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1960 - 70년대 한국희곡의 비사실주의적 전개 양상

Title
1960 - 70년대 한국희곡의 비사실주의적 전개 양상
Authors
정우숙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연구는 1960-70년대 한국의 비사실주의 희곡 중 텍스트의 완결성이 유지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실주의극으로부터 탈피하는 양상의 지형도를 제시함과 아울러 그 극화 방식의 유형별 특성을 추출해본 것이다. 그를 위해 본고에서는 그중의 중심인물과 그를 둘러싼 환경, 그 관계에서 비롯된 극화 방식의 신축성에 따라 존재론적 자아의 응축적 극화 , 사회적 자아의 확산적 극화 , 존재론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극적 다변화 라는 세틀을 논의의 큰 축으로 삼았다. 존재론적 자아의 응축적 극화 라는 개념으로 묶이는 작품들은, 사실주의극에서 기대되는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이 대폭 축소되거나 거의 무산되어 극중자아가 과도하게 전면에 부각되는 작품들이다. 이 유형의 극들은 거의 2인 주인공을 등장시키는데, 이는 살아있는 두 인물이라기보다 자아 속에 내재하는 기본적 대립상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무대는 특별히 모방하거나 재현할 만한 현실세계를 전제로 하지 않으며, 사건은 간략하게 축소된 채 내적으로 발단에서 절정을 거쳐 결말에 이른다. 사회적 자아의 확산적 극화 로 분류되는 작품들은, 일단 사실극에서 보던 것과 유사한 문제상황 속의 등장인물을 내세운다. 하지만 이 작품들은 환각주의를 차단시키기 위해 극의 흐름을 끊으며 삽입 장면들이나 서사적 화자들을 내세움으로써, 사실극의 구속으로부터 확실하게 벗어난다. 70년대 한국희곡의 주요 특징으로 꼽히는 알레고리극들이 서사적 화자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 또한 눈길을 끈다 이 유형의 희곡들은 자연스럽게 장면의 잦은 분할과 무대공간의 확대를 요구하게 되고, 사실극이 고전주의극으로부터 물려받았던 극적 통일성의 원리를 자유롭게 거부하게 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대별되는 특징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작품군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존재론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극적 다변화 로 이름붙일 수 있다. 이들 작품은 앞의 두 경우에 비해 더욱 미묘하고 다채로운 방식으로 사실주의극의 한계를 벗어난다. 겉으로는 사실극다운 전개과정을 밟되 잠재적 자아에 주목하여, 합리적 전개방식으로는 현대인의 광기나 분열상을 밝혀낼 수 없다는 주제의식에 이르는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단조로운 우화극 형태에 당대 정치상황에 대한 비판과 보편적 실존 상황에의 관념을 함께 용해시킨 예도 있다. 또 사회적 관심사와 보편적 인생사로 대비되는 두 개의 이질적 허구를 병치시킴으로써 극의 주제나 스타일이 있어 의도적 이중성을 조장하는 작품들도 있다. 그리고 끝으로 한국현대희곡사의 독보적 존재로 취급되는 최인훈의 시적 희곡들을 이 부분에 해당하는 또 하나의 경우로 삼을 수 있다. 침묵의 언어로 대변되는 자아의 내면, 설화적 틀에 변용되어 담긴 억압받는 민중의 현실 등 이질적 주제의식이 표나지 않게 하나로 융합되어 있으며, 그 장치는 각종 연극적 기교들로 이뤄져 있다. 이 경우의 작품들은 극중 융합되어 있으며, 그 장치는 각종 연극적 기교들로 이뤄져 있다. 이 경우의 작품들은 극중 개인의 내적, 외적 특징에 모두 관심을 갖는다는 점, 그로부터 주제의식의 양변성을 드러낸다는 점, 그리하여 극화 방식의 의외성을 드러낸다는 점 등을 공통점으로 갖는다. 1960-70년대 한국의 비사실주의 희곡들은, 사실주의극이 지닌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연시의 다양한 효과를 예비하였을 뿐 아니라, 그 기법상의 자유가 주제의 확대와 동시에 이루어졌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들 작품은 195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비사실주의 희곡의 연장선상에서 그 변화의 맥을 형성, 정착시킴으로써 1980년대 이후 일반화되는 탈사실극적 경항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Korean drama between 1960s and 1970s, which show a tendency toward anti-realism and self-completion of dramatext. This thesis presents various forms and spectrums of anti-realistic drama, and typical characteristics of drama heading for literariness and theatrical effects. There are three important types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y are the condensed dramaturgy for ontological ego, the expanding dramaturgy for the social ago, the dramatic diversification for ontological and social ego. 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main characters on the stage, environment around them , and elasticity of dramaturgy. If we say that realistic drama shows the act of individual in society completely though orthodox methods of dramatic framework, these three types are heading toward anti-realism by denying the special part of the required conditions. The plays, classified to the condensed dramaturgy for ontological ego, bring the self of the drama on the fore excessively by mean of weakening or getting rid of the conflicts between self and society in the realistic drama, In these plays , there are almost two heros entering the stage who are not living character but have a basic confrontation from inner self in common. Also, the stage has no realistic society to imitate or revive, and the event, reduced briefly, come to a conclusion after reaching the climax innerly from the origin. The plays, belonging to the expanding dramaturgy for the social ego, bring the characters to the similar situation as we see in the realistic drama. But these plays get out of surely the bondage of realistic drama through cutting the stream of drama for the purpose of blocking an illusionism and presenting an inserted setting or epic narraters. It is natural that this sort of drama demand the frequent division of scene and an enlargement of stage-space as well as it refuses the principle of dramatic unification that realistic darama has inherited from classical drama. However, there is another kind of plays we can t explain by above two sorts of plays, it is called the dramatic diversification for ontological and social ego. This sort of plays gets out of the limitation of realistic drama through more delicate and diverse methods than above two cases. First, there are some plays having the same process as the realistics drama in appearance but noticing the potential ego and reaching the motif that can not explain the insanity and the split consciousness of the moderns in a rational process of logic. Next, some plays show both the criticism about current political circumstances and the idea of universal through the forms of a dull allegoric drama. Futhermore, there are another plays which promote intentional dualism in the theme and style of drama by putting two different fiction, that are social interest and general history of life, side by side. Finally, there s Choi In Hoon s poetical drama who hold a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rama. In his plays, such heterogeneous themes as the inside of ago depicted by one in the fable style, fuse into one unnoticealbly by means of various kinds of theatrical technics. In the dramatic diversification for ontological and social ego, these plays have a common feature as having a interest in inner and outer peculiarity of character on the stage, and thus rpresenting both sides of theme and an unexpected result of dramaturgy. Anti-realistic drama between 1960s and 1970s overcomes the expressional limitation in realistic drama and provides for a lot of effects when it is staged. At the same time, these plays present the freedom in technics and the enlargement of themes. On the other hand, these plays succeed to anti-realistic experimental drama in 1950s and build up the foundation of anyi-realistics tendency which is more popularized since 1980 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