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정화-
dc.creator유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06-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intends to evaluate Lowell who tried to revive "the memory of the dignity of human spirit," and survived the fierce struggle with life. The task is done by examining both the world of alienation and disunion against which Lowell had fought, and Lowell s traces of struggle for his survival as a person as well as a poet. American Poetry, which became stagnant after the 2nd World War, was given a new breakthrough by Lowell s attempts at various poetic forms and techniques. But in spite of the various transformation of his poetic forms, Lowell called his poems one poem , and thus implied that he treated one theme all through his poetic career. A great deal of critical efforts have been exerted to find out the theme which could illuminate all the poems of Lowell. But most of them are biased : some emphasize the religious poet Lowell, some the public poet, some the biographical confessional poet. I try to find out the theme which includes the various aspects of Lowell and assume "the survival in the land of unlikeness" as the overall theme of Lowell. The word, unlikeness, borrowed from Lowell s first work, Land of Unlikeness, is originally from Genesis 1:26, and it was cited from St. Bernard s writing by the poet. The land of unlikeness means a situation in which the human spirit has lost its identification with God s likeness and has been alienated from its own identity. The land of unlikeness expresses 1) the human being s degraded existence resulting from his alienation from God, 2) the fragmentation of human being s existence resulting from the loss of his essence and identity. In the Introduction, I make efforts to assert and just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theme as it fits in with Lowell s Christian view of man which may serve as an allegory of deteriorated America, Lowell s great subject and the geographical background of his poems at the same time. Lowell defined Americans spiritual site as the land of unlikeness and recorded the experiences of the world of spiritual alienation and degradation. Conscious of the human identity created in God s likeness and keeping memories of the dignity of the human spirit, Lowell made himself an exile from this world and struggled to stay unaffected by the evil powers of the world. He applied various strategies to survive : poem-writing, religious vision, examination of the self, and love and understanding. Of course, he had difficulties but he managed through with his survival by means of the very human and Christian virtues of understanding and love. Lord Weary s Castle represents American history of violence begun with the perverted religious ideal at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In such a world, Lowell struggled as a poet-prophet with the poetic vision to recover order, harmony and religious vision to save this fallen world. America s violent history is represented in terms of war, capitalistic greed, and the repetition of sins which corrupt humanity. Against these, Lowell s poetic and religious strategy was Catholic symbols and Catholic mysticism. But Catholicism conflicted with Lowell s innate religion, Puritan Calvinism. Not able to get over the Calvinistic disposition, Lowell s rebellion against America s religious deterioration remained imperfect. Life Studies, the land of unlikeness is found in modern man s sterile relations, the failure of the role plays, and the individual s mental disharmony. These situations are represented in a confessional mode with biographical materials. Especially since mental disruption is the manifestation of an extremely divided identity in an individual, Lowell tried a different strategy from the early one in order to search for ways leading from the disruption to the harmony of his identity. These new modes were biographical subjects, confessional forms, psychotheraphic methods, and the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prose as poetic writing. Life Studies contributed greatly to American poetry. At the same time it was a turning point for Lowell as he found his own voice and his own world. Life Studies satisfied the need of contemporary American poetry to find an alternative to the exhausted modern and New Critical modes of poetry. In For the Union Dead and Near the Ocean, Lowell went deeper into the psychology of the individual, investigated the world of the unconscious and the conscious, and examined the effects and determination of the impression of an experience. With his pol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atomic race between the sovereign countries and the tensions of Cold War, his acute awareness of the disruption of an individual made him more pessimistic about his struggle to save the world and to survive. But his severe agony itself was, paradoxically, an expression of his awareness of human spiritual dignity. At every step, Lowell achieved survival, even if tentative, and resolved life s basic problems one by one. In Day by Day, Lowell accepted old age, change, and even death and settled his ambivalent feelings of love and hatred toward his parents. He made an honest confession of his life in which he had always been in and out the delicate boundary between confession and concealment. He also accepted the achievement as well as the defects of his art. This study proves that the integrating theme of Lowell s poetry is "to survive in the land of unlikeness without losing the dignity of human spirit," and that this struggle to survive was based on Lowell s religious attitude to perceive human identity created in God s likeness. So this study can be said to open a new way of approach to Lowell s poetry which recognizes his religious point of view even in his late poems. This approach is meaningful in that it modifies the biased critical trends which asserted that Lowell gave up the religious theme after Lord Weary s Castle. ; 본 논문의 목적은 Robert Lowell의 시에서 다루는 "낯선 땅(land of unlikeness)"의 상황을 살피고, 이 세계와 치열하게 투쟁하고 살아남은 시인 Lowell의 모습을 연구하여, 이미 퇴색해버린 "인간 정신의 존엄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고자 한 그의 작업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2차 대전 이후 다양한 형식적 변화를 도모하여 당시 침체에 빠져있던 미국시에 새로운 방향과 활력을 찾아 준 Lowell은 자신의 시를 "단일한 시(one poem)"라고 함으로써 주제적 일관성을 시사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많은 비평적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주로 Lowell의 종교성, 사회 정치적 의식, 고백적 경향 중 하나에 치우치는 면이 있었다. 본 논문은 Lowell의 다양한 면모를 포함하면서도 치우치지 않는 주제를 낯선 땅에서 살아남기 로 설정하였다. Lowell의 첫 시집(Land of Unlikeness)의 제목에서 따온 "낯선 땅"은 창세기 1장 26절에 근거하며 St. Bernard의 글에서 빌려온 것으로서, 인간의 영혼이 신과의 동질성을 상실한 결과 인간이 창조된 본래의 모습으로부터 소외된 상황을 의미한다. 즉, "낯선 땅"은 첫째, 신과 유리된 인간들의 타락한 상황과 둘째, 본질과 정체성을 상실하여 분열된 개인의 상태를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서론에서는 이 주제가 Lowell의 종교적인 인간관 뿐 아니라 그의 주요 소재이자 시의 배경을 이루는 미국의 변질된 정체성에도 적합한 은유임을 밝힘으로써 본 논문이 제시한 주제의 근거와 타당성을 주장하는데 주력하였다. Lowell은 현대 미국의 정신적 주소를 낯선 땅(land of unlikeness)으로 설정하고 Lord Weary s Castle에서부터 Day by Day에 이르기까지 정신적으로 소외되고 분열된 세계의 경험을 기록하였다. 인간이 신의 모습을 따라 창조되었고, 인간의 정신이 존엄하다는 사실을 믿는 Lowell은 낯선 땅인 이 세계에 속하지 못한다. 그래서 그는 자신을 망명자·소외자의 위치에 놓고, 신으로부터 분리되어 타락한 이 세계의 모든 세력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는 투쟁을 한다. 그의 시는 이러한 투쟁을 담고 있다. 이 세계에서 존엄한 정신을 유지하며 생존하기 위해서 Lowell이 구사한 전략은 시쓰기·종교적 비전·자아탐구·사랑과 이해 등으로 나타난다. 그의 시는 매우 힘들고 회의적인 단계를 거치긴 하지만 결국은 인간적이며 기독교적 덕목인 이해와 사랑으로 분리와 소외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한 인간과 시인으로서 용기 있는 생존에 성공한 Lowell의 모습을 보여준다. 2장에서 다룬 Lord Weary s Castle에서 분리와 이탈의 상황은 미국 초기 종교의 왜곡으로 인한 폭력의 역사로 드러난다. 이 세계에서 Lowell은 깨어진 질서와 조화를 회복하려는 시적 비전과,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타락한 세계에 구원을 제시하는 종교적 비전을 지닌 예언자적 시인으로서 투쟁한다. 초기의 청교주의와 캘빈주의의 변질로 말미암아 원래의 종교적 이상으로부터 멀어진 미국의 폭력역사는 전쟁, 자본주의적 탐욕, 인간성을 타락시키는 죄의 반복으로 나타나고, 이와 대립하여 이 세계를 구원하고자 하는 시인의 시적 종교적 전략은 카톨릭교(카톨릭 상징, 카톨릭 신비주의)로 나타난다. 그러나 카톨릭교가 Lowell의 생래적인 종교인 청교도적 캘빈주의와 마찰을 빚으며, Lowell이 비난하는 캘빈주의의 성향을 Lowell 스스로가 뛰어넘지 못하는 한계를 보임으로써 미국의 종교적 타락에 대한 그의 거부는 미완으로 끝난다. 3장에서 다루는 Life Studies에서는 2장에서 목격한 서구의 형이상학적 문명의 와해와 종교의 타락에서 비롯된 현대인의 타락한 관계, 역할수행 실패, 개인의 정신적 분열 등이 낯선 땅의 상황으로 제시된다. 이 시집에서 Lowell은 자신의 정체성을 추구하고 자아의 분열을 화합으로 이끄는 길을 모색하는데, 이때 그는 초기 시와 완전한 결별을 선언하는 전혀 다른 양식 ― 자전적 소재, 고백적 형식, 정신치료적 방법론, 산문의 시어로서의 가능성 탐구 등 ― 을 취함으로써 오늘날 미국시의 고백적 전통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Life Studies는 Lowell과 전후 미국시에 일대의 전환을 마련한 시집으로 평가된다. Lowell은 이 작품을 통해서 과거의 형식주의와 신비평적 주류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목소리와 세계를 갖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당대 미국시가 절실히 요구하였던 삶의 경험으로 되돌아가는 돌파구를 제시한 것이기도 하였다. 4장의 For the Union Dead와 Near the Ocean에서 Lowell은 보다 더 깊은 인간의 내면세계로 들어가 경험의 인상이 갖는 영향력과 결정력 등 무의식과 의식의 세계를 고찰하고, 1960년대 핵무기 경쟁과 냉전의 긴장이 팽배한 세계 정황에 대한 정치적 의식을 표현한다. 인간의 본질적인 분리와 인류 멸종의 위기에 대한 첨예한 인식은 인생의 부조리와 고뇌를 체감케 하고 Lowell의 투쟁의 의지와 노력을 가장 미약하게 만든다. 그러나 회의적인 세계 속에서 Lowell이 고통받는 것은 역설적으로 인간 정신의 존엄함을 당위적으로 여기는 그의 인식의 반영이었다. 따라서 예술과 종교의 구원력에 대한 Lowell의 신뢰는 끊이지 않고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각 단계마다 잠정적인 살아남기에 성공하면서 인생의 본질적인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오던 Lowell은 Day by Day에서 인생의 근본적인 한계인 노년과 변화, 죽음의 문제까지 수용하고, Life Studies 이후 줄곧 그의 삶을 옭조이던 부모에 대한 애증의 감정을 정리한다. 늘 고백과 은닉의 미묘한 경계선을 오르내리던 Lowell 자신의 삶에 대한 솔직한 고백과 수용이 이 작품에서 이뤄지므로, 독자는 자기 예술세계의 허와 실을 조용히 인정하는 Lowell의 정리된 태도를 만나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 Lord Weary s Castle에서부터 Day by Day에 이르기까지 Lowell이 일관되게 다루고자 한 주제가 낯선 땅에서 존엄한 정신을 잃지 않고 살아남는 것이었고, 또 이러한 노력이 인간의 정체성을 신과의 관계 안에서 인식하는 Lowell의 종교적인 태도에 근거해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Lowell이 중기 이후 종교를 버렸다고 보는 기존 연구의 편파적인 경향을 수정하는 다른 시각을 제공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I. 머리말 ------------------------------------------------------------ 1 II. 완성되지 않은 반란 : Lord Weary s Castle ------------------------ 15 III. 실패한 인생들 사이에서 : Life Studies --------------------------- 59 IV. 끈질긴 고통의 굴레 : For the Union Dead, Near the Ocean ----------110 V. 여정의 끝 : Day by Day --------------------------------------------149 VI. 맺는말 -----------------------------------------------------------177 참고문헌 -------------------------------------------------------------182 영문초록 -------------------------------------------------------------1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056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Robert Lowell의 시 연구 : 낯선 땅에서 살아남기-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