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용희-
dc.creator김용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3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59-
dc.description.abstract소설 작품의 서사적 구조에서 시간과 공간은 소설의 한계를 규정하는 두 개의 극이다. 지금까지의 소설 연구는 이 두 개의 요소 중에서 공간보다는 시간에만 치중한 감이 없지 않다. 이처럼 시간성을 중심으로 소설을 보았을 때는 인과 관계에 중점을 주는 이념적이고 관념적인 소설론으로 되기 쉽다. 필자는 이러한 방법론으로는 소설의 이미지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소설의 이미지 전달을 공간적인 구조로 보았을 때에 좀 더 다양하고 깊이 있게 재조명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뜻에서 소설의 공간을 내용적인 측면에서 고찰했으며, 특히 ‘길’을 연구 모델로 삼았다. 이는 길이 첫째 정신적인 세계와 물질적인 세계 즉 형이상학적인 세계와 ,형이하학적인 세계를 다 포함시킬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둘째 길은 시간적인 繼起性과 공간적인 繼起性이 동시에 나타나는 공간이다. 길에서 나타나는 인물의 움직임, 그것은 바로 시간의 계기성이기 때문이다. 셋째 길은 線과 面의 兩義性을 포함하는 공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포함하고 있는 길이 지닌 의미의 連繫 관계를 내적 구조로부터 밝혀보고 삶의 轉移 과정을 밝혀보려 하였다. 다시 말하면, 움직이는 공간인 길을 통하여 인물이 공간에 어떻게 작용하녀, 길의 진행과정을 따라 작중인물이 어떠한 존재론적 전환을 가져왔는가를 살폈다. 인물의 존재론적 전환은 신화비평에서 말하는 통과제의의 구조이므로, 신화비평의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원용하였다. 시간의 제한이 없는 세계에서 문학 원형의 기본 구조를 찾아보는 신화비평은, 문학 외적인 조건들을 배제하고 순수한 문학 작품의 상태로 읽는 현상학적 방법과도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이 두 방법론은 공간 인식에 있어서 대립되는 모순 구조를 지닌다는 점에서도 일치하므로, 작품 분석 과정에서 이 두 방법을 아울러 적용했다. 共時的인 방법론을 통한 분석이기에 작품 선택에 있어서는 연대적인 제한을 두지 않았다. 작품에 대한 실제 분석은 Ⅱ-Ⅵ장에서 행해질 것이다. 이들에 대한 연구 결과를 순차적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길을 통해 나타나는 사춘기 소년들의 이니시에이션 과정을 살펴보았다. 金廷漢의「묵은 자장가」에서는 병든 어머니가 있는 俗의 空間과 절이라는 聖의 空間을 연결하는 길이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어머니에 대한 증오의 감정을 지닌 채 절로 가는 길과 법당에서 부처를 통한 전환을 이룬 뒤 집으로 내려오는 길이 대비되어 나타난다. 黃順元의「별」에서는 죽은 어머니의 영혼이 존재하는 하늘과, 어머니의 육신이 묻힌 지하의 대립되는 공간이 수직 체계로 나타난다. 땅 위에서는 인형으로, 산 위에서는 아름다운 소녀에게로, 하늘에서는 별로 나타나는 그의 아니마는 흐르는 시간과 함께 점점 성숙한 세계로 접어든다. 여기에 나귀가 5년이라는 세월의 변화에서 양의성의 띠며 상징적으로 작용한다. Ⅲ장에서는 崔泰應의 세 작품에 나타나는 結婚儀禮를 통한 인물의 전환 과정을 살펴보았다.「바보 용칠이」의 경우는 부정한 아내와 결혼 생활을 끝맺기 위해 그녀를 처가로 데려다 주러 가는 길과 다시 새 출발을 위해 그녀와 함께 처가를 떠나는 길로 대비된다. 이 때 처가로 가는 길은 그가 지금까지 ‘바보’로 인식되었던 고정 관념이 흔들리기 시작하는 길이다. 또한 처가를 떠나는 길은 자신의 과거를 다 받아들이며 새로운 전환을 이루는 길이다.「봄」의 경우는 마을을 중심으로 한 산과 바다의 순환 구조를 통해작풍 인물의 이니시에이션이 이루어진다.「산사람들」은 고향을 떠났던 두 남녀의 귀향길을 보여준다. 그들은 객지에서 한 개의 점으로 존재했던 그들의 주거 공간이 비에 씻겨 내려감으로써 다시 원점으로 회귀한다. Ⅳ장에서는 生과 死의 경계를 넘어 죽음으로 연결되는 존재론적 전환을 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崔明翊의「봄과 신작로」에서는 신작로의 상징적 구조를 통한 죽음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崔泰應의「港口」에서는 날마다 바닷가에서 시간을 보내는 주인공의 飛翔하고 싶은 욕망이 죽음으로 연결되고 있다. 또한 郭夏信의「沙工」에서는 강물 속으로 下降하고 싶은 사공의 욕망 실현을 통해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Ⅴ장에서는 공간의 전환적 구조로서 巫俗, 宗敎, 匠人의 세계가 초월자의 양상을 띠며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金東里의「巫女圖」에서는 巫俗에서의 이승과 저승의 견계가 무너지는 공간으로서 굿을 하는 강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그의「等身佛」을 통해서는 현실에서 영원으로 가는 종교적 전환을, 서술자와 소설 속의 또 다른 이야기의 인물의 병렬구조로 나타내고 있다. 黃順元의「독 짓는 늙은이」에서는 造物과 被造物間의 관계가 전도되는 양상이 독을 굽는 가마 안에서 일어난다. 길은 俗의 공간으로 통하며, 聖의 공간인 가마와 대립된다. 초월적인 세계로 가는 전환을 통하여, 이들 작품의 주인공들은 현실적인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와질 수 있다. Ⅵ장에서는 탐색을 통한 전환을 살펴보았다. 安壽吉의「圓覺村」에서는 끝없는 이상향을 추구하는 주인공의 연쇄적 탐색 중의 한 고리를 보여준다 .정지된 공간은 길에 대립되는 공간으로서 부정적 이미지를 띤다. 주인공에게는 낙원을 향한 끝없는 탐색이 있을 뿐이다. 김동인의「배따라기」에서는 주인공이 살아있는 한 탐색이 계속되어야하는 숙명적인 길이 나타나고 있다. 바다로 가는 兄과 육지로 가는 동생의 영원히 만날 수 없는 탐색의 길이다. 또한 이는 육체적인 죽음을 의미하는 어둠 속으로 가는 길이며, 탐색을 떠나기 이전의 태양을 가슴에 안고 오던 길과는 대비되는 길이다. 李孝石의「山峽」은 막혀있는 불모의 공간으로부터 열려진 길을 향한 탐색으로 연결되고 있다. 자손의 보존이라는 縱的인 連繫를 위한 인물의 갈등은 그들이 길을 떠남으로써 해소되어 내적인 高揚 상태를 이룬다. 탐색은 존재 확인을 위한 것이다. 탐색이 시작되기 전의 집과 마을의 정지된 공간은 모두 부정적인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길은 긍정적인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 공간으로서의 길은 兩意性을 포함하며, 形而下學的인 길에서의 움직임과, 形而上學的인 전환의 의미가 병행되어 소설에 작용함을 볼 수 있다. 또한 길은 움직임이나, 방위, 또는 다른 공간과의 대비 등에서 대립적인 개념으로 작용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대립들이 작품 속에서 서로 상충하며 그 의미를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 Time and Space,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novel, are the two poles that define its limitations. There has been a tendency, it is true, to favor the time factor as the more important of the two. But it is apt to become an abstract and ideological novel theory that mainly focuses on cause and effect if the novel is seen through time factor only. I do not consider this is an deepest insight and more various ways of looking, it is quite necessary to see it also through the frame of space. This thesis makes a study of the spatial concept of novels in their inner aspect, especially taking the ‘road’ as an ideal example. For a road is, firstly, the space that can contain both materialistic and spiritual worlds; that is, physical and metaphysical spheres. Secondly, a road is the space where time sequences and space sequences occur simultaneously. A character moving along a road is, in fact, another aspect of a time sequence. Thirdly, a road is space that contains the attributes of both line and plane. This thesis examines how these meaning of a road are interrelated and how they influence the transformation of life. In other words, it is explores how a character moving along a road interacts with space, and how he is transformed in an ontological sense as he progresses. The Methodology of mythical criticism is heavily employed here because in mythical criticism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of a character is expressed in the very structure of the rites of passage. It shares common characteristics with phenomenological criticism in that the former searches for the archetypes of literature in the timeless world while the latter grasps the pure state of literature, excluding its non-literary conditions. Moreover, these two methods of criticism complement each other, since both of them make use of the contrasting contradictory structures inherent in the concept of space. Therefore both methods are employed in analyzing the work dealt with in this study. Since the analysis is done on the basis of contemporaneity,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chronological order in selecting works for research. The works referred to here are analyzed in ChapterⅡ through Ⅵ. ChapterⅡ investigates how the initiation process among adolescent boys occurs along the road. The road in Mugeun Jajangga(the old lullaby) by Kim Jung-han symbolically connects the profane world where a sick mother lies with the sacred world where the temple stands. There is the contrast between the hatred that filled the boy’s heart on his way up to the temple and the peace/good will/love that filled his heart on the way down from the temple, having been transformed by Buddha’s influence. In the Pyol(the star) by Hwang Sun-won, there is the vert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heaven where the soul of the boy’s mother resides and the nether world where her body is buried. His anima, appearing as a doll on the earth to a beautiful girl on the hill, and as a star in the sky, matures into adulthood with the passing of time. The ass here is presented as a symbol having double meaning, with the indication of the 5-year lapse of time. ChapterⅢ deals with three works by Choi Tae-ung, where the characters are changed through the marriage rites. In the case of Pabo Yongchi’iri(Yongchi’iri, the fool), there is the contrast between the way along which he takes his unfaithful wife to her home in order to terminate their marriage and the way along which he takes her back to their home for a new start. It shows that the fixed idea of his having been regarded as a fool begins to be shaken when he leaves for his wife’s home. Again, the way back to his home shows how he finally accepts his past as his own, thus providing a new turning point in his life. In Pom(The Spring), the initi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ycle structure linking the hills and the sea, centered around the village. San-saramdul(The Hill Dwellers) depicts the return of the man and wife to their original home after having their dwelling in an alien place washed away by a flood. ChapterⅣ Shows how ontological transformation is linked with death by leaping over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Choi myong0ik’s Pomgwa Shinjangno(Spring and the Highway) shows how the highway is symbolically used for the transformation toward death. In Hanggu(The Harbor) by Choi Tae-ung, the hero loiters everyday on the seashore. His wish to fly is linked with death. Also in Kwak Ha-shin’s Sagong(Boatman), the transform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ferryman’s wish to descend into the river. ChapterⅤ deals with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shamanism, religion and craftsmanship, the worlds of which have the aspect of transcendental being. In Munyodo(The portrait of a Witch) by Kim Tong-ni, the river represents the space where the boundary between this and the other world is crumbled by ritual. In his other story Tungshinbul(the Life-sized Statue), the religious transformation from the real world to eternity is described in parallel by the narrator and by another character embedded in a story with in the story. In Tok-chinun Nulguni(The Old Potter), by Hwang Sun-won, there occurs in the kiln a reversal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maker and the thing made. The road here is represented as profanity, the kiln as sacredness. Through such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 the heroes of these works free themselves from earthly limitations. ChapterⅥ deals with transformation through the quest. In An Su-gil’s Wongakchon(The Village of Wongak), the road is ceaseless quest by the hero for utopia. The stagnant space, contrasted with the road, becomes a negative image. As for the hero, there lies nothing but ceaseless quest before him. In Paeddaragi(the parting song), by Kim Tong-in, the hero’s destiny is to be on the quest continuously as long as he lives. Two brothers in their separate guests, one going to the sea and the other roaming on the land are never to meet again. Also it typifies the descent into darkness the physical death. This is contrasted with the sunshine he carried on his breast before he began his quest. Yi Hyo-sok’s Sanhyop(The Gorge) is concerned with the quest to cut a way out of the barren, closed space. The hero’s conflict, caused by his wish to secure a lineal continuity through his progeny, is resolved when he begins his journey. The quest means for him the affirmation of his existence and helps him achieve an inner exaltation. The standstill space of his home and village is represented negatively, while the road is represented affirmatively. Summing up the above analysis, the road as the space factor involves double meanings-the physical movement on the road and the metaphysical transformation, both of which exert a parallel influence in novels. At the same time, the road proves to be an opposing concept against movement, direction, and other space factors. Such opposition manifests the message more clearly by contrasting the one with the other in nove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 槪要 ------------------------------------------------------------- ⅴ Ⅰ. 序論 -------------------------------------------------------------- 1 1. 問題 提起 --------------------------------------------------------- 1 2. 硏究 方法 --------------------------------------------------------- 4 Ⅱ. 길의 上昇構造 ----------------------------------------------------- 9 1. 金廷漢의「묵은 자장가」-------------------------------------------- 9 A. 分離空間 --------------------------------------------------------- 9 B. 소외공간으로서의 길 ---------------------------------------------- 14 C. 迷路構造 --------------------------------------------------------- 18 D. 재생으로서의 聖 의 공간 ----------------------------------------- 22 2. 黃順元의「별」----------------------------------------------------- 24 A. 意識이 분리되는 지하공간 ----------------------------------------- 24 B. 별을 향한 上昇構造 ----------------------------------------------- 29 C. 나귀의 兩意性 ---------------------------------------------------- 34 Ⅲ. 回歸로서의 길 ----------------------------------------------------- 37 1. 崔泰應의「바보 용칠이」-------------------------------------------- 38 A. 方向喪失의 공간 -------------------------------------------------- 38 B. 覲親·사랑의 猶豫空間 --------------------------------------------- 42 C. 출발의 길 -------------------------------------------------------- 45 2. 崔泰應의「봄」----------------------------------------------------- 48 A. 파괴와 창조의 반복 ----------------------------------------------- 48 B. 길의 循環構造 ---------------------------------------------------- 51 3. 崔泰應의「산 사람들」---------------------------------------------- 57 A. 애정 확인의 공간 ------------------------------------------------- 57 B. 歸鄕 ------------------------------------------------------------- 61 Ⅳ. 生과 死의 초월적 공간 --------------------------------------------- 65 1. 崔明翊의「봄과 新作路」-------------------------------------------- 65 A. 性의 兩意的 공간 ------------------------------------------------- 65 B. 직선과 원의 구조 ------------------------------------------------- 71 2. 崔泰應의「港口」--------------------------------------------------- 85 A. 夢想의 수평공간 -------------------------------------------------- 85 B. 방과 바다의 대립구조 --------------------------------------------- 91 3. 郭夏信의「沙工」--------------------------------------------------- 97 A. 고립과 연결의 兩意性 --------------------------------------------- 97 B. 下降을 유도하는 안개·어둠·열기 -----------------------------------102 Ⅴ. 空間의 轉換構造 ---------------------------------------------------109 1. 金東里의「巫女圖」-------------------------------------------------109 A. 巫俗空間 ---------------------------------------------------------109 B. 이승과 저승의 對立項 ---------------------------------------------116 2. 金東里의「등신불」-------------------------------------------------120 A. 지역 통과를 위한 상징적 죽음 -------------------------------------120 B. 燒身供養의 轉換的 의미 -------------------------------------------127 3. 黃順元의「독짓는 늙은이」------------------------------------------132 A. 匠人의 길 --------------------------------------------------------132 B. 造物과 被造物의 顚倒 ---------------------------------------------137 Ⅵ. 樂園·理想鄕의 探索空間 --------------------------------------------143 1. 安壽吉의「圓覺村」-------------------------------------------------143 A. 探索으로의 旅路 --------------------------------------------------143 B. 집의 부정적 의미와 길의 시작 -------------------------------------151 2. 金東仁의「배따라기」-----------------------------------------------156 A. 바다의 공간 상징 -------------------------------------------------156 B. 이데아를 찾는 贖罪의 길 ------------------------------------------160 3. 李孝石의「山峽」---------------------------------------------------166 A. 부정적 공간 ------------------------------------------------------166 B. 존재 확인의 길 ---------------------------------------------------176 Ⅶ. 結論 --------------------------------------------------------------181 參考文獻 --------------------------------------------------------------185 Abstract --------------------------------------------------------------1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729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소설에 나타난 길의 상징성 : 이니시에이션 구조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