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1 Download: 0

조르주 쇠라의 작품에 나타난 대중사회 이미지

Title
조르주 쇠라의 작품에 나타난 대중사회 이미지
Authors
전경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쇠라는 19세기 말 파리의 대중사회를 7점의 대작회화에 담았다. 그 작품들은 소비문화의 여러 양상들을 소재로 하여 대중사회의 의미를 해석하려는 철저하게 구상된 기획의 소산이다. 파리 교외에서 여가를 보내는 대중을 그린 <아니에르의 미역감는 곳>과 <그랑자뜨의 일요일 오후>에서 쇠라는 여가소비에서의 평등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아니에르>는 인기있는 공공유원지에서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 하층계급의 소외를 보여주며, <그랑자뜨>는 유행의상을 입고 공공장소의 평등한 여가소비에 동참하는 대중의 모습을 통해 패션이 대중의 동질화 현상과 계층 간의 변증법적 통합의 모습을 만들어냄을 보여준다. 쇠라는 <포즈서는 여인들>, <분을 바르는 여인>, 그리고 <샤위 춤>에서 대중의 소비문화에 나타나는 패션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 대중문화 속에 나타나는 여성의 신체가 볼거리로 사물화되었음을 밝히었다. <포즈서는 여인들>은 하층계급의 여성들의 누드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이 여성들은 사회적 기호로서의 패션과 대비되어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대중사회에서 의상이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물이 인간의 표지가 되고, 의미를 창조하는 주체가 되고 있음을 쇠라는 의인화된 의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하여 인간의 모습은 기계화, 사물화되고 의상은 생명을 부여받고 있다. 그 결과 <포즈서는 여인들>의 누드는 성적 특성이 약화되어 묘사된다. 이 작품과 대위법적인 작품 <분을 바르는 여인>에서 여성이미지는 성적 특징이 강조되어 있다. 쇠라는 대중사회에서 성적 기호로서 유통되는 여성이미지를 풍자한다. 이러한 풍자는 거리두기를 전제로 한다. <분을 바르는 여인>은 대중문화가 만들어내는 인위적 성적 이미지를 희화하여 표현하고 있는데, 그 표현 방식은 커리커처에 근원을 두고 있다. <샤위 춤>은 여성의 신체가 성적 스펙타클로 소비되는 대중문화를 보여준다. 상업적 에로티시즘에 대한 비판은 성적 스펙타클의 현장을 거리를 두고 뒷모습만 보이는 악사가 바라보는 것으로 암시된다. 쇠라는 <퍼레이드>와 <서커스>에서 모든 계급이 즐기는 도시의 대중적 오락인 서커스를 대중사회에 대한 은유로서 다루었다. 이 작품들은 일루전의 창조자인 예술가와 일루전에 몰입하는 대중과의 관계를 암시한다. <퍼레이드>는 서커스 악사들의 비애를 통해 비자발적인 상업적 오락의 모습을 보여준다. 관객의 위치에서 공연자를 바라보는 시각을 갖는 <퍼레이드>와는 반대로 <서커스>는 공연자의 위치, 즉 예술가의 관점에서 관객과 배우를 바라본다. 그럼으로써 일루전에 몰입된 대중문화 소비자들의 수동적 모습과 대중문화 생산자들의 활기찬 모습이 대비된다. 이 작품들에서 뒷모습의 인물이 중심에 서있다. 이 인물은 작가를 대리하는 이미지이다. 사회의 해석자로서 예술가는 자신이 제시하는 정경이 사실기록이 아니라 체험을 내면화, 개념화한 것을 나타낸다. 쇠라가 대중사회를 바라본 시각은 후기 대작에 나타난 뒷모습의 고독한 인물 이미지가 대변하듯 부르주아 사회에서 스스로 소외되어 있다. 그는 냉철한 해석자가 된다. 마지막 <서커스>의 전경에 묘사된 어릿광대는 그러한 예술가의 자세를 상징하는 자화상이다. 쇠라는 인상주의자들과는 달리 대중문화의 스펙타클을 즉각적 체험으로 기록하지 않았다. 그는 대중문화의 일루전을 만들어내는 사회적 기제에 대한 해석을 보편적 체계를 제시하였다. ; Seurat pictured the mass society of late 19th century Paris in his 7 large scale paintings. They are the results of a contrived pla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ass society using the various aspects of consumptive culture as material. , the first of the large scale paintings, depicts the lower class seeking leisure in the Parisien suburb. , the scene of which is set in another riverbank facing that of , and which constrasts it as its pair, portrays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fashionably dressed Parisien mass. shows the leisure consumption pattern by means of fashion, which shows the assimilation of the mass and the dialectic unification of different classes. Chapter III deals with the image of women which is presented in the mass culture. It analyses the social meaning of fashion seen in the mass consumptive culture, and reveals that the female body in it is objectified as a spectacle, in , and . shows the nudes of lower class women as what they are, without any sexual connotations. Those women are contrasted with fashion as a social symbol. This work shows that an individual s identity is created by clothing, which is a commercial product from the urbanized mass society. Seurat expressed through personified clothing that objects become the social marks of people, and the subjects which creates social meanings. Thus human features become machinized and objectified, and clothing becomes animated. As a result the feminine body is pictured with diminished sexual traits. is the counterpoint piece of . Seurat satirizes the feminine image which is circulated in the mass society as a sexual symbol. These satires are premised on alienating. satirizes the artificial sexual image fabricated by the mass culture in a comical fashion, the method of which is based on caricature. shows the mass culture in which the female body is consumed as a sexual spectacle. The criticism upon commercial eroticism is suggested by a back turned musician watching the scene of sexual spectacle with distance. Chapter IV deals with two works, and . The circus, one of the most popular Parisien urbain entertainment in those days, is the metaphor of the mass society absorbed in commercial spectacles. The relation between the artist who creates the illusion and the public who indulges in the illusion is suggested. shows the involuntary commercial entertainment through the alienation of the circus musicians. As opposed to the view of , watching the performer from the spectator s place, watches the crowd and actors in the performer s, that is, the artist s viewpoint. Thus the passiveness of the mass culture consumers absorbed in the illusion are contrasted with the briskness of mass culture producers. the pierrot in the foreground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painter. The artist, as an interpreter of the society, expresses that the scene he presents is not a record of reality, but the internalized and objectified experience. The view Seurat adopted toward the mass society is, as the back-turned lone person featured in his later works suggests, is that of one who is deliberately alienated from the bourgeois society. He is the cool-headed interpreter. The clown pictured in is the self-portrait symbolizing such attitude of the artist. Seurat, unlike the impressionists, didn t represented the mass culture s spectacle as a instant experience. He tried to present the explanation of the social mechanism creating the illusion of the mass culture through a general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