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도경-
dc.creator권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44-
dc.description.abstract조선 후기는 전기소설사의 끄트머리에 위치한 시기로, 최근 들어 장르적 관습의 지속과 변모라는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는 조선 후기 애정 전기소설의 변별성이 변심 주지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특징 및 애정 전기소설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선 후기 애정 전기소설에서 변심 주지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작가 의식과 서사 문학적 경향의 두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전기소설 작가층은 전대의 작가층과 마찬가지로 지배적 특권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변심 주지를 통해 사족 양반층 내부의 갈등이 아닌, 기득계층인 몰락양반과 새로운 상승계층인 중하층간의 계층갈등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대 작가층과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서사문학사에서 변심 주지의 전통은 나말여초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15세기 잡록류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주되었다. 18·9세기에는 역사적 인물을 등장시킨 욕망긍정형 의 원혼담, 욕망긍정형 야담의 영향 하에서 변심 주지의 전통을 계승한 야담이 나타났다. 중국 전기소설사에서는 이른 시기인 唐代부터 변심 주지의 작품들이 존재해 왔는데, 조선 후기 애정 전기소설의 창작에 이러한 중국 작품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초현실적 시공간과 시정 공간의 공존이 특징적인데, 이는 사족남성과 중하층 여성 간의 변심과 애정비극에 대한 작가적 전망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전란 모티프는 당대성을 담보하는 시공간적 기능을 상실하고 매너리즘화 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서사 기법의 측면에서는 단편·중편양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결연 절차의 지연과 확대, 서사적 흥미 제고 등의 특징이 두드러졌으며, 이를 통해 변심 주지를 다채롭게 서사화해냈다. 갈등구현 방식에서는 주인공 당사자간의 갈등에 주목하고, 가족윤리·유흥적 세태와의 갈등을 통해 전대 작품의 윤리적 마찰을 변용하였다. 애정 갈등은 남녀의 자기 본위적 태도와 소통 부재적 사랑의 방식에 의해서 발생했다. 남성은 하층여성으로부터 완벽한 욕망의 충족감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에 변심하거나 애매한 태도를 보인 반면, 중하층 여성들은 계층차이를 넘어설 수 있는 동질감을 사족남성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이러한 소통의 부재가 바로 애정 파탄을 초래하는 본질적 이유로 드러났다. 남녀 관계의 결렬은 당사자의 소극성과 무책임, 새로운 상대의 추구와 삼각관계, 계층적 편견과 상대에 대한 의심 등에 의해 발생했다. 결렬 후 남녀간의 갈등은 결렬 계기 제공자에 대한 원망, 결렬 책임에 대한 인식 양상, 현실계의 결별과 현실 생활의 선택 등으로 나타났다. 작가의 서술시각은 대상의 다층적 초점화로부터 여성 중심적 시각과 남성 중심적 시각으로 분화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여성 중심적 시각의 경우는 여주인공에 대한 서술자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작가의 가치관이 이들과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기서는 전통관습의 희생자인 여성인물들에게 우월한 가치를 부여한 근대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반면 남성 중심적 시각의 경우는 애초의 다층적 초점화에 의해 등장인물 개개의 욕망이 다각도로 조망되었던 작중서사와 결구·논평에서 두드러지는 남성 중심적 서술시각 간에 이원화된 서술상황이 드러났다. 이러한 남성 중심적 서술시각의 개입에서는 전통관념과 근대적 문제의식이 공존하는 근대 이행기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조선 후기 애정 전기소설 작품들에 나타난 변심 주지는 이상이나 관념 등의 선험적 이념이 전제되지 않은 사랑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애정불변 주지의 작품들과는 세계관적 기반에서부터 차이를 드러냈다. 이러한 양상은 애정 전기소설사에서 계승되어온 변심 주지의 전통을 발전시킨 것이었다. 나말여초에는 다수의 작품이 존재했으나, 15세기에는 유교이념이 국가 통합의 강고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함에 따라 축소되었으며, 17세기는 양란 이후의 사회적·사상적 동요라는 실재 현상과 관념적 질서 획복이라는 지배층의 복고적 의도가 양립하면서 애정불변 주지의 작품과 동등한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확대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다채로운 작품세계를 구현하면서 전성기를 맞았으며, 그 성행의 부산물로서 통속적 패로디 작품을 산출할 정도로 전기소설사적 위상이 확고해 졌다. 개화기 이후 변심 주지는 근대적 인간관과 연애·결혼관의 정립 과정 속에서 한 가지 모습으로 고정되지 않고 시기에 따라 변화되었다. 신소설에서는 개화사상과 전통적 사고가 혼재하는 시대적 배경에 따라 여성이 변심하는 패턴이 풍자적 시각에서 비판되었다. 이광수의 시대에는 낭만적 사랑과 결혼의 제도화가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정립하는 중요한 과정이었던 만큼 근대적 사랑의 논리로써 삼각관계와 남성의 기회주의가 옹호되었다. 강경애의 작품에서는 프로문학의 성행이라는 1930년대 문학사를 배경으로 이기적이고 탐욕스런 남성들의 부정성이 고발되었다. 조선 후기 애정 전기소설에서 본격적으로 작품화된 변심 주지는 근대적 자유연애, 낭만적 사랑과 불륜, 인간의 본능적 욕망과 관습의 대립 등의 문제로 확대되어 나갔다. 조선 후기 애정 전기소설은 근대 이행기라는 소설사적 특수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개인의 욕망, 세계와 자아간의 갈등 등의 인간의 본질적 문제를 애정 갈등 속에 담아냈으며, 이러한 측면들은 근대소설사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소설사에서도 여전히 유의미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The latter age of Chosun, where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history of Love-Romance, is lately paid attention in the view of continuance and change of the tradition of genre. The present writer has observed discrimination of Love-Romance in the latter age of Chosun.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of its aspect, feature, and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ove-Romance. The backing,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is made an appearance in the Love-Romance in the latter age of Chosun, can be find out in the sides of both author consciousness and the tendency of a narrative literature.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Romance writers and the former writers. It is that they were alienated from the privileged class. However,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writers in the previous generation, because they were give attention to troubles between the ruined peers and the middle or lower classes. The tradition of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began to appear from the last age of Shin-La to the early age of Koryo, and it was variously changed in Miscellaneous Notes(雜錄流) in the fifteenth century. An Unofficial Version of Historical Romance(野談), which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ale of a Revengeful Spirit(원魂談) and An Unofficial Version of Historical Romance, appeared historical characters in them, of the affirmative style about desires, turned up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Works on the theme of the change of mind had existed from the age of Dang-dynasty(唐代), where was a quite early time in the history of Chinese Romance. Chinese works like this influenced so much on creative activities of Love-Romance in the latter age of Chosun. A character in the formal aspect is coexistence between surrealistic time and space and an urban-area, and this feature is caused by difference between author s prospect for love-tragedy and betrayal between a nobleman and a woman in the middle or lower class. On the other hand, the motive of war lost the function in time and space showed the features in the present age, and fell into mannerism. In the narrative technique, despite of the formal difference between a short and a medium novel, the remarkable features like extension and delay in the process of taking lovers, induction of narrative interest, etc., showed. In addition,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was narrated variously though this features. In the realization of conflicts, the troubles among the main characters were emphasized, and ethical friction, showed up in the former works, was changed though conflicts with the family moral and the decadent social condition. The love-conflicts were caused by egoistic attitude and love without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woman. Man betrayed because he wasn t completely satisfied with woman in the lower class; however, the woman in the middle or lower class believed that she could make love with the nobleman beyond the difference of classes. This absence of communication was the essential reason why they were broken up. The breakdown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was caused by passivity and irresponsibility between them, a triangular love affair, a class prejudice, distrust of partner, etc. After breaking up, the conflicts developed into resentment against the person who made them separate, awareness of responsibility for the breakdown, farewell in the present, and selecting the real life. The author s narrative view was differentiated from focusing on the object multilaterally to point inclined toward woman and androcentric point. Female-ce ntric view was similar to the author s sense of value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heroin and narrator was so short. In this point, modern significance that women no longer were victims of convention could be found. On the other hand, androcentric view showed dual description between the narration in the text and the author s review of ending. Intervention of this androcentric view symbolizes a shift to modern times in which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t.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in Love-Romances in the latter age of Chosun is different from the main idea on immortal love in the sense of value because love is not decided by ideology. This aspect is what developed the tradition of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in the history of Love-Romance. Plenty of works exited from the last age of Shin-La to the early age of Koryo, but the number of work reduced in the fifteenth century because Confucianism played an important part in controlling n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number of work on love-betrayal increased as much as that on immortal-love, because after the Japanese and Manchu Invasion, a real phenomenon, that is, social and ideal unrest was coexisted with the governing classes reactionism. Moreover, the latter times of Chosun was the golden age of works on love-betrayal. As the result, a lot of popular parodies were created, and love-betrayal vindicated itself the highest place in the history of Love-Romance. The main idea on the change of mind has been changed continuously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modern view of human, love, and marriage since the age of civilization. In shin-soseol(新小說), woman s change of mind was criticized sarcastically as a periodic backing in which a thought of civilization was mixed with the traditional one. In Lee, Kwang-Su(李光洙) s age, the triangular love-affair and man s opportunism was protected as the theory of modern love because the systematization of romantic love and marriage was so an important process that contributed largely to setting up bourgeois ideology. Kang, Kyungae(姜敬愛) s works accused man s egoism and greed in 1930 s in which KAPF s literatures prevailed. The main idea on the change of mind, dealt with earnestly in the Love-Romance in the latter age of Chosun, had been developing into modern free love, romantic and illicit love, the opposition between human instinct and social convention. These aspects have still presented significant problems in the history of present novel, as well as in that of modern no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의와 목적 --------------------------------------------------- 1 B. 연구의 방향과 연구방법 -------------------------------------------- 4 Ⅱ. 조선 후기 전기소설의 새로운 애정관념 출현배경 --------------------- 12 A. 작가층의 현실인식과 창작의식 -------------------------------------- 12 1. 사족과 중하층간 계층갈등에의 주목 -------------------------------- 12 2. 남녀지정과 중하층 여성에 대한 관심 ------------------------------- 19 B. 변심 주지의 연원과 양상 ------------------------------------------- 23 1. 서사 문학사 내적 전통 -------------------------------------------- 23 2. 중국 전기소설의 영향 --------------------------------------------- 30 Ⅲ. 변심 주지의 애정 전기소설적 전개 양상과 특징 ---------------------- 37 A. 서사 형식상 특징 -------------------------------------------------- 37 1. 시공간 설정의 배경 ----------------------------------------------- 37 2. 서사 기법상의 특징 ----------------------------------------------- 47 3. 갈등의 초점화 방식 ----------------------------------------------- 58 B. 애정 갈등의 서사적 구현 양상 -------------------------------------- 69 1. 소통 부재적 사랑의 양상과 결렬 계기 ------------------------------ 69 2. 남녀 관계의 결렬 양상 -------------------------------------------- 93 3. 결렬 후 갈등의 전개 양상 -----------------------------------------102 C. 서술시각과 서술태도 -----------------------------------------------116 1. 대상의 다층적 초점화 양상과 그 의미 ------------------------------117 2. 여성 중심적 서술시각의 구현 양상 ---------------------------------123 3. 남성 중심적 서술시각의 구현 양상 ---------------------------------131 Ⅳ. 변심 주지의 애정 전기소설사적 위상과 의의 -------------------------145 A. 전기소설사적 위상 -------------------------------------------------145 B. 근대적 의의 -------------------------------------------------------157 Ⅴ. 결론 --------------------------------------------------------------165 참고문헌 --------------------------------------------------------------171 Abstract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592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朝鮮後期 愛情 傳奇小說의 變心 主旨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