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숙-
dc.creator김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5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조선 후기, 그 중에서도 18세기 전반기의 서얼문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이 시기에 이르러 서얼들은 수적인 증가와 더불어 집단화를 이루며 통청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게 된다. 그럼으로써 이전과는 달리 사대부와 동등하게 과거에 응시하고 벼슬 길에도 오를 기회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17세기말에서 18세기초는 서얼문사들이 다수 출현하여 자신들의 문학적 능력을 키우고 발휘하여 사대부들로부터도 이를 인정 받고 시 문의 전문가 집단으로 받아들여진 시기이기도 하다. 요컨대 계층적 ·문화적으로 서얼들 이 자신들의 위상을 정립해 가기 시작하던 시기라 할 수 있으며 본고가 이 시기를 주목 한 기본적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당시 사정상 충분한 문학적 자료를 남기고 있는 서얼문사들은 그리 많지 않다. 본고가 문집을 남기고 있는 이세원, 신유한, 강백, 김도수만을 논의의 중심에 둘 수밖에 없는 연유도 이 때문이다. 18세기 전반 서얼문사들이 놓인 자리를 가늠하기 위하여 본고는 우선 조선 조 사회 속에서 서얼이 차지하고 있던 위상과 서얼통청에 이르기까지의 서얼의 세력화, 숙종·영조 연간 전후 서얼 문사의 면면, 그리고 그들의 벼슬 경력 등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얼 문사들 대부분이 소과에는 급제했으나 대과에는 적은 수만이 급제했고, 대체로 종9품에서 종4품까지의 봉상시나 외직에 임명되었으며, 당상관에는 들지 못하고 대과에 급제했던 서얼들만이 당하관에 들었을 뿐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서얼들로 하여금 복잡미묘하고도 심각한 정서와 의식을 지니게 하였을 것이다. 서얼들이 서얼이라는 신분상의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상당한 복합성을 갖고 있다는 것은 본고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네 서얼문사들의 당파와 벼슬살이, 그리고 그 뚜렷한 개성에서도 새삼 드러난다. 그럼에도 서얼들은 불우한 지식인으로서의 강한 자기 의식을 갖고 있었다. 이들은 서로 집단을 이루어 친하게 지내며 자신들을 지칭할 때만 吾輩라는 용어를 썼다.서얼의 계층 의식은 중인과의 관계에서도 잘 나타난다. 서얼문사들은 문학적·음악적 공감대와, 피차 마찬가지의 신분적 열세로 중인문사와 친분을 유지하기는 했으나 스스로 자신들을 중인과는 구별되는 사대부라는 의식을 드러냈다. 서얼문학이 고유의 독자성을 지니며 중인문학 일반 혹은 통칭으로서의 중서문학과 구별되어야 할 근거의 단초를 여기서 찾아볼 수 있다. 이상의 예비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18세기 전반 서얼문학의 전개와 의식을 살펴봄에 있어 먼저 이들의 문학관을 따져보았다. 신유한과 이세원을 중심에 두고 살펴본바, 우선 이들은 각각 당대 문학론의 두 축이었던 진한고문과 당송고문에의 경도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문단의 복합적 양상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신유한의 문학론은 시경 전통의 계승과 확대를 바탕으로 하여, 감흥에의 충실과 풍자 개념의 중시, 탁의 수법 애호와 수사 선호, 기속에 대한 관심과 조선시 주장 등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를 보여주고 있다. 이세원의 문학론은 조륜의 『솔암유고』를 비선하며 행한 평가를 통해 살폈는데 이는 문집에 직접 행한 비평이며 당송고문파의 문학관을 보여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우선 의의를 띤다. 여기서 이세원은 장려한 우국 정서의 표출과 창신한 시어를 추구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의 용어로 紀實而洗鍊 으로 특징지어지는 그의 문학론은 17세기 이래 지속되어 온 창신의 흐름을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관의 복합성, 그리고 앞서 말한 복잡다양한 서얼들의 의식 세계에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듯이 서얼들의 문학가계는,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꽤나 양면적이다. 이 양면성을 본고는 비판적 현실 대응과 낭만적 현실 초월로 나누어 명명하고 정리하였다. 비판적 현실 대응의 첫 양상은 신분적 질곡의 형상화인데 이는 신분적 차별로 인한 고뇌, 벼슬에의 열망과 좌절 등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는 사회제도 및 세태의 여러 양상을 고발하고 있는데, 이들은 체험을 통해 부패한 사회 제도와 타락한 세태, 그리고 당쟁을 예리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대안책을 모색하는데 부심하였으나 어쩔 수 없자 속수무책의 자괴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능력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쓰이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서 서얼들은 해외를 동경하였는데 통신사와 연행사가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서얼들이 사행에 참여하는 전문 문사집단으로 인정되고 해외에서 울울한 심사를 풀고 오는 것은 당시에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현상이었다. 이들 서얼들은 해외동경에 대한 논리적 방패로 문화적 자존 의식을 선택하였는데, 그러나 발전된 오랑캐 나라의 체험은 이들의 인식에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는 국가의 고유성과 과학문명에 대한 관심의 강화로 이어지게 된다. 서얼문학의 낭만적 현실 초월 양상은 고고한 정신세계 지향, 이상 세계로서의 산수와 전원, 도 ·불적 취향과 정서라는 항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이 고고한 천품을 지닌 존재로 언젠가는 알아줄 사람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범상한 무리와는 섞이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또 선배 서얼들의 은일자적 삶을 존경하기도 했다. 한편 이들은 산수유람을 통해 위안을 삼고, 산수화의 경지를 이룬 시 속에서 울분을 해소했으니 이는 당대에 성행하던 유락적인 산수 기행과는 다르다. 아울러 이들은 현세의 질곡을 겪고난 뒤 농촌으로 낙향하여 전원한거의 자긍한 생활을 추구하는데, 한편에서는 유자로서의 면모와 농자로서의 면모를 조화롭게 유지한 채 자연을 총체적인 생활의 터전으로 보기도 하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임금을 걱정하는 현실 참여 의지 때문에 안빈낙도를 누리지 못하기도 한다. 이들의 자연은 사대부들의 명철보신의 임시적 도피처로서의 자연과는 다르다. 그리고 서얼들은 도 ·불적 취향이 강했는데, 혹은 철학적인 면에서 정신적 안정을 추구하였고 혹은 불교에 귀의하여 절은 내 집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무심하게 되는 없음 과 비었음 의 경지를 기원했으며, 이는 도가의 신선과 연결되어 바른 정신을 지닌 채 시정에서 범상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신선으로 보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은 18세기 전반 서얼문학의 문학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력화된 집단으로서의 서얼들은 충분한 역량으로써 높은 문학적 성취를 보여주면서 자신들의 고유한 문학 세계를 만들어냈다. 그리하여 문학 담당층의 확대를 가져왔으니, 조선후기 문학사를 사대부문학, 서얼문학, 중인문학으로 재편성할 가능성을 열어 준 셈이다. 다음으로 서얼들은 신분적 열세로 말미암아 현실의 부조리를 직시할 수 있었고 양심적 지식인으로서 왕도정치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당시로서는 선진적인 해외체험을 하였기에 선구적이며 비판적인 계층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컸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이들은 상층지향성이 강하였고, 현실에서는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가능성이 없었다. 그 결과 이들에게서는 양면적 의식과 문학 세계가 드러난다. 결국 이들은 의식 지평을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시키지는 못했으나 적어도 그 가능성을 열었던 것이고, 이는 18세기 후반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인다. 또한 서얼들은 이러한 신분 의식의 양면성과 개인적 교양을 결합시켜 조선 현실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켰다. ; In this thesis, 1 have surveyed the literary writings of Suh-uls in the fast-half of the 18th century. Literally Suh-ul (庶孼) only means a child born of a concubine. But under the law of Yi-Dynasty, concubine s children and their all descend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status of Suh-ul, and their rights were limited in many respects. So naturally their population and their discontents had all grown rapidly as time passed. From about the middle of the time of Yi-Dynasty, the governments had arranged some actions to mollify their anger. But those were lukewarm and had tuned back halfway at that. Therefore from the very end of 17th cen77y Suh-uls themselves had campaigned for the abolition of limits and barriers (通淸運動). At last in 1772, King Young-jo pronounced to eliminate the wall which had blocked up Suh-uls way. But discriminative treatments against Suh-uls actually had not been removed. I have wrung Suh-ul s literature in that time to a focus in this study. Especially centered around the literary works of Se-won Lee (李世愿), Yoo-han Shin (申維翰), Baek Kang (姜栢), and Do-soo Kim (金道洙), because no one except them had got a opportunity to publish his own literary works. The result of my investigation is as fellows; 1. They recognized the discordance between their high talent and low social position, therefore they were worried and discouraged. So they grouped together, devoting themselves to practicing literature. And created their proper literary works, distinguished from Yang-ban s (兩班文學) and Middle-class s (中人文學). 2. Their comments on literature were mixed out of two contrasting ideas, one inherited the literary spirits of classic writings of the Chin and Han Dynasty, another appreciated the style of the poetry of the Tang and Sung Dynasty. The former were literarily more realistic and more popular, the latter more idealistic. 3. Their literary works were also in ambitendency. These two tendencies are named in this thesis <Critical Approach to an Existing Life> and <Transcendental Attitude to the World> each other in this thesis. In the poetry showing the critical approach to an existing life, 1) the suffering life due to the class distinction, 2) the desire for an official career and its vanishing, 3) the accusation for the corrupted state of society, 4) the eagerness to sweep out social absurdity and the disappointment from not doing it, and 5) the longing for an free foreign states and the cultural pride of our mother country were poeticized. 4. In the poetry revealing transcendental attitude to the world, 1) the self-conceit for his born gifts and the self-sufficiency to the present, 2) the happiness and sad feeling in the Nature, 3) the enjoyment of a rural life, 4) the Taoist and Buddhist inclination, and 5) attempts to attain the stale of the Zennist were poeticized. 5. The ma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uh-uls Literature in the First-half of the 18th Century are 1) to enlarge the range of class appreciating literature by virtue of creating their proper literary works, 2) to have influence upon writers and philosophers of later ages, and 3) to take an deep interest in their nationality fast in the late Yi-Dynas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ll.18세기 서얼문사의 위상과 의식 -------------------------------- 15 A. 서얼문사의 형성과 위상 ------------------------------------------ 15 1. 서얼의 사회적 진출과 세력화 ------------------------------------ 15 2. 서얼문사의 전개와 현실적 위상 ---------------------------------- 21 B. 서얼문사 집단의 형성과 그 의식 ---------------------------------- 31 Ⅲ. 서얼 문학관의 두 계열 ------------------------------------------- 46 A. 시경 전통의 계승과 확대 ----------------------------------------- 46 1. 감흥에의 충실과 風刺 개념 중시 ------------------------------- 46 2. 託意 수법 애호와 수사 선호 ------------------------------------- 54 3. 紀俗에 대한 관심과 朝鮮詩 주장 --------------------------------- 60 B. 당·송시풍의 추구 ------------------------------------------------ 73 1. 장려한 우국정서의 표출 ----------------------------------------- 75 2. 創新한 시어의 추구 --------------------------------------------- 83 Ⅳ. 서얼 문학의 비판적 현실 대응 양상 ------------------------------- 91 A. 신분적 질곡의 형상화 -------------------------------------------- 91 1. 신분적 차별로 인한 고뇌 ---------------------------------------- 91 2. 벼슬에의 열망과 좌절 ------------------------------------------- 91 B. 사회 제도와 세태 비판 -------------------------------------------111 1. 부패한 현실과 타락한 세태 비판 ---------------------------------111 2. 匡正의 모색과 속수무책의 자괴감 --------------------------------132 C. 해외 체험의 표출 ------------------------------------------------142 1. 대안현실로서의 해외 동경과 사행 --------------------------------142 2. 문화적 자존 의식의 허실 ----------------------------------------153 V. 서얼 문학의 낭만적 현실 초월 양상 --------------------------------167 A. 孤高한 정신세계의 지향 ------------------------------------------167 1. 孤高한 천품에 대한 자부 ----------------------------------------167 2. 주어진 세계 속에서의 자족 --------------------------------------177 B. 이상세계로서의 산수와 자족 --------------------------------------185 1. 비감한 산수일락의 핍진한 모상 ----------------------------------185 2. 전원한거의 자긍한 생활 -----------------------------------------200 C. 도·불적 취향과 정서 ---------------------------------------------215 1. 정신적 위무처로서 도불적 세계 ----------------------------------218 2. 없음 과 비었음 의 경지 추구 ----------------------------------240 Ⅵ. 18세기 전반 서얼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250 Ⅶ. 결론 ------------------------------------------------------------266 <참고문헌> ----------------------------------------------------------277 <영문초록> ----------------------------------------------------------2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33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8세기 전반 서얼문학 연구 : 이세원, 신유한, 강백, 김도수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