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9 Download: 0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Title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Authors
김지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가치관이 어머니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자녀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아,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과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파악하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매개 또는 중재의 역할을 하는지의 문제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 17개 학급의 5학년 남, 녀 아동 500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및 같은 학급의 또래들이었다. 1995년 10월-12월 사이에 어머니에게는 전통-근대 가치관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아동에게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관한 설문지와 같은 반 친구들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평정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또한 교사들에게는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교사평정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안한 것으로 ‘가족주의적 집합주의’와 ‘인본주의 및 예의범절 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한편 어머니의 양육행동 측정도구는 Baumrind(1973;Baumrind & Black, 1967)의 세 가지 양육차원인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을 근거로 하고 박성연,이숙(1989)의 양육행동 척도를 참고로 하여 애정,합리적 척도, 권위주의적 통제 및 허용의 세 가지 양육행동 유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행동으로는 어머니의 전통적 가치관과 양육행동에 의해서 밀접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정되는 긍정적 사회적 행동으로서의 친사회적 행동, 통솔력, 도덕적 행동과 부정적 사회적 행동으로서의 공격, 방해 행동 및 수줍음의 5가지 하위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은 애정,합리성 척도와 권위주의적 통제의 양육행동에 대하여 각각 정적으로 상관되어 전통적 가치관이 양육행동에 긍정적인 영향과 동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가치관은 아동의 성에 따라 상관없이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전통적 성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는 거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사회적 행동은 아동의 성과 부모의 교육수준의 영향력에 따른 차이를 보여,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행동, 통솔력, 도덕적 행동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고 공격, 방해 행동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받은 반면 수줍음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은 가정의 아동이 친사회적 행동, 통솔력 및 도덕적 행동의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 점수 역시 높았고 공격,방해행동, 수줍음의 부정적인 행동점수는 낮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부분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서 애정, 합리적 지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통솔력 및 도덕적 행동점수가 높은 반면 공격,방해행동과 수줍음의 점수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아동이 권위주의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친사회적 행동, 통솔력 및 도덕적 행동점수과 수줍음의 점수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아동의 성과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차이가 나타나 남아는 여아보다 권위주의적 통제를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애적, 합리적 지도를 높게, 권위주의적 통제를 낮게 지각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행동점수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간에 매개 또는 중재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완전한 매개역할을 하지는 않았으나 어머니의 전통적 가치관이 어느 정도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양육행동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전통적 가치관은 미약하지만 양육행동을 중재로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행동점수과 양육행동, 아동의 성 및 부모의 교육수준의 상대적인 양향력을 검증한 결과 아동의 성과 아버지의 교육수준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전통적 가치관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재조명해 본 점에서 새로운 시도이며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긍정적 측면에서의 전통적 가치관에 대해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and child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hypothesis proposed by Kohn(1959;1979) that the differences in values are related to social class while parenting values are associated with parenting preactices. In addition to this hypothesis, this study assumed that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would be related to the social behavior of the child. The subjects were 500 5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their mothers, 17 of their teachers and peers in same classroom. Data were gathered using questionaires on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responsed by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s rated teachers as well as peers.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ere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 F-test, Duncan’ multiple range test, preason’s r, path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focused on the familial collectivism and politeness. The measure of perceived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consisted of affection, rational guidance, authoritarian control and permissiveness. And the measure of children’s social behaviors consisted of prosocial behavior, aggressive, disruptive behavior, leadership, moral behavior and shynes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The mothers who showed higher traditional-modern values were apt to belong to lower parental education level regardless of children’s sex. And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maternal affection, rational guidance and authoritarian control. 2.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there were sex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behavior. That is, boys have shown higher scores on negative behavior such as aggressive, disruptive behavior whereas girls have shown higher scores on positive behavior such as prosocial leadership and moral behavior. 3.the higher maternal affection, rational guidance scores were, the higher positive social behaviors scores were found in children. And boys perceived their mothers as more authoritarian than girls.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in maternal affection, rational guidance and authoritarian control. 4.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did not directly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behaviors but had shown indirect moderating effect through the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5.the children’s sex and fathers’ education level had relatively significantly effect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than the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and childrearing behavior.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modern value on childrearing behavior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