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미림-
dc.creator유미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5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ruling ideology of late Chosen, and analyzes how these ideolog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to political power structure, economic policies and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The formation of ruling ideology is associated with the recognition on ruling, which based on Neo-Confucian thought thoroughly from the very beginning. The ruling ideology of Chosun dynasty was composed by Sunghak (聖學-study for monarch), Injung (仁政-politics of mercy), Tradition (傳統), Chunghwa (中華-China at the center in world order). Sunghak was ruling ideology in the political aspects, Injung was in the economic aspects, Chunghwa was ruling ideology in relationship with foreign countries, and Tradition was the mainstream of ruling ideology worked in political structure in general. The discussion on how deal with the Sunghak became a ruling ideology. It was understood that the study and politics are two different things, recognized study is the basis, politics is the following. The discourse of Sunghak was mainly discussed as training of will of King, because of the succeed of mind training regarded as learning of moral of Saint, foundation of ruling as well. Therefo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unghak was not the pursuit of institution reform or objective research for political society, nor on ruling technique, it replaced with research on Ruler himself - oriented to cultivation of king s mind. The mind-orientation of Sunghak was different in each King-Yongjo was demanded mind cultivation by bureaucrats, Jungjo himself deepened the mind cultivation. However, both were pursued the methods of Sunghak within the mind-cultivation trends. During the periods of novel family in power, it was almost impossible to expect the deepening of mind-cultivation. By returning back to traditionalism that just following the politics of the former king, in fact methods of Sunghak was not focused on improvement of ruler s qualities, but stagnated on following in former king s steps. Even, ruling ideology exposed by methods of Sunghak was not discussed continually in the level of principle, nor related with political process systematically, but the practical power structure was departed with methods of Sunghak. Instead, Chu Hsi s Moral in the King-Minister Relationship controlled king s rule and affected Power structure. The political process from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was the real implementing process of Chu Hsi s Doctrines. Because Chu Hsi s Stand for Justice was the standards and operation principle which controlled all the political process, King couldn t play his leadership. The endeavor of King to secure the political stability and integration through the co-ordination and negotiation among each political faction turned out nothing due to the strong objections of the Confusion scholar s Stand for Justice affected by Chu Hsi s View of Political Faction. To overcome these barriers, specially the Jungjo pursued integration all the political faction, at the same time urged the manifest of justice in the political process, made assured that his "Tang-pyong" theory can coexist with minister s Stand for Justice, tried himself different from the former King, Yongjo. However, all these efforts and trials looked self-explanatory re-interpretation of King s Stand for Justice to minister, ranked lower than minister s Stand for Justice. However, all these offence-defense between King and Minister was not longer valid in the period of novel family in power. During that periods, inability of King and crippled operation of politic, nobody couldn t insist the master of Stand for Justice, king s direct domination system was not established. Under the domination of royal family, which was united King and novel family, the pursuit of political faction s interests was unified and concentrated on special family Due to the above mentioned situation, restraint and critique between political powers was not implemented, Stand for Justice was just nominal insistence, resulted in stagnation of argument of justice, also made political integration more difficult. A view of economy stemmed from Neo-Confucian ideology, based on the Confucian Mercy Politics, considered ancient land system as ideal under the Physiocratic economy system. In practice, it was based on the realistic economic view of Chu Hsi. Chu Hsi s institutional reform discourse was succeed to Confucian scholars. They put emphasis on the military service reform and tribute system reform rather than measure of cultivated land should taken to solve the fundamental land problems. The changes toward total sum system on land tax, improvement to reduction of military service, high interests exploitation of payment by grain with interests, all these just meant tax source for government fund, even accelerated the exploitation and inequality in tax. China-central thought expressed by strengthening Respect to Myung dynasty (崇明義理) experiencing two wars. This thought still applied to Chosen s foreign relations after the emerge of Chung dynasty, All kinds of work to encourage respect to Myung dynasty was taken in a various mode domestically, cling to Myung s name of the era instead of Chung s, not stopped to respect to Myung. On the other hand, resulted in the growth of Chosun-centralism, succeeded Myung s civilization. The movement toward Bukhak (北學-Learning from China) in the level of pragmatism was emerged among the working level bureaucrats. However, they promoted Bukhak not being released from China-centralism. In spite of the weakening of Chung brought revenge consciousness against Chung and shared the fate in common with Chung. Royal family in power tried to compensate their weak legitimacy through submission to China. Therefore, cordial submission to China of ruling class was went, in other part the Confucian scholars against Chung and extreme Chosen centralism was coexisted, so disintegration within the ruling class was coming to occur. The Chosun s friendship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made treated not only Japanese delegation but individual or group hoping exchange in early Chosen dynasty. These friendship continued until late Chosen dynasty. Even when Japan requested the new relationship with Chosen based on Japanese ethnocentralism, Chosen stuck to nominal friendship. Neo-Confucian nominalism was remained still among ruling class even when the Orthodoxy was challenged by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ccordingly, they was so optimistic in defeating the western civilization by establishing orthodoxy. Such an attitude continued when the pressure from foreign countries getting stronger to open door of Chosen in the cuddle of 19th century and also the orthodoxy promotion plan was continued. During the late Chosen dynasty, Chosen s Neo-Confucianism pursued in accordance with system as a ruling ideology within all aspects of social structure. Furthermore, tried to fixed it as a doctrine. Consequently, the ruling class didn t hesitated to seek the curing methods of socio-policy problems in Chu Hsi ideology. Hence, the ruling class including King, recognized the Neo-Confucianism only as core of Confucianism and thought the ruling ideology could be got only through the acknowledgement of Confucian doctrine. However, Neo-Confucian ruling ideology was functioned departed from political reality, not associated with political structure itself. Failed to political integration due to accumulated gap, fostered the break up of system. Therefore, sturdy and doctrinal characters of Neo-Confucianism as ruling Ideology, lost it s confrontation ability to counter the political environment changes, and these became a interfering factor with Ideological transformation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risis. Maintaining Orthodoxy was exclusive against other ideology, Attitude of Respect for China and Expel Barbarians (尊華攘夷) led to poverty of political realism. The insistence on Moralism and Subjective Perception Methods were continued until 19th century, dynasty was not any longer operate, faced with foreign pressure.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practice of the scholar who advocate the Wijung-Chukka (7iiE777-rejection of heterodoxy and defense of orthodoxy) in 1860 s- when the highest crisis period- which succeeded in value system of Neo-Confucian led them couldn t recognized the western countries as it is, just recognized it normatively. ; 본 논문은 조선 후기 統治理念의 특성이 무엇이며 그 특성이 權力構造와 經濟政策, 그리고 對外關係에서 구조적으로 연관되고 있는 실제의 양상을 검토해보려는 것이다. 統治理念의 형성에는 통치자가 國家가 다스려진 상태를 어떻게 보는가 하는, 즉 통치에 관한 認識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처음부터 주자학적 思惟가 철저히 그 기저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 후기 통치이념은 朱子의 정치사회에 대한 認識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16세기에 주자학이 통치자의 修身論과 결부되어 主權主義的인 지향을 띠고 있던 것이 후기에 들어서서는 君主 聖學論으로 전개되고 있어 聖學論은 그 자체가 統治理念이 되고 있다. 즉 學問과 政事는 두 가지 이나 근본은 學問이요 政事는 그 다음이라는 인식은 心法의 전수가 곧 聖人의 도를 배우는 것이자 統治의 근본이라고 간주되어 성학론은 주로 聖志를 연마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통치자의 학문능력이 중요한 지침이 되기 때문에 군주는 聖學이라는 이름하에 君德을 수양해야 했는데 君德의 수양이란 朱子學의 영향으로 인해 주관주의적이고 내면주의적인 지향이 강조되는 형태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聖學의 내용과 방법이 制度論의 강구라든가 정치사회에 대한 객관적 탐구, 혹은 統治技術에 관한 것이 아니라 군주 자신의 內面에 관한 탐구로 치환되는 心學的 傾向을 띠고 있다. 聖學의 心學化는 英祖와 같이 臣으로부터 심학의 필요성을 강력히 요구 받아 심학화로 기울거나 아니면 正祖처럼 군주 자신이 心學을 正學의 扶植 방편으로 삼아 深化 시키기도 하는 등 군주에 따라 차이가 보이지만 이들은 모두 聖學論을 心學적 경향 속에서 추구하였다. 그러나 어린 임금이 즉위한 세도정치기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心學의 深化는 기대하기 어렵게 되고 그 대신 先代王의 정치를 본받는 데 역점이 놓인 傳統主義로 회귀함으로써 사실상 聖學論은 군주의 자질 향상에 역점이 놓인 것이 아니라 단순히 傳統主義를 답습하는 데 머물고 있다. 더구나 聖學論으로 현현한 통치이념은 그것이 원리론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그렇게 해서 논의되는 聖學論이 정치과정과 유기적인 연관성을 지니고 정치를 규제해가는 것이 아니라 실제 권력구조는 성학론과는 유리된 채 朱子義理論이라는 군신관계 규범이 君主 통치를 제약, 권력구조가 이로 인해 영향 받고 있었다. 18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정치과정은 실로 이러한 敎條化 된 朱子學 敎義의 실천과정이었다. 君에 대한 무조건적인 충성관계에서 臣의 선택적인 충성에로 변모되어 전개되는 후기 권력구조는 君臣간의 규범을 각기 유리하게 이용하려는 정치세력과 군주간의 이해가 대결적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자학적 義理論과 名分論이 모든 정치과정을 규제해가는 기준이자 運營原理여서 군주는 그 사이에서 영도력을 발휘하기가 힘들었다. 각 政派간의 調整과 妥協을 통해 정치적인 안정과 統合을 꾀하려던 국왕의 노력은 朱子 朋黨論의 지배를 받고 있던 山林의 義理論에 부딪쳐 효과를 거두기가 힘들었고 君臣關係를 父子關係와 같은 것으로 擬定하여 臣에게 무조건적인 충성을 요구하는 君主의 義理論은 이를 엄격히 구분하는 臣下의 君臣分義 논리에 부딪쳐 뜻을 관철시킬 수가 없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보고자 특히 正祖는 각 정치세력의 統合을 추구하되 그 과정에서 義理 의 분변을 촉구하고 자신의 蕩平論理가 신하의 義理論과 양립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 선왕인 英祖와 차별성을 부각시키려 했으나 이는 臣의 입장에서 보면 군주의 자의적인 義理論의 재해석으로 비쳐져 결국에는 주자학적 義理를 고수하는 臣의 義理論의 하위에 위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군신간 義理에 관한 攻防도 勢道政治期로 접어들면서 君主의 무능력과 政局의 파행적인 운영으로 어느 세력도 더 이상 義理의 主人임을 자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군주의 親政體制로 복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형식상 군주 통치를 취하고 있다 해도 純祖와 憲宗, 哲宗같은 군주는 단지 祖宗의 法과 守成을 강조하며 현실에 안주하려 하였다. 군주와 세도가문이 연합한 戚里支配體制는 제 政派의 功利 추구가 특정가문으로 집중, 일원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정치세력간 견제와 비판이 이뤄지지 못하고 義理論이 名目的인 거론에 그침으로써 義理論의 停滯를 초래하게 되었는데 의리론의 명목화는 統合을 더욱 어렵게 하였다. 주자학적 통치이념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제관이란 유교적인 仁政論을 기반으로 하여 농본주의적 경제구조 하에서 井田制를 理想으로 하는 것이나 실제 경제정책에서는 朱子의 현실론적 경제논리에 의거하고 있었다. 토지개혁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朱子는 토지문제로 인한 사회문제의 해결책을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있는데 하나는 지주 전호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도운영을 통한 개선을 강조하는 것인데 주로 擇人과 賦稅制度의 釐正이 주 내용을 이루었다. 조선 조의 儒者들에게는 朱子의 제도적인 개선론이 그대로 계승되어, 근본적인 토지 문제 해결을 위해 취해져야 할 量田사업보다는 軍役과 공물제도의 釐正에 역점이 두어지고 있다. 田稅의 總額制로의 변화와 軍役의 均役法으로의 개선, 賑恤이념을 도입하여 시행된 還穀制의 고리대적인 수탈은 정부재정을 위한 稅源으로서의 의미만을 지닐 뿐 토지소유제도의 변모를 반영하여 개선된 근본적인 변통책이 아니어서 賦稅의 불균등과 수탈만을 심화 시킬 뿐이었다. 三政體制로 운영되던 경제정책의 爲民 이념은 퇴색하고 오히려 지배계층의 경제적인 利害만을 보장해주는 기구로 되어 사회모순의 축적이 결국 民亂으로 표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支配層은 朱子의 制度釐正策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체제유지 차원에서의 개선논의만을 반복할 뿐이었다. 兩亂을 거치면서 중화적 질서관념은 崇明義理論의 강화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 崇明義理論은 淸朝가 들어선 후에도 그대로 朝鮮의 대외관계에 적용되었다. 대내적으로는 崇明義理를 고취하기 위한 작업이 여러 형태로 진행되었고 淸대신 明의 年號를 고집하고 明에 대한 尊崇의 念을 멈추지 않은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明의 중화문물을 朝鮮이 이어받았다는 朝鮮 中華意識의 성장을 가져왔다. 또한 淸의 문물이 발달함에 따라 實用의 차원에서 北學을 하려는 움직임이 실무관료를 중심으로 대두하지만 淸을 中華로서의 上國이 아닌 大國으로서 분리하고자 하여 중화관념으로부터 완전히 탈피하지 못한 채 北學을 추진하였다. 한편 淸의 약화는 對淸復讐意識과 共同運命論을 함께 가져왔지만 세도정치기의 戚族勢力이 미약한 그들의 正統性을 對淸事大外交를 통해 얻고자 하였으므로 집권세력의 극진한 事大外交가 진행되는 한편으로는 山林勢力의 反淸意識과 극에 달한 朝鮮中華意識이 병존하고 있어 점차 統治層 내에 분열이 야기되고 있다. 日本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交隣은 조선 전기에 일본 국왕의 使行뿐 아니라 交互를 희망해오는 개인이나 집단을 막론하고 交隣의 道로써 접대하여 주던 交隣觀이 後期에 들어서서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그리하여 병자호란 이후 일본이 日本型 華夷意識에 의한 自民族 中心主義에 기반하여 조선과의 새로운 관계를 요구, 그것이 國書의 서식에서 호칭 변경을 요구해오거나 年號 문제로 갈등을 겪을 때도 交隣의 道와 名分에 얽매이는 道義的 인 교린관을 고수하게 하였다. 國益과 時宜에 따른 실리적인 외교논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道理내지 情誼를 중심으로 하는 교린관은 일본의 易地通信 요구에 대해서도 交隣의 情誼에 충실한다는 원칙하에 그 절차만을 문제시하게 하였는데 이와 같이 상황 변화와는 무관하게 道義的으로 지속하는 交隣觀이야말로 朱子學의 道德的 規範主義가 내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자학의 규범주의적인 사고는 西學이 유입되어 正學의 위치가 도전 받을 때도 여지없이 관통하고 있었다. 西學이 종교로서 변모하여 유교적 綱常倫理를 파괴하려 할 때에 邪學을 공격하는 斥邪의 논리는 철저히 正學主義의 기초 위에 서서 天主敎의 無父無君的 성격을 비판하였던 것이다. 그리고는 邪學을 물리치는 최선의 방책은 正學의 부식에 있다고 보고 또 正學을 부식하기만 하면 邪學은 자연히 사라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태도를 지녀 19세기 중반 開國의 外壓이 가열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正學을 밝히기 위한 작업을 계속하였다. 조선 후기 朝鮮朱子學은 체제의 통치이념으로서 사회구조의 제 영역에서 適合性과 體制와의 일치를 추구한 데서 더 나아가 이를 敎條的으로 고착화하려 하였다. 그리하여 정치 사회문제의 치유방안을 朱子學的 이념에서 구하는 데 통치층은 주저하지 않아 君主를 비롯한 지배계층은 朱子學만을 儒敎의 진수로서 인정하고 이 敎義의 습득을 통해서만 통치이념을 제공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주자학적 통치이념은 그 사상적 특성이 통치구조 속에서 상호 관련되지 못한 채 현실과 유리된 채 기능하고 있어 그 증대된 間隙이 결국 정치적 統合을 이루는 데 실패, 체제의 해체를 촉진하였다. 이를 이념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18세기의 정치과정이 聖賢의 통치이념을 슬로건화 하여 의리논쟁 속에서 활발히 전개 시켰다고 한다면 세도정치기에는 聖賢의 통치이념이 아닌 先王의 통치방식에 매달리는 傳統主義로 회귀한 것이며 先王의 義理에 맹목적으로 매달리는 義理論의 명목화 경향을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주자학 논의가 停滯된 것은 정치적 환경변화에 조응할 수 있는 대응력을 상실하여 이것이 대내외적 위기에 처해서는 思想的 變容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正學主義는 다른 사상에 대해 배타적이게 하였고 中華觀念에 의한 尊華攘夷的 사고는 정치적 리얼리즘의 빈곤을 초래하였다. 또한 조선 주자학이 지닌 도덕적 규범주의와 주관주의적인 인식방법은 19세기 후반 조선왕조가 더 이상 王朝 자체를 유지하기 힘든 外壓에 직면해서도 그대로 계승되어 있었다. 대외적으로 위기가 고조되어간 1860년대 衛正斥邪論者들의 현실인식과 위기대처방안으로서의 實踐論에 고스란히 계승되어 있던 朱子學의 價値體系는 서구 열강의 실체를 실재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게 하고 規範的으로 인식하게 하였던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Ⅰ. 序論 ------------------------------------------------------------ 1 Ⅱ. 朝鮮後期 社會와 朱子學的 統治理念 ------------------------------- 17 A. 17세기 후반의 政治·社會的 狀況 ---------------------------------- 17 B. 統治理念의 構造 ------------------------------------------------- 26 1. 朱子學的 統治理念 ---------------------------------------------- 26 2. 統治理念의 구조 ------------------------------------------------ 33 가. 聖學 --------------------------------------------------------- 33 나. 傳統 --------------------------------------------------------- 37 다. 仁政 --------------------------------------------------------- 43 라. 中華 --------------------------------------------------------- 45 C. 統治理念의 特性 ------------------------------------------------- 53 1. 君主聖學論의 心學 的 傾向 ------------------------------------- 53 가. 聖志의 강조 -------------------------------------------------- 53 나. 心學 의 深化 ------------------------------------------------ 71 2. 傳統主義로의 回歸 ---------------------------------------------- 85 Ⅲ. 權力構造와 朱子學的 義理論 --------------------------------------101 A. 蕩平體制下에서 君主義理論과 朱子義理論과의 갈등 -----------------102 1. 權力構造에 미치는 義理論의 제약 --------------------------------103 가. 支配體制의 諸樣態와 朱子義理論 -------------------------------103 나. 蕩平論과 義理論의 상충 ---------------------------------------114 2. 君主의 權力集中 시도와 政治的 統合의 실패 ----------------------140 가. 統合理念의 표방 : 大道 -------------------------------------140 나. 統合志向的 君主義理論의 좌절 ---------------------------------153 B. 勢道政治體制와 義理論의 좌절 ------------------------------------159 Ⅳ. 仁政 理念의 空洞化 ---------------------------------------------178 A. 賦稅政策에 보이는 仁政論과 現實的 乖離 --------------------------179 1. 朱子經濟觀의 계승 ----------------------------------------------179 2. 收稅體系의 강화 ------------------------------------------------183 가. 摠額制와 관리부정의 증가 -------------------------------------184 나. 軍役부담의 불평등 --------------------------------------------192 다. 국가선도적인 영리사업: 還穀 ----------------------------------202 B. 弊端의 構造的 惡循環과 體制危機 ---------------------------------207 1. 收取構造 改善 중심의 釐正案 ------------------------------------207 2. 賦稅不均의 微溫的 是正과 弊端의 加重 ---------------------------216 3. 身分制의 名分과 實際 -------------------------------------------226 Ⅴ. 中華的 秩序觀念: 歷史的 規範主義와 正學 主義 -------------------238 A. 中華的 질서관념의 계승과 변천 -----------------------------------238 1. 崇明義理 의 계승과 宣揚 ---------------------------------------238 2. 對淸觀의 변화 --------------------------------------------------249 가. 崇明反淸 과 儀禮的 事大 -----------------------------------250 나. 北學論의 대두 ------------------------------------------------255 다. 歷史意識의 변화 ----------------------------------------------261 3. 道義的 交隣觀 --------------------------------------------------266 가. 朝日 兩國의 交隣認識 -----------------------------------------266 나. 道義的 交隣觀의 固守 -----------------------------------------279 B. 西學의 傳來와 正學 主義 ----------------------------------------289 1. 西學에 대한 對應論理 -------------------------------------------289 2. 天主敎 批判: 衛正과 斥邪 ---------------------------------------297 가. 衛正 主義 ---------------------------------------------------298 나. 斥邪論 -------------------------------------------------------307 Ⅵ. 結論 ------------------------------------------------------------315 參考文獻 ------------------------------------------------------------328 英文抄錄 ------------------------------------------------------------3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358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후기 통치이념의 구조적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