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Title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Authors
주영희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은 인지발달과의 밀접한 관계가 강조되고 유아교육의 수단이며 목적인 언어기능이 중시됨에 따라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에 가장 필요한 것이 그 모델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준 또는 지침이라고 보고, 이 기준을 이론적 타당성과 실제적 근거에서 찾아 보았다. 이론적 근거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기존 프로그램에서 찾아 보았고, 실제적 근거는 선정된 유아들의 언어능력을 측정, 분석한 결과와 교사 언어형태의 분석 결과에 의존하였다. 연구에 참여된 유아는 서울시 소재의 유치원, 유아원, 어린이집에 다니는 4~6세의 남녀 아동 312명이었다. 대상 유아에게 실시한 검사 도구는 본 연구에서 제작한 x언어 및 사고능력 검사x로서 네가지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지각에 기초한 기능, 분석적 기능, 종합적 기능, 추리적 기능이 그 영역이다. 검사는 모두 80개 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예비검사를 거쳐 수정되었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측정하여 최종 확정된 후 실시되었다. 검사는 유아와의 개별 면접식으로 수행되었고,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유아의 전체적 언어능력 수준과 독립변인에 다른 언어능력 및 언어반응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측면에서 통계 처리되었다. 검사결과와 이론적 배경에서 채택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고x인지발달을 목적으로 하며,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교구를 통한 학급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활동은 하루에 한가지씩 180가지로 1년간 계속되며, 한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25~30분이다. 이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지침은 아래와 같다. 1. 유아의 연령, 가정의 사회x경제적 수준 및 지능은 유아의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2. 유아의 언어 성취 수준은 지각에 기초한 기능에서 제일 높고, 다음으로 분석적 기능, 종합적 기능, 추리적 기능의 순서로 나타난다. 3. 검사에 대한 유아의 언어반응 유형에 있어서는 연령, 가정의 사회x경제적 수준 및 지능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4. 교사들은 질문식 언어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종결식 질문을 많이 한다. 5. 지역적 환경 조건이 좋은 유치원의 교사는 개방식 질문, 칭찬, 자연스러운 지도법, 전체 유아의 사고 교환을 중시하는 정보탐색 교수법을 사용한다. 6. 지역적 환경이 좋지 않은 유치원의 교사는 종결식 질문, 설명식 언어, 비난, 주의환기의 언어를 많이 사용한다. ; This is an exploitory study in children’s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and teacher’s language styles as a basis for construction of a program model for preschool children. Guidelines for the model were established with the use of a language test consisting of a 4 sub-categories; perceptive, analytic, synthetic, and reasoning skills. This test, constructed for the present study, was administered to the 312 four-, five-, and six-year-old kindergaten children. Cross tabulati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hi Squares revealed that age, socio-economic status and IQ of the children were the correlated variables with language achievement and response modes. Children performed best on language skills based on perception, followed by analytic, synthetic, and reasoning skills in descending order. Next, teacher’s language styles in the discussion period were analyzed for teaching strategies. It was found that teachers used questioning most and that teachers in the high socio-econimic status kindergarten used open-ended questions, verbal rewards, natural methods of language teaching, and probe questions.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the low socio-economic status used close-ended questions, didactic methods, accusations, and attention arousal methods. A model program was then devised based on children’s language skills and thinking abilities. Plans were made for visual, andio and tactual educational materials for 180 preschool activities each designed for 25 to 30 minute du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