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3 Download: 0

한국 현대시의 패러디 구조 연구

Title
한국 현대시의 패러디 구조 연구
Authors
정끝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에 나타나는 패러디의 전개 양상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새로운 구조원리로서의 패러디 시학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둔다. 패러디는 ‘초문맥성을 지닌 축자적 인용’이나 ‘선행 텍스트에 대한 최소한의 변형’이라는 광의의 개념에서부터, ‘풍자적 동기를 가진 희극적 모방인용’이라는 협소한 개념에 이르기 까지 논자에 따라 자의적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난립상을 정리하고 패러디의 제반 양상에 실제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선행의 기성품을 계승·비판·재조합 함으로써 재맥락화한recontextualizong하는 구조적 모방인용’ 이라는 패러디에 대한 확대된 정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만으로 패러디는 단순한 영향·모방, 표절과 변별되기 어려운 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좀더 실제적인 패러디의 조건으로, 독자가 패러다임을 지각할 수 있는 ‘원텍스트의 전경화 장치’, 패러디 텍스트 창작당시의 원텍스트에 대한 ‘시적 문맥과 사회적 공인도’, 원텍스트와의 ‘대화성’, 원텍스트에 대한 ‘기대전환’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체계는 일차적으로 ‘원텍스트가 어떤 범주에 속하는가’에 따라 전통장르·서구문학·비문학장으·현대시라는 기본 층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원텍스트에 대한 페러디스트의 태도’에 의해, 원텍스트에 호감을 가지고 계승하는 제 1유형 (모방적 패러디)과 원텍스트를 과감히 발췌·조합하는 제 3유형 (혼성 모방적 패러디)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패러디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독자에게 전달되는 소통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휘되는 패러디의 다양한 기능과 효과를 원텍스트와 비교·대조하면서 면밀히 고찰하였다. 한 시인의 내면에 축적된 전통문화가 시창작에 어떻게 전경화되는가라는 관점에서 파악해본 전통장르 패러디는, 민요의 율격과 양식적 특성을 계승적으로 차용하고 있는 김소월, 개성적인 口演의 화법으로 구비설화와 문헌설화를 재해석하고 있는 서정주, 판소리나 탈춤의 광대 辭設을 차용하여 새로운 시양식을 시도한 김지하의 작품들을 통해 각 유형의 실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패러디는 과거와 현재를 접맥시킴으로써 우리 시가의 시적 연속성을 획득하도록 한다. 민요·설화·판소리와 같은 장르 차원에서 패러디 되는 경우가 많고 원텍스트 자체가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이 이 범주의 특성이다. ‘언어를 달리하는’ 그 문화에 대한 애정과 비판의식을 보여주고 있는 서구문학 패러디는 국가와 국가, 민족과, 민족, 그 문화에 대한 애정과 비판의식을 보여주고 있는 서구문학 패러디는 국가와 국가, 민족과 민족의 문화와 문화 간의 대화라는 점에 서 문학의 유동성에 대한 믿음을 확인시켜 준다. 김기림을 중심으로 살펴본 제 1유형은 영향관계로 특징지워지는 서구문학의 초기 수용상을 반영하고 있다. 제2유형은 김수영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는데 원택스트의 부분에 대한 재해석을, 그리고 황지우와 오규원을 중심으로 살펴본 제 3유형은 원텍스트의 아이러닉한 복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비문학장르 패러디는 매체를 달리하는 타장르가 시의 형태·구조·기교·의미면에서 독특한 미적 특질을 형성하게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수학을 차용하고 있는 李箱과, 화확을 차용하고 있는 김춘수, 대중매체 전반을 차용하고 있는 황지우와 오규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미 범주의 패러디는 1·2·3유형의 전개과정으로 서술하지 않았다.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기 위해 각 유형마다 다른 장르를 다루고자 한 본고의 의도, 시에 차용되는 과정에서 굴절될 수 밖에 없는 매체의 상이성, 이이라는 선구적 존재 때문이다. 현대시를 대상으로 한 패러디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동시대의 선행시가 또 다른 시의 창조적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패러디의 속성상 유명한 작품이나 인기있는 작품일수록 패러디되기 쉬운 경향이 있는데, 현대시사를 대표하는 김소월·정지용·김수영·신동엽·김춘수·박두진과 같은 시인들의 텍스트들은 후배 시인들의 패러디 표적이 되고있다. 현대시사에서 패러디는 제 1 유형에서 제 3 유형으로 전개되는 특징이 있다. 제 1유형의 패러디 군은 3·1운동과 문화적책을 시대적 기반으로 많은 분포를 보인다. 전반적으로 패러디의 전경화 장치가 내재되어 있는데, 이는 패러디 전경화 장치에 대한 인식이 미약했기 때문이다. 계승과 수용의 자세로 새로운 현대시를 정립시키려는 시대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4·19를 전후도 선보이기 시작한 제 2유형의 패러디군들은 전경화장치가 외재화되기 시작하고 시인의 패러디에 대한 인식도 분명해진다. 원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의 정도도 강해진다. 패러디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물론 패러디스트의 동기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원텍스트에 대한 비찬적 재해석의 강도도 높다. 80년대 이후에 등장한 2 3유형의 패러디 군은 놀라운 파급력을 갖고 있는데, 첨예했던 이데올로기적 대립 구도가 와해되는 시대적 분위기를 배경으로 한다. 원텍스트를 그대로 발췌하고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패러디의 전경화 장치가 없을 경우 표절이나 도용과의 경계가 모호해 질 수도 있다. 이와같은 패러디의 전개 양상은 방법적으로 다양해진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각 유형은 동태적 전개과정을 암시할 뿐 발전적 진화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 문학 창작의 근본적인 전체였던 ‘현실모방성’과 ‘창조성’, 이 두 신화로부터 창작자를 자유롭게 해준다는 점에서 패러디의 근본적인 의의는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용자이면서 창작가인 패러디스트와 또 다른 수용자이면서 해독자인 독자에 의해 이루어 지는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과정은, ‘소통’으로서의 문학사 기술에 유효한 관점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의의 속에서 패러디를 가장 패러디답게 하는 본질적 요소와 동기는 시대마다 다르게 찾아져야 하고, 패러디의 창작원리 또한 새롭게 모색되어야 한다. 그 모색 과정에서 패러디 텍스트로서 간직해야 할 기본 조건이 있는데, 그것은 원텍스트와 구별되는 새로운 점을 지녀야만 한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새로움은 반드시 패러디의 현실적 동기와 패러디 텍스트의 성공적인 미적 가치의 구현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 This study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parodic poetics as a new structural principl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t the modes of development of parod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From the broad concept of “literal quotation with transcontextuality” or “minimal transformation of preceent text” to the limited concept of “comic imitative quotation with satirical motivation”, parody has been defined arbitrarily according to each writer, Thus, in order to clarify such confusion and to approach these various modes of parody practically, an extended definition of parody- “an structural imitaion-quotation that recontextualizes by succeeding, criticizing, or re-mixing the precedent ready-made work”- is demanded However, when confined within this definition, parody finds it difficult to be distinguished from mere influence, imitation, or plagiarism, Consequently, “foregrounding device of ur-text” for the readers to perceive parody as parody, “social context and social approval” of the ur-text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the parody text, “dialogoisme” from the ur-text, and “conversion of expectation” on the ur-text have been suggested as the more practical conditions for parody. First of all, according to “which category the ur-text belongs,” this thesis has selected the traditional genre, Western literary, non-literary genre, and modern poetry as the basic levels of organization, Based on these type 1, imitative parody, which succeeds the ur-text favorable inclination; type 2, critical parody, which re-interpretes the ur-text with a critical eye; and type 3, pastiche parody, that boldly extracts and combine the ur-text, have been abstractd according to the “parodist’s attitude toward the ur-text.” And with the parody texts classified as abov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understanding to the reader and the deverse functions and effects of parody manifested through that process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though comparison and contrast to the ur-text. The traditional genre parod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he traditional culture accumulated within the poet foregrounds his poetic creation has been examined through examplary works of each type: works of So-wol Kim which borrows and succeeds the ru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folksongs; of Jeong-joo Suh that re-interprete both the oral and the written narratives with the characteristic story-telling method of the oral tradition; and of Ji-ha Kim that attempt at a new poetic form making use of jester’s account as in Pansori and Talchum. Such parody allows our poetry to achieve poetic continuity by linking past with the present. It is characteristic of this category that cases of parody made on the level of genres of folksong, narrative, or Pansori are common whereas the ur-text itself being the target of criticism and ridicule is rare. The Western literary parody that reveals affection for and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culture “with a different language” affirms the faith in the mobility of literature from the point that it is a dialogue between a nation and a nation, a race and a race, and a culture and a culture. Type 1, centering and Ki-rim Kim, reflects the form of early stage of reception of Western literature characterized by relation of influence. Type 2, with Soo-young Kim as the representative, is characterized by reinterpretation of parts of the ur-text, and type 3, centering around Ji-woo Hwang and Kyu-won Oh, by ironic reproduction of the ur-text. Non-literal genre parody shows that genre of different medium can constitute unique aesthetic properties in the form, structure, technique, and meaning of the poem. Here, Sang Lee who makes use of mathematics, Choon-soo Kim who makes use of painting, and Jii-woo Hwand and Kyu-won Oh who make use of mass media in general, have been examined. However, parody of this category has not been described a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ype 1, 2, and 3, due to the intention of this study to deal with the different genres of each type to reveal their various forms, the difference in medium that cannot avoid being refracted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use of in poetry, and the existence of Sang Lee, the pioneer poet. The parody on modern poetry is interesting in that the precedent poem of the contemporary using the same language becomes the creative subject of another poem. Famous or popular works have a tendency to be parodied more easily that others, and the texts of poets such as So-wol Kim, Ji-yong Chung, Soo-young Kim, Dong yeob Shin, Jeoung-joo Suh, Choon-soo Kim, and Doo-jin Park, who represent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are the targets of later poets’ parody. In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parody can be characterized by its development from type 1 to type 3. Type 1 parody group shows greater distribution with its historical background of March 1st Movement and Cultural Policy. Generally, the foregrounding divice of parody is internalized for understanding of parodic foregrounding divice has been weak. And it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 to establish a new modern poetry with the attitude of succession and acceptance. Type 2 parody group that has made its apprearance around the April 19th Revolution begins to externalize its foregrounding device, and the poets’ recognition of parody becomes clear. In addition, the degree of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ur-text is strengthened. That is, not only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parody but also the motivation of the parodist is revealed clearly, and the degree of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ur-text is high. Type 3 parody group that has appeared since the 80’s has a surprising power of influence, and takes in the mood of the time to disintegrate the radical ideological structure of confrontation as its background. It is experimental and radical with its charateristic extraction and combination of the ur-test as it is, and when without the foregrounding divice of parody, its borderline from plagiarism or appropriation becomes ambiguous. It is clear that such mode of parodic development has diversified in its methodology. However each type merely suggests dynamic process of development and dies not signify progressive development.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parody can be found in that it liberates the creative writer form the two myth of “mimesis” and “originality”, that have been the basic premise of literary creation. Furthermore,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ext that is established between the parodist who is the recipient as well as the creator, and the reader who is also another recipient as well as a decipherer, provides effective perspective on the discription of literary as “mutual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e essential elements and motives that makes parody into what parody best is must pursued differently each times, and a new creative principle of parody should also be searched for. In this process for search, there is one fundamental condition for parody texts to maintain-that is, it must possess a new element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ur-text. And this novelty must be achived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realistic motivation of parody and of the successful aesthetic value of the parody 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