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한국 민화에 있어서 꽃그림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Burn-out 기법을 중심으로

Title
한국 민화에 있어서 꽃그림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Burn-out 기법을 중심으로
Authors
이준화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odern society is on the verge of a period of a culture war. The culture war of a new notion is especially connected with fashion industry, which produces superiority of own culture on a commercial scale and get on advantage over others culturally. As seen in the world s five collection, fashion industry is an item of a culture war which most of the advanced countries bring into relief. And they has devised a high value added and gaining interests through periodical collections. In this sudden changing times, fashion is products of experience and reflects people s consciousness based on a unique tradition formed in the culture circle and a cultural style. After the 80 as interests about Orient is high, Orientalism risen powerfully in the western is like that. In fashion not only an aspect of general sociality of an era but also the spitits of a people and the world of inner image is appeared. Our past tradition is both a treasure-house of knowledge and nutrition creating us now. In this interconnections through traditional discovery to modernize, an effort which is applied to modern fashion industry is carried. Because of a low-wage policy of a developing country, our fiber industry depressed. So in Taegu of Korean first fiber city now for the second leap, as one Asia is planned and is drived. This program is set out with a task that Taegu will do "a now leap" to stretch itself in the world. To succeed this program, improvement of a high value added products of good quality is urgent above all. During that time many studies and proposals is being neglected and is board in spite of an excellent scientific outcome. Consequently when this studies and proposals is developed as substantial productive goods based on capital and technique of an enterprise, our fiber industry is thought to lead both a home market and a foreign market. Therefore improvement of a high value added products of good quality succeeding to tradition is the most trustworthy alternative plan to meet present realistic demands. Thus in this study, considering flowers as the most widely used motive among the fabric of the most universal fashion material, floral painting appeared in Korean Min Hwa that filled our people s unique spirits of beauty, tradition and the formative system for a long time is reemerged in modern design motive. As it is applied fashion design, we rediscovery and modernize our beauty of tradition. Further through development of a high valued added fashion design, this study intend to suggest possiblity of design development motivating creative flowers felt our personality at a glance. By theoretical surrounding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as for notion, classification and feature, and studied a sort and feature of floral painting through documents, photograph data and audiovisual materials. To compare and to analysis floral painting reemerged in modern fashion as motive and a various pattern design treated Burn-out technique, it is collected, arranged and analysised. Based on things to study and to analysis, floral image is extracted, which showing best tradition of Korean beauty among floral paintings of Min Hwa. It is reflected in all eight works. The fabric is velvet, which stands for feminine nature and elegance. To show more beautiful floral image, Burn-out technique is applied. Burn-out technique has constantly been used so far, which is used in this study for modern definition of tradtion, which helps the effect double.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through works production is that. Elements is spread that we can challenge in the world in Korean Min Hwa. As for an aspect of design development fitted modern sense. It can be confirmed that a possibility to present beauty of tradition is unlimuted. When on expression technique is correspond to design well, a possibility that can be revaluated as good materials is presented. In this sudden changing world, fiber industry of our nation has made rapid progress over and over again and entered on a doorsill of the advanced contries. But fiber design of fashion industry products sold now depends on high rate of dependence on imports but itself development. Owing to mass production by the western sense and mechanization, fashion industry of our nation is standardized. In this international times of material penury, we can know facts that not only study but also investment of the academic world and enterprise is needed. ; 현대사회는 바야흐로 문화전쟁의 시대이다. 자국 문화의 우수성을 상품화하여 경제적인 이익과 함께 문화적으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신개념 문화전쟁은 특히 패션산업에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이미 세계 5대 컬렉션에서 보여지듯 패션산업은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부각시키고 있는 문화전쟁의 아이템이고 이들은 정기 컬렉션을 통해 패션산업의 고부가가치와 이익 창출을 도모해왔다. 이렇게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 패션은 한 시대의 경험적 산물로 그 문화권속에서 형성된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양식을 근간으로 한 인간의 의식을 반영하며, 80년대 이후 동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서구에서 강력하게 대두된 오리엔탈리즘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패션에는 그 시대의 전반적인 사회성의 일면과 동시에 민족의 기질과 내적 이미지의 세계가 나타난다. 과거 우리의 전통은 미래의 우리를 표현하는 지식의 보고이며 현재의 우리를 창조해 나가는 자양분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화를 위한 전통의 재발견을 통하여 전통을 현대 패션산업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부단히 계속되고 있다. 한국 제 1의 섬유도시인 대구에서는 지금 그 동안 저임금의 개발도상국에 밀려 침체일로에 있던 우리 섬유 산업의 제 2의 도약을 위한 섬유 육성 방안의 하나로 아시아의 밀라노로 대구를 육성한다는 “밀라노 프로젝트”를 기획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은 대구가 세계를 향해 “새로운 도약”을 할 것이라는 과제를 안고 출발한 것인데 이 계획의 성공을 위해서는 양질의 고부가가치 상품의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그 동안 학계에서 진행된 많은 연구와 제안들은 그 우수한 학문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방치되고 사장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연구와 제안이 기업의 자본과 기술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생산성있는 상품으로 개발될 때 우리 섬유산업이 국내시장은 물론 나아가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렇게 볼 때 전통을 계승한 고부가가치 상품의 개발은 지금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패션소재인 섬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티브가 꽃임을 감안하여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고유한 미의 정신, 전통, 조형적 질서를 담아낸 한국민화에 나타난 꽃그림을 현대적인 디자인 모티브로 재현해 패션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우리 전통미를 재발견하고 현대화시키며, 나아가 고부가가치의 패션디자인 개발을 통해 한눈에 우리의 개성을 느낄 수 있는 독창적인 꽃을 모티브로한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 민화 전반에 대한 개념, 분류 및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고 민화에 나타난 꽃그림의 종류와 특징을 문헌 및 사진자료 시청각자료를 통해 연구하였다. 또한 현대 패션에 재현된 모티브로서의 꽃그림을 번아웃기법으로 처리한 다양한 패턴디자인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집, 정리, 분석하였다. 이렇게 연구 분석한 것을 토대로 민화 속의 꽃그림 중 한국적 미의 전통을 가장 잘 표출하는 꽃이미지를 추출하여 총8벌의 작품에 반영하였다. 작품에 사용된 소재는 부드럽고 여성스러우며 우아함을 대표하는 벨벳으로 더욱 아름다운 꽃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번아웃기법을 응용하였다. 번아웃기법은 지금까지 꾸준히 사용되어 왔으며 전통의 현대적 해석을 위한 이번 연구에서 적절히 사용되어 그 효과를 배가 시키는데 일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품제작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민화에는 세계에 도전할 수 있는 요소들이 산재되어 있으며, 현대적인 감각에 맞는 디자인 개발 측면에 있어서 전통미가 제시하는 가능성 또한 무궁무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의 표현기법이 디자인과 더불어 잘 부합되었을 때 훌륭한 소재로서 재평가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급변하는 세계속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선진국의 문턱에 들어선 우리 나라의 섬유산업이 고도성장을 이루어낸 것은 사실이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패션산업 시제품들의 섬유디자인이 자체개발보다는 수입의존도가 높으며 서구적 감각의 범람과 기계화로 인한 대량생산으로 매우 획일화되어 있다. 이러한 소재빈곤의 국제화시대에 보다 경쟁력있는 상품의 개발을 위하여 학계와 기업의 꾸준한 연구와 투자의 병행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