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민자-
dc.creator박민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5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se the ways of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n the family of self-employed retailers. The purpose is to examine that domestic labor and unpaid labor in the informal sectors which are mostly performed by women are important for the family and social reproduction. And it also is to find out a process that labor powers are allocated through the family to the self-employed class which is social-structurally produced and maintained.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ways that the social relation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ccurred within family are related with the larger world, specially economic structure.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s conceptualized and reasoning that non-wage labor is necessary for the reproduction of labor power of lower income families in understood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theories. In addition to that, class status of the self-employed retailers and their class characteristics in the capitalist system and a mechanism that the class is produced and maintained are examined. Finally a frame for analysis is constructed and three aspects of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ncluding material reproduction, reproduction of social relations of production, and ideological reproduction are analysed based on the frame of analysis. A qualitative method used depth interview was employed for the empirical study. The families of self-employed retailers dealt with fruits and vegetables are selected for the cases to the stud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wives input almost the same amount of labor as much as their husbands do in the store to maximize their income. And also at the home they attempt to minimize their expenditures through domestic labor. Thus the labor of the wives are necessary existence for their subsistence and for capital accumulation and capital reproduction. Nevertheless, the labor of the family is not appropriately rewarded from society and the women’s contribution hardly has an effect on their power in the husband-wife relationship. It suggests that the families of self-employed retailers are economically oppressed by capital and the wives are doubly oppressed by the capital and their husbands. (2) Class relationship which is one of the social relationship of production has a tendency to be reproduced by their children. Although the occup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retailers is not directly reproduced by their children, there is a tendency that they are being allocated to the other kinds of self-employed occupations which are included in the petit bourgeoisie. In the case of the householder generation, they have been allocated to the urban petit bourgeoisie due to low education, no skills, no capital what they had. Gender relationship is also reproduced through the actual experience of sexual division of labor and socialization of sexist ideology. (3) The class ideology that values independence and hard work which is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capitalist system is also reproduced. In summarizing, the self-employed retailers are living under insecure conditions that capital has begun to penetrate into the circular sector. In the situations, they do their best for their children’s upward social mobility. In order to support their children get higher education, they live with lower earning by a strategy of maximizing income and minimizing expenditure. However, they realize that their occupation does not help the children’s achievement. Nevertheless, they do not recognize that their present insecure situation is social-structurally constructed because of their contradictory class status that they own a limited quantity of means of production on one hand, and they appropriate their won labor on the other hand. Rather they believe that their situation can be changed if they work hard. As a result, the way that gende4r and class inequality is reproduced through the family was taken concrete form. Finally the oppression of women and the future of the self-employed retailers as a class structure are discussed. ; 본 연구는 자영소상인 가족생활을 노동력 재생산 방식을 통해서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성이 주로 담당하는 가사노동과 비공식부문의 무급노동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사회구조적으로 창출, 유지되는 자영소상인계급에 노동력이 가족을 통해서 배분되는 과정을 파악한다. 이것은 가족내에서 야기되는 제반 생산 및 재생산의 사회적 관계를 가족 밖의 더 큰 세계, 특히 경제구조와 관련시켜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를 통해서 노동력 재생산 개념화를 시도해 보았고 저소득층 노동력 재생산에 비임금노동이 투여될 수 밖에 없는 논리를 이해하였다. 또한 자영상인의 자본주의 체계에서의 위치 및 계급적 특성과 그 계급이 창출, 지속되는 메커니즘을 검토하였다. 노동력재생산방식을 위한 분석틀을 구축하고 그 분석틀에 입각하여 물질적재생산, 생산의 사회적관계재생산,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등 세가지의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가계 내에서 부인은 남편과 거의 같은 양과 질의 노동을 투여하므로써 가족의 소득증대를 꾀하고, 가족내에서 가사노동을 통해 지출극소화를 꾀하므로서 가족의 생계유지에는 물론 이 노동이 자본축적 및 자본재생산에 존재조건임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족의 노동은 사회적으로 적절한 대가를 받지 못할 뿐 아니라, 특히 부인은 가족내에서 그들의 권력이 비례적으로 증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영소상인가족이 자본에 의해 경제적으로 억압되고 부인들이 자본과 남편에 의해 이중으로 억압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 생산의 사회적 관계 중 계급적관계는 채소, 과실 자영소상인이라는 직업이 부모로부터 가구주에게, 가구주로부터 자녀세대에게 직접 재생산되지는 않지만 가구주의 경우 저학력, 무기술, 무자본이라는 노동의 질을 갖고 우리나라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사회구조적으로 창출, 유지되는 도시 쁘띠부르조아지계급에 편입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가구주의 자녀들도 채소, 과실 판매업은 아니지만 다른 종류의 자영상으로 배분되는 과정을 파악하였다. 성적관계 역시 실제 경험하는 성별분업화나 성차별주의 이데올로기를 통해서 자녀들에게 재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본주의 체계유지에 필요한 쁘띠부르조아지의 전형적 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는 과정도 파악하였다. 종합하면 채소, 과실 자영소상인들은 자본이 유통부문에도 침투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자본의 위협이라는 계급관계에서 오는 불안한 생활속에서도 자녀들 세대에서만이라도 계층적 상승이동을 해 주기를 원망하면서 자녀들 교육지원에 최선을 다한다. 그것을 위해 소득극대화나 지출극소화를 통한 생계유지방식을 택하지만 현 직업이 실제로 자녀들 교육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불안한 생활을 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의 쁘띠부르조아지라는 계급적 특수성, 즉 한편으로는 자신이 스스로 이룬 제한된 양의 생산수단을 소유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노동으로부터 착취한 이윤을 갖고 살아가는 모순적 위치 때문에 현재의 불안한 처지에 대한 사회구조적 인식도 없이 모든 것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고 개인이 성실히 살면 개조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생활속에서 그들의 성적, 계급적 불평등이 가족을 통해서 재생산되는 방식을 구체화시켰다. 끝으로 여성의 억압과 자영소상인계급의 미래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II. 노동력 재생산 개념화 --------------------------------------------- 14 A. 노동력 재생산에 관한 기존 논의 ----------------------------------- 14 B. 저소득층가족의 노동력 재생산기제 --------------------------------- 25 1. 가족 ------------------------------------------------------------ 35 2. 비공식부문 ------------------------------------------------------ 37 C. 노동력 재생산 개념화 및 분석틀 구성 ------------------------------ 40 III. 자본주의사회에서 판매업(상업)의 위치 및 자영엽의 계급적 위치에 관한 논의 ------------------------------------------------------ 44 A. 자본주의와 판매업(상업) ------------------------------------------ 44 B. 자영업의 계급적 위치 --------------------------------------------- 49 1. 쁘띠부르조아지계급의 개념 및 특징 ------------------------------- 50 2. 내부구성 -------------------------------------------------------- 55 C. 한국의 자영소매업의 형성 과정 ------------------------------------ 62 1. 비공식부문의 특징 및 공식부문과의 관계 -------------------------- 63 2. 비공식부문의 형성 ----------------------------------------------- 66 3. 한국의 비공식부문의 형성 ---------------------------------------- 71 IV. 경험적 연구 ------------------------------------------------------ 81 A. 조사방법 --------------------------------------------------------- 81 B. 조사결과 분석 ---------------------------------------------------- 86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 86 2. 자영소상인의 노동력 재생산 방식 ---------------------------------104 가. 물질적 재생산 방식 --------------------------------------------104 (1) 수입증대 방식 ------------------------------------------------105 (가) 판매량 증대 방식 -------------------------------------------108 (나) 기타소득 증대 방식 -----------------------------------------113 (2) 지출극소회방식 -----------------------------------------------116 (가) 생활비지출 내용 --------------------------------------------116 (나) 비소비형 지출내용 ------------------------------------------121 나. 생산의 사회적 관계 재생산 방식 --------------------------------124 (1) 계급적 관계 재생산 방식 --------------------------------------128 (가) 본인과 부모와의 관계 : 본인의 현 계급적 위치로의 배분과정 --128 (나) 본인의 초기계급과의 관계 -----------------------------------132 (다) 본인과 자녀와의 관계 ---------------------------------------141 ㄱ. 현 직업에 대한 태도 ----------------------------------------142 ㄴ. 자녀에게 기대하는 직업 -------------------------------------147 ㄷ. 실제 취업하고 있는 자녀들의 직업 ---------------------------149 (2) 성적관계 재생산 방식 -----------------------------------------151 (가) 성별분업실태 -----------------------------------------------152 ㄱ. 상행위에서의 성별분업 --------------------------------------152 ㄴ. 집안일에서의 성별분업 --------------------------------------153 (나) 강조하는 가치관, 기대하는 교육정도, 직업 -------------------156 다.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방식 --------------------------------------158 (1) 자본에 대한 의식 ---------------------------------------------162 (2) 정치적 태도 --------------------------------------------------165 (3) 계급의식 -----------------------------------------------------166 (4) 자녀에게 강조하는 가치관 -------------------------------------168 C. 토의 및 함의 -----------------------------------------------------170 V. 결론 --------------------------------------------------------------177 참고문헌 -------------------------------------------------------------186 영문초록 -------------------------------------------------------------2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152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영소상인 가족의 노동력재생산방식에 관한 연구 : 채소, 과실소매상 가족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