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영주-
dc.creator문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형식과 속도가 시청 유아와 아동들의 注意와 理解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텔레비전이 가지는 외형적 속성인 형식적 특징(formal feature)들 가운데 제작 형식과 전개속도가 각기 다른 매거진 형식의 유아프로그램에 대한 주의와 이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제작형식 변인은 實寫제작형식(라이브) 과 動畵제작형식(애니메이션)으로 구분하고 전개속도 변인은 低速과 高速으로 분류하여, 각 변인들의 조건을 조합한 4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실험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36명으로 4세 유아 76명, 6세 유아 80명과 초등학교 2학년 (8세) 아동 80명이었다. 시청 유아와 아동들이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율은 시청바능을 비디오 카메라도 녹화한 후 녹화 테이프를 분석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프로그램 시청 후 시청 내용에 대한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발달 능력 가운데 언어 능력과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 및 이해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전에 언어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제작 형식에 따른 주의율과 이해도 분석 결과, 라이브 형식보다 애니메이션 형식에 대하여 주의율과 이해도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애니메이션 형식이 어린 시청자들에게 효과적인 제작형식이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 속도에 따른 분석 결과, 속도에 따른 주의율의 차이는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해도는 고속보다 저속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의미 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저속-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상 연령 모두 높은 주의율과 이해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빠른 속도 처리가 어린 시청자 들의 주의를 끌기에 충분한 조건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하며, 유아와 아동은 느린 속도의 프로그램이라 해도 전달 내용이나 기타 다른 요인들에 따라 자신의 주의를 결정하고 이해 또한 잘하는 능동적인 시청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언어이해력 점수를 통제한 후 텔레비전 주의율과 내용 이해도 간의 부분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유의미한 수준에서 正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이해력은 주의율과는 負的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텔레비전 내용 이해도와는 正的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와 내용이해가 서로 밀접한 상관이 있으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형식적 특징들 외에 시청 유아와 아동의 언어 능력을 포함한 기타 발달적 능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연령에 따른 주의율과 이해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낮아질수록 주의율은 높아진 반면 이해도는 떨어졌고, 8세 이동의 경우는 주의율은 가장 낮았으나 이해도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세와 6세간의 차이는 의미가 없었으나 4세와 8세간, 6세와 8세간의 차이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실험에 사용한 프로그램이 유아 대사인 점을 고려 할 때 초등학교 아동의 발달이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와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시청 대상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기획과 제작이 그들의 주의를 유도하고 이해를 돕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텔레비전 유아와 아동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현실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애니메이션 향식은 유아와 아동의 주의와 이해를 돕는데 효과적인 형식이다. 따라서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는 애니메이션은 유아와 아동교육에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개발과 교육적 활용이 요구된다. 둘째, 텔레비전 교육프로그램에서 유아와 아동의 주의를 끌기 위한 빠른 속도 처리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상식과는 정반대의 결과이다. 광고나 쇼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청시간이 길고 처리해야 할 정보의 부담이 큰 교육프로그램에서는 전개 속도의 빠른 변화는 저속 프로그램에 비해 어린 시청자들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끌어 들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저속처리는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진행 속도는 시청 유아 또는 아동의 주의와 이해를 함께 도울 수 있는 방식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어린 시청자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와 이해는 언어 발달을 비롯한 인지 능력, 사전 지식이나 경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언어 이해력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주의 및 이해와 상관이 있으므로, 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의 세심한 언어적 처리가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역동적으로 두드러진 형식적 특징들의 사용은 시청 유아와 아동의 주의를 끌기 위해 필요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아와 아동 대상 프로그램, 특히 교육적이거나 정보적인 프로그램의 경우는 단순히 그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텔레비전의 형식적 특징을 이용하기 보다는 유아와 아동 스스로 텔레비전 내용을 처리하고 이해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징들을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대상을 명세화한 프로그램의 기획과 제작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This study examined young children’s attention and comprehension when viewing television programs designed for them. The television programs varied in format (live vs. animated) and pace (low vs. high).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al change of their attention and comprehension and reviewed the relationship of attention to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The final goals of this study were to do basic research on young children’s attention and comprehension related to television programs and to discover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duction of young children’s television programs in Korea. The subjective were 236 children who were 76 four-year olds and 80 six-year old attending kindergarten and 80 eight-year old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Four kinds of young children’s television programs combined with format (live vs. animated) and pace (low vs. high) were selected to be viewed by the subjects. Only magazine-style (low continuity) progra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Each lasted about 15 minutes. Their comprehension was tested immediately after they finished viewing programs. The children’s attention as they watched the programs was captured on home video cameras and was then analyzed by a computer program developed for that purpose.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was assesed before they viewed the television programs in order to analyze how much it correlated with attention and with comprehens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attention and compreh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viewing animation than live programs. Second, children’s attention did not differ between low-paced and high-paced programs but their comprehension was significantly better at low-paced than high-paced programs. They especially showed the highest attention to and the vest comprehension of low-paced animated programs. 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attention and comprehension after language comprehension was controlled. Childre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comprehension was controlled. Childre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comprehension and attention to television b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comprehension and comprehension of television content. Fourth, Younger children were more attentive to television but comprehended less the contents than older children. The oldest showed the lowest attention but the best comprehension.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gramming for young children’s television programs as follows: First, animation is the superior format to help young children’s attention and comprehension. Animation which includes proper contents for young children will be more effective. So there is need to invest and to develop animation more actively and to utilize animation for effectiv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n Korea. Second, the high pace does not enhance attention and may interfere with comprehension. Children comprehended more effectively what they viewed low pace programs. Thus, the pace of television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help both young children’s attention and comprehension. Third, since language comprehension is correlated with attention to and with comprehension of television programs, the languag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re designed and produced.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specify the target audiences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al level, and use should be made of the explicit formal features of televi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ⅱ 그림목차 -------------------------------------------------------------- ⅴ 논문개요 -------------------------------------------------------------- ⅵ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6 1. 텔레비전 시청연구 ------------------------------------------------- 6 1) 심리학 분야에서의 텔레비전 시청 연구 ----------------------------- 6 2) 매스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텔레비전 시청 연구 ------------------- 8 2. 텔레비전에 대한 주의와 내용이해 ----------------------------------- 11 1) 주의와 이해 ------------------------------------------------------ 11 2) 텔레비전의 형식적 특징 ------------------------------------------- 18 3) 텔레비전에 대한 주의와 텔레비전 내용이해 ------------------------- 24 III. 연구방법 --------------------------------------------------------- 33 IV. 결과 -------------------------------------------------------------- 54 1. 결과요약 ---------------------------------------------------------- 92 2. 논의 -------------------------------------------------------------- 95 3. 제언 --------------------------------------------------------------110 참고문헌 --------------------------------------------------------------112 부록 ------------------------------------------------------------------118 영문초록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382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형식과 속도가 유아와 아동의 주의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