정적인 증가율로 회복되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서비스화 지출비는 가사노동 종류별 지출비중에서 증가율이 98년 이후에 가장 높았으며, 97년 이후의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유일한 부분이었다. 넷째, 가사노동 사회화 영역별 지출비는 모두 1988년에 30%이상의 급진적인 중가와 반등에 의한 불안정적인 시기를 지나 1996년에 안정적인 증가를 유지하게 되었으나, 1997년부터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다시 불안정적인 마이너스 성장시기에 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지출비의 비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어 가족관리 및 경영의 사회화는 1997년의 경기침체 시기에도 가장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으며, 1988년의 영향력도 가장 단기간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식생활과 의생활 사회화에 있어서는 1998년의 고도 성장률이 1991년까지 오랜기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생활 사회화의 경우에는 88년보다는 89년에 증가세가 시차를 두고 나타남으로써 지출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각 가정에서의 가사노동 사회화의 수준이 가계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인구통계학적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거시적인 경기변동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받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과 같은 경제위기의 시기에는 각 가정의 차원에서는 개별가정의 소득에 적합한 가사노동 사회화수준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와같은 과정에서 가정에서의 가정생산과 가사노동 부담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가족원의 분담과 협동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가사노동 사회화를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측면에서는 정확한 소비자 수요의 파악과 생산성 제고 및 다양한 가격정책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반응하는 판매방식의 도입으로 불황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 사회화에 대한 지출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조사대상 가계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부 소득 자료에 있어서의 개방성의 문제로 비근로자와 여성가장가구주를 제외한 남성가장 부부가정으로 한정되어짐으로써 연구의 결과가 도시가계의 가사노동 사회화에 대한 지출비의 일반적인 경향으로 해석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가계의 측면에서 가사노동 사회화수준을 비교하기 위한 후속연구와 경기변동과 가계의 특성에 적합한 가사노동 사회화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개별가정과 기업 및 사회의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