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문희-
dc.creator강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6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57-
dc.description.abstractHumor is one of the important ways of communication in our everyday life. Since appreciating a humor is a comprehensive process including such aspects as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it can be utilized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understand children’s behavior. The present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age children’s humor,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interactions among personal factors such as sex and age, contents of humor and social situations. For the first purpose, humor booklets were utilized. The booklets were filled up by 1,071 2nd, 4th, and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The humor item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alytic schemes which consisted of three major humor themes such as taboo aggression and sophistication. For each humor themes, four to seventeen subthemes were utilized. Cross tabulations, correlation coefficients, Chi Squares and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o achiev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humor stimuli including 12 pairs of drawings accompanied by an explanatory story were constructed. The 12 pairs of drawings were presented to 310 2nd, 4th, and 6th grade children individual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social situation groups. Group 1 was social facilitation group where the experimenter showed to the children such behaviors as smiling, eye-contact, and friendliness, whereas Group 2 was non-facilitation group where the experimenter did not show any intimated behavior. Thre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ut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survey and the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1) Sex differences were found significant i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umor expressed by children. Humor themes related to taboo and to aggression toward both adults and children were expressed more frequently by girls than by boys. 2)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is study. While humor topics related to taboo were most frequently expressed by 4th grade children, humors on aggression, sophistication and word plays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got higher. 3) Other personal factors such as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and types of parents’ job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humor characteristics. 4) Factor analysis yielded five factors. Those were riddles, aggressiveness, funniness, word play and jargons. 5)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experimental part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rating scores of humor appreciation and level of humor response. That is lower grade children showed higher appreciation scores and response levels than children in higher grade. 6) The situation of presenting humor stimuli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humor response levels. That is, children under socially facilitating situation showed higher level of response than the counterparts under non-facilitating situation. 7) When the contents of humor stimuli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adult-aggression type vs. homesex-aggression type, it was found that both boys and girls showed higher humor appreciation scores and higher levels of humor response on the drawings concerning adult-aggression type of humor. While boys seemed to enjoy heterosex aggression type of humor more than homosex-aggression ones, girls revealed a rather ambivalent attitude towards preferring either homosex-or heterosex-aggression type of humor. 8)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ome of the variables measured by “Home Environment Diagnostic Rating Scale” and humor ratings. That is, the degree of parents’ permissive attitude towards their children and the degree of intimacy among family members reveale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humor appreciation scores and levels of responsiveness to humor stimuli. The above-mentioned findings were interpreted and discussed in terms of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vious research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rther study. ; 유우머는 인간의 중요한 意思疏通 方法중의 하나이다. 유우머를 이해하고 즐기는 데에는 認知的 側面뿐만이 아니고 情緖的, 身體的 側面도 包含되는 包括的인 과정으로 유우머는 兒童의 行動을 이해하는 중요한 道具가 될 수 있다. 本 硏究는 유우머를 통해서 兒童을 理解하려는 시도로서 두가지 目的을 가진다. 첫째는 現在 우리나라 兒童들이 즐기고 있는 유우머의 일반작인 種類와 그 特徵을 밝히고, 유우머를 구성하고 있는 基本要因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둘째는 兒童의 個人的 特性과 유우머 提示狀況 및 유우머 內容間의 相互作用을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첫번째 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민학교 兒童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기는 유우머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유우머는 本 硏究에서 제작한 유우머 分析體制에 의하여 그 內容이 分析되었으며 그 分析 結果는 兒童의 性, 學年, 居住地, 兄弟의 數, 出生順位, 父母의 職業등과 같은 個人的 特性에 따라 差의 意義度 검증을 하였다. 또한 兒童이 선호한 유우머의 내용유목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목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우머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요인을 규명하고저 요인분석을 하였다. 두번째의 目的을 위하여는 위의 조사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여 유우머 내용중의 하나인 攻擊的인 內容을 선택하여 공격적 내용의 유우머가 담긴 24장의 그림카드를 제작하였다. 이 그림 카드는 父-子, 母-子 男兒-女兒, 敎師-學生 關係의 內容이 諧謔的인 필치로 전문가에 의해 그려졌다. 硏究 對象者는 서울 소재 국민학교 2,4,6學年 男·女 兒童 310名(男 172名, 女 138名)으로서 이들은 本 硏究의 目的에 따라 同調 對 非同調的 集團으로 나뉘어져서 個別的으로 각 자극 카드를 제시받았다. 兒童의 家庭環境을 알기 위하여는 「家庭環境 診斷 尺度」가 실시되었다. 本 硏究에서 얻어진 結論은 다음과 같다. 1. 全般的으로 볼 때 調査硏究에서 나타난 兒童이 즐기는 유우머는 다음의 세가지 主題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즉, 性, 大·小便, 사랑과 같은 禁忌的 主題의 유우머, 成人 또는 兒童에 대한 攻擊的 內容의 유우머 및 流行 씨리즈, 말장난, 수수께끼등과 같은 궤변적인 內容의 유우머였다. 2. 兒童이 즐기는 유우머는 種類에는 性差가 있었다. 女兒는 男兒보다 性, 大·小便에 대한 유우머와 成人및 兒童에 대한 非 言語的 攻擊의 유우머를 더 많이 적어내고 있음이 밝혀졌다. 3. 兒童의 學年에 따른 差異도 있었는데 禁忌의 主題는 4學年 때 가장 많이 즐기고 있었으며, 攻擊的 유우머와 궤변적 유우머는 學年이 올라감에 따라 차츰 증가하고 있었다. 4. 兒童의 居住地에 따른 유우머의 內容과 種類에도 差異가 나타났다. 大都市 居住 兒童은 攻擊的인 유우머를 다른 곳의 兒童보다 더 즐기는 반면에, 邑·面居住 兒童은 大·小便이나 수수께끼를 재미있는 것으로 더 많이 표현하고 있었다. 5. 그 밖에 兒童의 兄弟의 數나 出生順位, 父母의 職業등은 兒童의 유우머 選好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6. 요인분석 결과 <수수께끼>요인, <공격적 내용>요인, <말장난>요인, <익살스러운 내용>요인 및 <유행어>요인이 가장 基本的인 유우머 요인으로 밝혀졌다. 7. 實驗硏究 結果에 의하면 유우머 자극에 대한 兒童의 感知度値와 反應度値는 兒童의 學年에 따라 差異가 있었는데, 즉 下級學年 兒童이 上級學年 兒童보다 전반적으로 유우머 感知度와 反應度値가 더 높았다. 8. 유우머 刺戟의 提示狀況은 兒童의 유우머 反應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兒童은 全般的으로 非同調的 狀況에서보다 同調的인 狀況에서 더 높은 反應度를 보여주고 있었는데 특히 女兒가 男兒보다, 低學年이 高學年보다 同調的 狀況에서 더 높은 反應度値를 보여 주었다. 9. 유우머 內容에 따른 分析을 시도해 본 결과, 男·女兒童은 다 같이 成人 攻擊型의 內容을 兒童 攻擊型보다 더 즐기고 있었다. 그러나 男兒는 異性 攻擊型을 同性 攻擊型보다 더 즐기고 있는 반면에, 女兒는 불분명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어서 대조를 이루었다. 10. 兒童의 家庭環境 變因과 유우머 感知 및 反應度値間의 相關을 分析한 결과, 父母의 許 容的 態度와 父母-子女間의 和睦度는 兒童의 유우머 感知 및 反應度値와 負的인 相關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結果는 兒童의 認知와 同一視 發達過程 및 社會文化的인 次元에서 論議되었다. 앞으로의 硏究를 위하여 實驗狀況 통제와 유우머 刺戟 內容選定의 問題點이 지적되었으며 앞으로의 硏究 方向을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xi I. 緖論 -------------------------------------------------------------- 1 A. 問題의 提起 ------------------------------------------------------ 1 B. 硏究의 目的 ------------------------------------------------------ 4 II. 理論的 背景 ------------------------------------------------------ 5 A. 유우머의 槪念 ---------------------------------------------------- 5 B. 유우머의 理論 ---------------------------------------------------- 6 C. 關聯硏究의 槪觀 -------------------------------------------------- 11 III. 硏究의 問題 및 假說 --------------------------------------------- 25 IV. 硏究方法 --------------------------------------------------------- 28 A. 調査硏究 --------------------------------------------------------- 28 B. 實驗硏究 --------------------------------------------------------- 34 V. 結果 및 解釋 ------------------------------------------------------ 38 A. 兒童 유우머의 種類와 特徵 ---------------------------------------- 38 B. 兒童 유우머의 內容構造 ------------------------------------------- 45 C. 兒童의 個人的 特性과 유우머 刺戟 --------------------------------- 50 D. 유우머 刺戟의 提示狀況 ------------------------------------------- 54 E. 유우머의 內容과 兒童의 유우머 感知 및 反應과의 관계 -------------- 57 VI. 論議 및 結論 ----------------------------------------------------- 69 A. 論議 ------------------------------------------------------------- 69 B. 結論 ------------------------------------------------------------- 73 C. 남은 問題 -------------------------------------------------------- 76 參考文獻 ------------------------------------------------------------- 79 英文抄錄 ------------------------------------------------------------- 85 附錄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69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아동의 유우머 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