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2 Download: 0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반응들

Title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반응들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unselor's veral responses on client's awareness and insight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Authors
김영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research looks at the interaction between client s verbal response and counselor s verbal response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Also, in order to study the cognitive changes within the client s verbal response, client awareness and insight level measurements was created. By analyzing the entire counseling sessions, special characteristic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and the cognitive changes in the client was also looked at. In study one, client awareness and insight level measurement was created to understand the cognitive level changes of the client. The entir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measurements were based on Horowitz s (1998) cognitive psychodynamics. In study two, by using the measurements from study one, categorize the actual verbal response of the client during counseling and thus analyze the cognitive changes of the client and explain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changes. The results of the study two is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client s awareness and insight changes, the early, middle, and end stages of the counseling process were classified. The classification of the early, and middle stages were decided upon whether or not self-generated insight occurred. Self-generated insight means a fragmental insight by the client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cause and effect of a particular situation. This comes about through the repeated awareness of the information that the client is most familiar with. This term was defined on the basis of client insight induction through the counselor approval/reassurance respons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wareness contents of the client that was noticed in the first study session on through to the fourth. Therefore, setting this spontaneous generative awareness as a point, the start of the middle stage in counseling was classified. That is to say, the middle stage still holds the coexistence of self-generated insight and the awareness 4 level s complications and dilemmas. It is defined as a complicated stage where other awareness contents are integrated with previously existing awareness contents. The end stage of counseling is classified as a stage without complications and dilemmas of the awareness 4 level. At this stage, most of the client response can be considered to have reached the insight level. Upon this basis, this counseling classifies early stage as session 1 through 3, middle stage as session 4 through 8, and end stage as session 9 through 11. Secondly, the counselor and client verbal respons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Reflection response was an important verbal response preceding the awareness 3 level of the early counseling stage. Clarification response was not used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unseling but instead was used most actively during the middle stage to affect the awareness level. Confrontation response a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content of the client from the middle stage. Through Interpretation response, it was noted that the succeeding client insight content contained more causality of events as well as integration of insight content than a self-generated insight. Also, through the counseling s middle and end stages, the Interpretation response was more related to insight level rather than awareness level. Open question created an insight level, awareness level response liaison at he counseling early and end stages. However, looking at the verbatim, the open questions in the early stage asked very standard contents to the client while the open questions in the end stage was made up of asking contents based on composition of the client s previous insight contents. Approval/Reassurance response showed large Kappa value (.77*) during the 1st session and proves meaningful interaction with the clients awareness state. Minimal encourager response is related to anxieties during the awareness stage before and after self-generated insight, and not so much to the anxieties shown at the beginning of the counseling process. Restatement response affects the awareness 1 and 2 level, that is, the low awareness level of the client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unseling. To summarize, after the client s self-generated thought through the Approval/reassurance response, the client deliberates complications and dilemmas rising from the self-generated insight. These complications and dilemmas become more clearly aware through the counselor s Reflection , Clarification , and Confrontation response during the middle and end stages. Also, through the Interpretation response, integration between more contents is possible. And, with this integrated insight contents, a higher level of insight that composes of an expanded significance system can be reached through Reflection and Clarification response. Therefore, it supports Horowitz s (1998) argument that the counselor s clinical verbal response can actually raise the client s awareness level and accelerate insight. That is, through such counselor s clinical response technique as interpretation, confrontation, and clarification, awareness content integration, realization of the causality of other relevant events, and insight of problem solving attitude usually showed itself at the adjacent point of middle and end counseling stage. This study found such insight in the 8th session. Thirdly, salient features of the client s cognitive changes during counsel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wareness and insight level did not occur in stages from 1st level. During the process of repeated awareness to go on to insight, subjects that the client does not independently confront results in, unconscious denial or avoidance or the inability to connect with the problem at hand, and can therefore go down to awareness level two or one. Based on this study, Horowitz s (1998) theory that, even when the client has reached the high cognitive process of an insight level of starting from one event and integrating it with other surrounding events, the imperfect derivations and subordinate concepts within the insight can make dissension and dilemma resurface. That is to say, during the whole counseling sessions, the client integrates and insights at a higher level, the contemplation of early awareness contents and repeated connections with other awareness contents. He/she then starts an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of small surrounding concepts within the large concept and once again repeats the dissension and dilemma. In this study, such processes occurred mainly from 4 and continued onto 8.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n awareness and insight level measurement that allowed for understanding client s cognitive changes was created. And by using this measurement, verbatim of each counseling session was examined and this allowed for the clients present condition. Secondly, Jung s (1986) study argues that insight happens at stages or with some turnover point as the focus, and that intellectual insight leads into sentimental insight. However, this study reasons that after a fragmental and imperfect insight of a particular pattern, a bottom-up process and top-down process is carried out in order to realize the causality pattern of many other events. The connection of these, results in a complicated, but integrated cognitive content insight. Thirdly, it can be stated that, during the study of the counseling process, the entire counseling process of one particular model was completely analyzed. Also,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unselor and client s verbal response, sequential analysis method and re-examination of the verbatim was used to search for actual interaction process of the session in question. This resulted in the supplementation of the sequential analysis program. ; 본 연구는 상담과정동안 내담자의 언어 반응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 반응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내담자의 언어 반응 속에 나타나는 인지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내담자용 자각수준척도와 통찰수준척도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전체 상담회기를 분석함으로써 상담과정동안 나타나는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호작용의 특징과 내담자의 인지적 변화의 특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먼저 연구 1에서는 내담자의 인지적 변화를 수준별로 이해하기 위해서 내담자용 자각수준척도와 통찰수준척도를 제작하였는데, 척도들의 전체적인 이론적 배경은 Horowitz(1998)의 인지역동이론에 토대를 두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자각수준척도와 통찰수준척도를 사용하여 실제 상담과정에서 나타난 내담자의 언어반응을 분류함으로써 내담자의 인지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변화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연구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의 변화 특징을 분석하면서 상담의 초기, 중기, 후기를 구분할 수 있었는데 우선 초기와 중기의 구분은 자생적 통찰(self-generated insight)이 일어났는가 여부로 결정하였다. 자생적 통찰이란 내담자 스스로 자신이 가장 잘 의식하고 있던 내용에 대한 반복적인 자각을 통해 얻은 하나의 사건에 대한 인과성을 깨닫는 정도의 단편적인 통찰을 의미하는데, 이 용어는 본 연구의 1회기 때 나타난 상담자의 시인/안심 반응과 내담자의 자각 내용간의 상호 작용의 결과가 4회기에 이르러 내담자의 통찰을 유발한 것을 토대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자생적 통찰이 일어난 회기를 시작으로 상담의 중기가 시작되었다고 분류하였다. 즉 상담의 중기는 자생적 통찰과 주로 자각 4수준의 갈등과 딜레마들이 여전히 함께 공존하면서, 이미 통찰한 내용들과 다른 자각내용들이 더 많이 통합되는 과정에 있는 복잡한 시기라고 정의하였다. 상담의 후기는 갈등이나 딜레마를 포함하고 있는 자각 4수준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이 시기에는 대부분의 내담자 반응이 통찰 수준에 이르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상담에서는 1회부터 3회까지를 초기 단계로, 4회부터 8회까지를 중기로, 9회부터 11회 종결 시점까지를 상담의 후기라고 구분하였다. 둘째,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영 반응은 상담의 초기에 자각 3 수준에 선행하는 중요한 언어반응이었다. 명료화 반응은 상담 초기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상담 중기에 가장 활발하게 내담자의 자각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직면 반응은 중기부터 내담자의 자각내용을 검토하는 역할을 하였다. 해석 반응에 의해 후속 되는 내담자의 통찰 내용에는 자생적 통찰에서보다 통찰 내용에서의 통합과 사건들의 인과성이 더 많이 들어 있었다. 또한 해석 반응은 상담의 중기와 후기에 걸쳐 자각수준보다는 통찰수준과 더 많이 관련되어 있었다. 개방질문 은 상담 초기와 후기에 각각 자각수준들 및 통찰수준들과 반응연계를 이루고 있었다. 초기의 개방질문 은 내담자에게 매우 일반적인 내용들을 묻고 있는 반면, 후기의 개방질문 은 내담자가 앞서 통찰한 내용들을 질문 형태로 문장화하여 다시 묻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시인/안심 반응은 1회기에 큰 Kappa값(.77*)을 보여서 내담자의 자각 상태와 의미 있게 상호 작용한 반응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벼운 격려 반응은 내담자가 상담 시작 단계에서 나타내는 불안보다는 자생적 통찰 전후에 일어나기 시작하는 내담자의 자각 단계에서의 불안과 관련되어 있었다. 재진술 반응은 상담 초기에 내담자의 낮은 자각수준, 즉 자각의 1수준과 2수준에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요약하면, 시인/안심 반응에 의해 촉진된 내담자의 자생적 통찰 이후, 내담자는 이 통찰 내용에서 파생된 갈등이나 딜레마를 반복적으로 숙고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등과 딜레마는 상담의 중기와 후기에 상담자의 반영 반응과 명료화 반응, 그리고 직면 반응으로 인해 더욱 분명하게 자각되고, 해석 반응에 의해 내용들간 통합이 좀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이 통합된 통찰내용들은 반영 반응과 명료화 반응에 의해 보다 확장된 의미 체계를 형성하는 높은 수준의 통찰에 도달하게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상담자의 치료적 언어반응이 실제로 내담자의 자각수준을 높이고 통찰을 촉진한다는 Horowitz(1998)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해석 이나 직면 , 반영, 그리고 명료화 와 같이 상담자의 치료적 반응이라고 불리 우는 기법에 의해 자각의 내용들이 통합되고 다른 주변적 사건들의 인과성을 함께 깨닫고 문제해결적 태도가 등장하는 통찰은 주로 상담의 중기와 후기가 인접한 시기에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8회기에 그러한 통찰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상담과정동안 나타난 내담자의 인지적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자각과 통찰의 수준들이 1수준부터 차례차례 단계적으로 일어나지 않았다. 즉 반복적인 자각을 통해 통찰로 나아가는 과정 동안, 내담자 스스로 다루고 싶지 않은 주제가 등장할 때 무의식적으로 그 부분에 대해 회피하거나 부인하거나 또는 현재의 문제와의 연결점을 찾지 못하는 자각 2수준이나 자각의 1수준으로 내려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내담자가 한 개의 사건에서 시작하여 점차 주변 사건들을 통합하는, 통찰이라는 고도의 인지과정에 도달하여도 그 통찰한 내용 안에 들어있는 불완전한 파생물들 또는 하위의 개념들이 다시 갈등과 딜레마를 갖게 할 수 있다는 Horowitz(1998)의 이론적 설명을 지지하였다. 즉 전체 상담 회기 동안 내담자는 초기의 자각내용들에 대한 심사숙고와 다른 자각내용들과의 연결을 반복하면서 상위의 큰 개념으로 통합-즉 통찰-하였다가, 다시 그 큰 개념 안에 들어 있는 주변의 작은 개념들에 대한 정보처리과정을 시작하게 되고 또다시 갈등과 딜레마를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4회를 중심으로 8회까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인지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각수준과 통찰수준에 관한 척도를 제작하였고 이 척도를 사용하여 매 상담 회기의 축어록을 검토해 봄으로써 내담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정방자(1986)의 연구에서는 통찰이란 단계적으로 또는 어떤 전환점을 중심으로 일어나며 지적 통찰에서 정서적 통찰로 이어진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편적이고 불완전한 한 가지 패턴에 대한 통찰이 이루어 진 후 자료주도적 정보처리(bottom-up process)와 개념주도적 정보처리(top-down process)과정을 거쳐 더 많은 사건들의 인과적 패턴을 알게 되고 각각의 관계를 잘 연결하는, 복잡하지만 통합된 인지내용이 들어있는 통찰로 이르게 되는 것이라는 추론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상담의 과정 연구에서 단일 사례의 전체 상담 과정을 완전히 분석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계분석방법과 함께 분석에 사용된 상담 축어록을 다시 검토함으로써 해당 회기에 일어났던 실제 상호 작용을 찾아봄으로써 연계분석 프로그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