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예원-
dc.creator서예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52-
dc.description.abstract무용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고, 교육적·사회적으로 그 가치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다원화되고 있는 21세기 사회에서 무용교육은 소수의 무용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무용교육으로의 방향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엘리트주의적 교육을 지양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체육과 예술 전반의 경향 뿐 아니라 사회교육, 평생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교육의 전반적인 경향과 그 맥을 같이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용의 가치를 이해시키는 교양무용의 교육적, 사회적 필요성을 전제로 하여, 그 기본방향, 목표, 내용 및 방법을 규명하고 제시하는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이상적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이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교양교육의 이념과 목표를 제시하고, 예술교육으로서의 교양무용의 교육적·사회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 교양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학문으로서의 무용의 다양한 연구 영역을 제시함으로써 교양무용의 연구 영역을 제시하였고, 무용 교육과정 모형 중 Smith-Autard의 분류에 의한 교육적 모형, 전문적 모형, 절충적 모형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 절충적 모형을 중심으로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이론적, 철학적 기초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교양무용 교육과정 요구 및 실태조사를 통해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방법, 지도자, 시설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실제적 요구를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문헌연구와 관련자료 및 조사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무용 교육과정이 어떠한 원리, 기준에 의해 구성될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로서의 대학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이상적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은 첫째, 교양교육의 가치와 이념을 실현하는 교육과정, 둘째,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무용교육의 이념을 실현하는 교육과정, 셋째, 문헌 연구와 교수, 학생의 실제적 요구를 수렴하는 교육과정, 넷째, 교육적 모형과 전문적 모형을 상호 보완한 절충적 모형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무용교육과정 이다. 2. 교양무용 교육과정 모형의 성격은 예술적, 미적, 문화적 교육을 지향하는 데 있다. 즉 교양무용은 움직임을 매개로 창조적 표현에 중점을 두는 예술교육이며, 무용에서의 미적 특징- 감각적 특징, 표현적 특징, 형식적 특징-들을 학생 스스로 자각하고 개발하게끔 미적 감정을 훈련시키는 미적 교육이 된다. 또한 무용과 연관된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문화적 교육이 된다. 3.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목표는 예술적, 미적, 문화적 교육 측면에서의 무용교육의 목표를 인간성 개발과 학문적 탐구를 그 이념으로 하는 교양교육의 목표에 적용하여 자아개발 , 타인이해 , 사회인식 , 학문적 탐구 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그에 따른 교양무용의 목표는 첫째, 창조적 사고와 움직임의 발달, 둘째, 무용과 연관된 타 문화의 가치들의 이해, 셋째, 문화의 전승과 변화의 과정을 이해, 넷째, 예술 형식을 감상 할 수 있는 능력의 개발 등이다. 4.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내용기준은 제작(Composition), 공연(Performance), 감상(Appreciation), 연구(Inquiry)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작은 무용창작의 결과로 나타나며, 공연은 무용하기의 결과로 나타난다. 감상은 무용창작, 무용하기, 무용보기의 총체적 결과로서 관찰, 반응, 묘사, 분석, 해석 및 평가와 관련이 있으며, 연구는 무용연구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내용기준을 탐구하는 방법은 무용창작 , 무용하기 , 무용보기 , 무용연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무용창작은 무용을 만드는 과정 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무용의 창조적 활동 및 창조적 학습과정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무용하기는 신체적 기술을 익힘으로써 시작되며, 특정 테크닉이나 공간적으로 유형화된 움직임 모두를 지칭하는 것이다. 무용보기는 단순히 보는 것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분석하고, 해석하고, 비판하는 모든 과정이 포함된다. 무용연구는 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모든 학문적 접근, 즉 역사·비평·미학· 민속학·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무용을 연구한다. 이와 관련해서 교양무용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목은 무용창작의 세계 , 한국의 민속춤 , 재즈댄스 등과 같은 실기 과목들과 무용의 이해 , 무용감상 및 해석 , 무용과 세계문화 등의 이론 과목들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교과목들은 독자적인 목표와 그에 따른 내용들로 구성된다. 5. 교양무용 교육과정의 방법적 원리는 과정과 결과의 동등한 강조, 창조성·상상력·개성과 극장무용 지식의 강조, 감정과 훈련의 강조, 움직임 원리와 테크닉 강조, 문제해결과 지시적 교수의 강조, 자원을 기초로 하는 교수방법 등을 그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 ; Dance has progressed with human history. As modern society more diversified, the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of dance has been growing substantially enough to require a new paradigm of dance education attracting broader participation of the public than a limited number of professionals. This trend of dance keeps pace with the general trend of art and education facing the increasing interests and needs of the times. Focusing on the liberal dance education among various levels of danc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first to clarify the direction,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liberal dance education, and second, more importantly, to develop a new ideal curriculum. Chapter Ⅱ traces the ideas and the purposes of the liberal edu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liberal dance education.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dance education at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are also provided. Chapter Ⅲ reviews various topics of dance as a discipline. Specifically, the midway model of dance of arts by Smith-Autard (1994) is extensively investigated to obtain a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is of the new curriculum of the liberal dance education. In Chapter Ⅳ,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what faculties and students actually need in the curriculum of the liberal dance education is analyzed in depth. On the ground of the literatures and the survey investigated so far, Chapter Ⅴ discusses what principles and features should be added to the new curriculum. In Chapter Ⅵ, a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is an ideal model of the curriculum of the liberal dance education, whose main feat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urriculum should first materialize the idea and the value of the liberal education; second combine theory and practice; third meet the needs of faculties and students; and finally stan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midway model which synthesizes the educational model and the professional model. 2. The curriculum model pursues an artistic, aesthetic, and cultural education. The curriculum is artistic in the sense that it emphasizes creative expressions using movements as its media; aesthetic in the sense that it awakens students aesthetic inner feelings by training them to reali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nce, i.e., sensibility, expressiveness, and formality; cultural in the sense that it helps student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cultures and societies. 3. Self-enlightenment, understanding others, social perception, and scientific research are the goals of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the liberal dance education aims creative thinking and developmental movement; understanding various cultural values; understanding transmission and change of cultures; and develop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dance works. 4. The curriculum consists of Composition,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Inquiry, which are the outcomes of creating dance, performing dance, viewing dance (closely relating to observation, reflection,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appraisal) and dance inquiry, respectively. Creating dance implies not only mere dance making but also creative activities and creative learning processes. Performing dance refers body skills including specific techniques and formalized movements. Viewing dance comprehends watching dance works as well as interpreting and criticizing them. Dance inquiry covers all the related subjects to understand more of dance such as history, criticism, aesthetics, folklore, anthropology, etc. The practice courses (e.g., Creative dance , Korean folk dance , Jazz dance ) and the theory courses (e.g., Understanding dance ,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nce , Dance and cultures ) should be provided as core courses. Each course has an individual goal and proper contents to accomplish the goal. 5.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the curriculum contains emphases on both process and outcome; on creativity, imagination and personality; on knowledge of theatre dance; on sensibility and practice; on principle of movement and technique; on instruction and solution to problems; on teaching methods based on resour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과정 ----------------------------------------------------- 5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교양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 --------------------------------------- 7 A. 교양교육의 이념과 목표 ------------------------------------------ 7 1. 이 념 ---------------------------------------------------------- 7 2. 목 표 ---------------------------------------------------------- 10 B. 예술교육으로서의 교양무용 --------------------------------------- 13 1. 예술교육의 의의 ------------------------------------------------ 13 2. 교양무용의 의의 ------------------------------------------------ 18 C. 교양무용의 현황과 문제점 ---------------------------------------- 20 1. 현 황 ---------------------------------------------------------- 20 2. 문제점 --------------------------------------------------------- 25 Ⅲ. 무용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근거 -------------------------------- 27 A. 무용의 학문적 연구 영역 ----------------------------------------- 27 1. 학문으로서의 무용 ---------------------------------------------- 27 2. 학문으로서의 무용의 연구 영역 ---------------------------------- 29 3. 교양무용의 연구 영역 ------------------------------------------- 34 B. 무용교육과정 모형 ----------------------------------------------- 36 1. 교육적 모형 ---------------------------------------------------- 37 2. 전문적 모형 ---------------------------------------------------- 40 3. 절충적 모형 ---------------------------------------------------- 43 Ⅳ. 교양무용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조사 -------------------------- 49 A. 교양무용 교육과정 요구조사 -------------------------------------- 52 B. 교양무용 교육과정 실태조사 -------------------------------------- 61 Ⅴ. 교양무용 교육과정 구성 ------------------------------------------ 71 A. 기본방향 -------------------------------------------------------- 71 B. 성 격 ----------------------------------------------------------- 74 C. 목 표 ----------------------------------------------------------- 78 D. 내 용 ----------------------------------------------------------- 82 E. 방 법 ----------------------------------------------------------- 91 Ⅵ. 교양무용 교육과정 모형 개발 ------------------------------------- 94 A. 기본방향 -------------------------------------------------------- 94 B. 성 격 ----------------------------------------------------------- 94 C. 목 표 ----------------------------------------------------------- 95 D. 내 용 ----------------------------------------------------------- 96 E. 방 법 -----------------------------------------------------------105 Ⅶ. 결론 및 제언 ----------------------------------------------------110 A. 결 론 -----------------------------------------------------------110 B. 제 언 -----------------------------------------------------------112 참고문헌 ------------------------------------------------------------115 부록 Ⅰ. 교양무용 교육과정 요구조사 (교사용) ------------------------124 Ⅱ. 교양무용 교육과정 요구 및 실태조사 (학생용) ----------------131 영문초록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335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학 교양무용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