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젠더(Gender)공간 구조로 본 서사체 연구 : 193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Title
젠더(Gender)공간 구조로 본 서사체 연구 : 193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Authors
강금숙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form of narrative analysis that can give an added understanding of the novels through the concept of the “gender-space”. What distinguishes novel from other genres lies in its narrativity, and narration almost always makes use of the space in which actions of the novel takes place. Analysis of the space is an indispensable part of any analysis of the novelistic texts. This dissertation proposes to use the concept of space invested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in gender, which will therefore be called “gender-space”. The difference in gender is regarded as constituting the basic system of our dualistic thinking, and it functions as the category that determines the socialization of human being. Therefore, to analyze literary texts in relation to the gender-space(or space invested with differential values that accord to gender, or space engendered by social norms) will be a new way of reading texts that pays attention to the whole communicative dimens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der of the text and the society that produced it. I have chosen for my examples of analysis novels of the 1930’s. the 1930’s were a decade in which the Korean society underwent a drastic change and the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began to disintegrate. Sex roles were displaced, and social problems of poverty, crimes, and prostitution become serious matters of the times. In our analysis of modern Korean novels, it is very appropriate to choose for our discussion the 1930’s when the “gender-space” undergoes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The dicadi was a turning point from which negative aspects of urban life come to the fore. In order to define the concept of “gender-space”, ChapterⅡ surveys important theoretical discourses that have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various ways ? especially sociological, feminist, and semiotic theories. For sociological ground-work, I.Illich’s theory about gender is used in comprising various discussions on Korean social structure. Among feminist criticisms, the androgyne theory of V. Woolf and C. heilbrun was most useful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gender-space”, and in textual analysis I adopted Lotman’s cultural semiotics. ChapterⅢ is decoted to analyzing the “gender-space” to be found in Yi Tae-jun’s Adamui Huye (Descendents of Adam). Through a micro-analysis on a syntactic level, ti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units of the text are kenneled around the bipolar opposition of “here” and “there”, by which the change of the identity of the actor is made. On a semantic level, when we apply such bipolar apposition to Greimasian model of the analysis of the actor, the apposition corresponds to that of the “economic man” and the “artist”, which respectively represent man of the industrial society in whom traditional “gender-space” is destroyed and the communal man in whom it is still preserved. Going further than the analysis of sign- system, and interpretation of the deeper meaning of the novel is attempted, and here Jung’s theory of the archetypes is used. In sum, the “gender-space” of the novel may be defined as a phallocentric space in which the patriarchal discourse of prohibition is dominant, while the action of the novel is to escape from such a space to return to the original maternal space.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analysis, ChapterⅣ examines representative authors of 1930’s: Kang Kyong-ae, Park Tae-won, Yu Jin-o, Yi Sang, Yi Tar-jun, Chae Man-sik. In the course of our analysis we find three types of “gender-space”: oppositional space in which genders are sharply distinguished, transformative space in which genders are displaced, and integrated space in which both genders are affirmed. In the novels of the 1930’s the oppositional space is dominant, while the other two are also to be found. In ChapterⅤ, in tried to observe how the “gender-space” is transformed and refracted in the novels of subsequent periods. Negative aspects of urban life often found in the novels of the 1930’s are repeated in the novels of the commercialized 1970’s, although in the latter case we find as much of transformative space as of oppositional space. In the novels by woman writers of the 1980’s are narrated the actions of female characters who are awakened of their identity and try to escape the traditional maternal space. These examples show that home might have already lost its function as a maternal space, or that in contemporary novels the “gender-space” has lost its meaning and vanished altogether. ; 본 논문은 ‘젠더공간’ 구조를 통하여 서사체의 텍스트성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설과 같은 서사체가 다른 문학 장르와 구별되는 특징은 바로 서사성에 있으며, 이 서사성은 사건과 행위를 발생시키는 공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설 텍스트를 연구함에 있어 공간연구는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된다. 그런데 본고의 이론적 틀이 되는 ‘젠더’란 인간의 지적 인식의 근원이 되는 이분법적 사고의 기본 체계일 뿐 아니라 인간의 사회화를 결정하는 규범적인 기준이다. 따라서 이 같은 사회적 규범에 의해 생성된 공간체계를 통해 문학 텍스트의 의미작용을 검토하는 작업은 텍스트와 그 텍스트를 산출한 사회와 독자 사이의 총체적인 맥락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텍스트 독해의 한 방법이 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연구를 위한 유효한 모델로 1930년대라는 좌표를 설정하였다. 현대 소설사에서 1930년대는 변동하는 시대상황으로 인해 가난, 범죄, 매춘 등 삶의 부정적 양상이 노출되고 남녀의 역할이 전도되는 등 전통사회의 가족구조가 붕괴하는 시기이다. 때문에 ‘젠더’를 통하여 현대소설의 서사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젠더공간’의 고유한 기능이 변모되는 1930년대를 모델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시말해 여기의 1930년대는 통시적 관점에서의 위상이 아니고 부정적 도시성이 나타나는 분기점으로서의 위상인 것이다. Ⅱ장에서는 ‘젠더공간’이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기 위하여 사회학적 관점, 페미니스트 비평적 관점 그리고 기호론적 관점의 제 영역에서 이론적 근거를 수렴하였다. 먼저 사회학적 관점에서는 일리치(I. Illich)의 젠더이론을 토대론 한국의 사회구조를 분석한 논의와의 접맥가능성을 검출하였다. 그리고 페미니스트 비평의 관점에서는 울프(V. Woolf)와 헤일브런(C. Heilbrun)의 양성론을 채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기호론적 관점에서는 로트만(Ju. M. Lotman)의 문화기호론적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Ⅲ장에서는 이상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이태준의 소설「아담의 후예」에 나타난 젠더공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통사적 층위에서 텍스트의 기능단위를 중심으로 추출한 요소 연쇄체를 정리한 결과 ‘여기’와 ‘저기’의 공간적 대립에 따른 행위자의 존재론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 의미론적 층위에서는 이와 같은 통사적 층위에서의 대립항을 추출하였는 바 이는 ‘젠더’가 파괴된 산업사회와 고유한 ‘젠더’가 존재하는 공생의 사회의 인간형임이 밝혀졌다. 또한 수행적 층위에서는 기호세계를 넘어선 상징세계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기 위하여 융(C.G.Jung)의 원형이론을 적용하였다. 이에 행위자가 존재하는 공간이 가부장적 금기의 언술이 지배하는 남근적 모성공간이며, 그 공간을 탈출하여 본래적 모성공간으로 회귀하는 행위를 볼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1930년대의 대표적 작가인 강 경애, 박 태원, 유 진오, 이 상, 이 태준, 채 만식 등의 소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성분리의 대립공간, 양성교차의 전도공간, 양성구유의 융합공간이라는 ‘젠더공간’의 세 유형을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1930년대 소설에서는 양성분리의 대립공간이 우세하며, 양성교차의 저도공간과 양성구유의 융합공간이 혼재함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이상에서 나타난 ‘젠더공간’의 양상들이 현대소설에 어떤 형태로 변모, 굴절되어 나타나는가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1930년대 소설에서 지적되었던 도시의 부정적 속성을 1970년대의 상업주의 소설에 연계된다. 이 소설들은 대부분 양성분리의 대립공간과 함께 양성교차의 전도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1980년대 여성작가들의 소설에서는 자아의 각성과 함께 전통적 모성공간인 가정을 탈출하는 여성주인공들의 행위가 서술된다. 이를 통해 가정은 이미 모성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음과 동시에 현대소설에서는 이미 ‘젠더공간’의 해체현상이 지배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